초등 자존감의 힘 - 소극적인 아이도 당당하게 만드는
김선호.박우란 지음 / 길벗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소극적인 아이도 당당하게 만드는

* 초등 자존감의 힘

제목에 [ 초등 ]이라고 붙어 있어서 이 책은 막내를 위해 읽기로 했다.

하지만 읽으면 읽을수록 큰 아이와 둘째에 대한 미안함과 사랑이 생각났다.

 

 

 

 


소극적인 아이도 당당하게 만드는 마법과 같은 책이란 말인가?

마법지팡이를 장착하고,  책가방 메고, 어깨 펴고 등교하는 아이의 모습을 상상하니 기분이 참 좋다.

책의 표지에서 눈에 띄는 단어는 아이, 초등, 자존감, 그리고 저자.

이 중 나는 자존감이라는 낱말에 과거의 기억이 하나 떠올랐다.

고등학교 시절 친구와 약속,, 아님 맹세였던가? 뭐 그런 걸 했다.

<우리 나중에 결혼하고 아이를 낳아도 Self-esteem 만은 잃지 말자.>

존재감을 잃은 여성의 모습들을 보면서 그런 생각을 하지 않았을까? 대략 희미한 기억을 훑었다.

그리고 지금은 그 다짐을 잘 붙들고 있는지...

한참을 생각해봤는데 잘 붙들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리고 다시 책에 집중할 수 있었다.

 

 

 

 


이 두 분 부부인가?

초등교사와 상담전문가가 사이 좋게 쓰신 이 책을 나는 정말 소중하게 읽었다.

네이버 블로그도 있으니 이웃 신청해서 우리 아이들과 어려움이 생길때마다 조용히 의논하고 싶다.

요즘 초등학생은 내가 초등학생... 아니 정확하게 말하자면 내가 국민학생이었을 때와는 정말 많이 다르다.

신체적 발달도 달라졌지만 정서적인 발달이 빨라졌다고 말하기엔 다르고 특별한 영역이 많이 생겨났다.

특히 < 사춘기 >그 그렇다.

우리 때는 사춘기란 빨라야 중딩. 아님 고등학생 언니가 되어야 삶에 대한 진지한 고민하면서 우수수 떨어지는 낙엽 밟고 다니는 뭐 그런 건 줄 알았는데... ^^;;

그래서 나는 육아서를 열심히 읽기도 했다.

그 이유는 저자가 말씀하시는 것과 같은 이유이다.

 

 

 

 


부모가 되려면 부모가 되기 위한 공부를 해야한다.

학부모가 되려면 학부모가 되기 위한 공부를 해야 한다.

어떤 광고에도 나왔었는데 [[ 당신은 학부모가 되시겠습니까? 부모가 되시겠습니까? ]]라는 카피가 있었다.

처음 이 광고를 보았을 때는 엄청 찔렸었다.

'학부모는 나쁜거구나,,, 부모가 되어야 하는구나....'

하지만 아니다.

우리는 <부모>도 되어야 하고 <학부모>도 되어야 한다.

각각의  필요조건이 다를 뿐이지 우리는 모두 잘 해내야 할 역사적 사명을 띄고 있다. ㅋㅋㅋ

왜냐하면 아이들과 행복한 삶을 살기 위해서.

이유는 참 단순하지만 본질적인 것이다.

 

 

 

 


아이들과 내가 따로 또 같이 행복하다는 것은 각자의 존재감을 잃지 않을 때이다.

그리고 '나'를 잃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나'에 대한 설명 중 주도성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있다.

[ 무언가 스스로 하는 능력은 매사 모든 순간에 접목된다. ]

이 문장이야말로' 남 + 녀 + 노 + 소' 모두에게 해당되지 않을까~!

이 책은 특별히 <소>에 집중하고 있지만.

아이들의 주도성은 '메타인지'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초등 저학년 교과서를 잘 살펴보면 단원마무리에서 아이들에게 질문하는 코너가 있다.

예를 들면 이런 질문이다.

* 이 주제를 공부하기 전에 얼마나 알고 있었나요?

* 잘 이해했나요?

* 스스로 알아냈나요?

* 친구들과 모둠활동을 통해서 알게 된 것은 무엇인가요?

뭐 이런 질문들에 5점척도로 대답하게 되어있다.

