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를 사로잡은 문화 콘텐츠 한류 초등 과학동아 토론왕 39
권동화 지음, 윤소 그림 / 뭉치 / 201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초등융합 사회과학 토론왕 39
세계를 사로잡은 문화콘텐츠 한류
권동화 글 / 윤소 그림


한류가 뭘까?

 

한류? 한국전통. 한국의 스타일~

 

그래? 그럼 한류는 어디에 있을까?

 

외국에. 미국이랑 중국에 제일 많이 있을 것 같아. 프랑스에도 있을 것 같아.

 

그럼 딸아~ 한류스타는 누구일까?

 

우리 문화재 지킴이 있잖아. 엄청 유명하신 분....

 

간송 전형필 선생님? 그 분이 왜?

 

우리나라의 소중한 문화재를 엄청 잘 지켜냈으니까...

 

후훗. 딸이 한류를 잘 모르고 있군.

그럼 이 책은 나의 딸에게는 지식을 더해주는 책이 되겠군.
별그대는 나만 재밌게 봤던 드라마이기 때문에 주인공 캐릭터에 대한 재미는 엄마만 있었던 걸로~ ^^

 

권동화 작가님의 이름은 원래 권동화였을까?
글쓰기에 최적화된 이름이라고나 할까~ ^^
동화작가님의 글이니 정말 재미있겠지?
한류의 세계로 고고씽~

 

1. 세계를 사로잡은 한국의 대중문화
2. 세계를 사로잡은 한국의 생활문화
3. 세계를 사로잡은 한국의 유형, 무형문화
4. 지금까지의 한류, 앞으로의 한류
그리고 각 장의 말미에는 토론왕이 되는 가이드가 똭~!
책 제목이 토론왕인 걸 잊지 않았다.
그래서 아이들과 이야기하며 읽기 참 좋은 책이다.


책을 읽을 때 본내용으로 들어가기 전에 표지나 속지, 목차 등을 잘 살피면 책의 재미를 배가할 수 있다.


토론왕 한류는 <한류스타 백송이의 숨은 조력자> 토픽으로 궁금증을 유발한다.
"도현준~ 너 아니었으면 이 상은 받지 못했을거야."
ㅋㅋㅋ
상상만으로도 웃음이 나온다.

 


도현준이 누굴까~~~~~??

우리나라의 문화가 다른나라에 전파될 수 있었던 것은 도현준의 말대로 IT가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예전이라고 한류가 없었을까~!


하지만 지금과 같이 발달한 기술 덕분으로 더 빨리, 더 널리 알려질 수 있었던 것이다.
한류의 조건이라고나 할까?

 

문화대 문화의 충돌은 큰 전쟁을 일으킬만큼 대단한 것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세계사 중 많은 전쟁이 <우리의 문화 VS 너희의 문화> 였던 걸 생각해보면 그리 어렵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문화에 관심을 가지고 받아들일 수 있었던 것은 문화의 융통성 때문 아니었을까 싶다.

 


예를 들어 '중동에 부는 뜨거운 열풍'은 중동 여성들이 히잡을 벗지 않고서도 할 수 있는 운동이 태권도였기 때문에 가능했다. 아마 헬멧 안쪽에 아무것도 착용해서는 안된다는 규칙을 고집했다면 있을 수 없는 일이었을 것이다.

 

또한 먹거리도 현지화전략이 너무나 잘 들어맞았던 사례이다.
우리나라에서 먹는 초코파이와 러시아에서 먹는 초코파이는 쬐금 맛이 다르단다.
라면도 마찬가지고~ ^^
이런 전략도 발달한 기술이 있기에 가능했을 것이다.
이쯤되면 내가 중학교 때 배웠던 <<인적자원이 중요하다>>는 충분히 증명된 것이다.

 

논리적으로 말하기에서 다뤄지고 있는 K-beauty는 아이들에게는 좀 생소했던 모양이다.
뭐냐고 물었더니 고개를 갸우뚱거렸다.
화장품이라고는 바디로션 밖에 모르니,,,, 아직은 좀 이르구나.ㅋㅋㅋ

 


그러면 네가 알고 있는 것으로 한류를 알려보자~ 싶어서 단청 색칠하기를 했다.
오방색에 대한 설명 후 단청무늬 목걸이 만들기.

큰오빠야의 야심찬 계획은 공연을 하며 & 국악을 가르치며 한류를 이끄는 것이다.
그래서 간송 전형필 선생님을 존경하는 본인의 마음을 표현하고 싶어한다.
일제강점기에 우리나라의 문화를 지키는 것. 한류와 크게 다를 바 없단다.


 

이 책의 활용도는 교과와 무지하게 연계되어 있다는 것.
두말하면 잔소리~^^~

 

우리나라의 것을 특별히 고집하는 아들과 함께 장래희망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다.
예전 아들의 공연모습도 찾아보고~^^


더 발전하는 한류의 리더에 아들이 한 몫하기를 기도하며 서평을 마무리 함.

 


#뭉치 #세계를사로잡은문화콘텐츠한류 #허니에듀 #서평이벤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