(막내 때 봤는데... 지금은 없어졌을까?)

이런 것이 메타인지의 기본작업이다.

단원을 마무리하면서 내가 알고 있었던 것. 몰랐던 것. 알게 된 것. 그 과정. 다른 친구들에게 설명할 수 있는지.

학습주제에 대한 이해도 중요하지만 나의 인지정도를 아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저자의 설명에 적극동의한다.

그래서 나는 이 부분을 읽으며 이 책을 다른 사람들에게 적극 권해야겠구나 결심했다.

그런데 뒷부분으로 가면 갈수록 우리 아이들이 아가였을 때 읽었더라면 더 좋았을텐데.... 싶었다.

 

 

 


특히 사례중심으로 아이들의 학교 생활과 자존감에 대해서 설명할 때는....

아~ 정말 많은 감정들이 올라왔다.

82쪽에 등장하는 우철이는 정말 가슴이 아팠다. 우철이의 살아있는 눈빛으로 마무리가 되지 않았다면 나는 우철이를 위해 엉엉 울 판이었다.

(실제로 약간 뭉클하여 있었더니 우리 아이들이 나보고 또 책 읽으면서 운다고 울보 엄마라고 놀렸다. ㅠㅠ;;)

모든 교실에 있을 우철이를 위해 힘찬 응원을 보낸다.

 

 

 


우철이를 말없이 등을 감싸 안아주시는 이 분.

우리 아이들의 선생님으로 인연이 닿으면 얼마나~ 얼마나 ~ 좋을까 생각했다.

"너만큼 좋은 아이를 본 적이 없다."

"네가 똥을 묻히고 다녀도 너를 좋아할거야."

이런 보석과 같은 말을 듣고 자라는 아이들은 얼마나 더 아름다운 보석이 될까?

 

 

 

 


막내를 위해 읽으려고 했던 이 책이 중학생 아이들을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던 문장들 중 제일 내 가슴을 때렸던 부분이다.

실제로 나는 매년 담임선생님에게 이런 질문을 했었다.

"우리 아이가 쉬는시간만다 혼자 있는다던데... 괜찮은건가요?"

선생님들의 대답은 조금씩 달랐지만 모두 일맥상통했다.

"특별히 문제되는 점은 없습니다."

흠.... 차라리 나에게 이런 대답을 해 주셨으면 내가 엄마로서 그렇게 고뇌하지는 않았을텐데...

"혼자서든 여럿이든 쉬는시간에 놀 거리가 있고, 잘 놀고 있으므로 걱정안하셔도 됩니다." 라고 말이다.

엄마로서 아이를 잘 키우고 싶은 마음은 누구나 같다.

하지만 그 방법은 모두 다르다.

누구에게나 상황이 있고, 성향이 다르기 때문이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며 새롭게 알게 된 부분도 있고, 반성한 부분도 있다.

그리고 일부 칭찬도 받은 것 같다.

예를 들어 탄생설화를 각자에게 만들어 준 것은 굉장히 흐뭇하게 읽었다.

아이들에게 각자의 태몽을 이야기해 주면서

"네가 그렇게 우리에게 와 줬어. 너무 고마워. 엄마랑 아빠는 정말 좋았어."

라고 말해 준 것이 잘했다고 하시니 나는 하늘을 날 듯 좋았다.

그 이야기 할 때 아이들이 특별한 감흥이 없었다. 그래서 관심도 없는 얘기를 내가 너무 오바해서 하나... 싶었다.

그런데 이 책의 '탄생설화' 부분을 읽으며 아이들에게 물어보았다.

"너 낳을 때 엄마가 무슨 꿈 꿨는지 알아?"

신기하게도 아이들은 각자의 태몽을 모두 기억하고 있었고, 그 이야기를 하면서 큭큭 웃기까지 했다.

오~ 신비로운 경험!

본인을 특별하게 생각하는 증거라고 포착되었다.

이 책을 읽는 독자들에게... 내가 저자는 아니지만....

태몽을 예쁘게 각색해서 들려주는 건 정말 좋은 거라고 꼭 말해주고 싶다.

감사히 잘 읽었습니다.

#초등자존감의힘 #소극적인아이 #당당한아이 #김선호 #박우란 #길벗 #허니에듀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