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할 때 뇌 속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 - 그저 못생긴 화학물질 덩어리일 뿐인 뇌가 어떻게 행복을 만들까?
딘 버넷 지음, 임수미 옮김 / 생각정거장 / 2019년 6월
평점 :
절판


는 지금 이 순간에도 행복을 위해 변함없이 일하고 꿈꾸는 사람이에요. 행복을 추구하고자 하는 것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마음일테니까요. 그렇다면 행복할때, 혹은 불행하다고 느낄때 뇌속은 과연 어떤 상태일까요. 뇌과학자가 들려주는 우리 뇌의 가장 신비로운 변화상태는 그야말로 흥미로움 그 자체네요. 어떤 상황에 관하여 [설레는] 마음을 늘 간직하고 살아갈수는 없겠지만 우리 뇌조차 [행복한 상황을 좋아하는]지라 뇌가 우리를 어떤 행동을 하도록 만들어 내는지 살펴보는 것도 내 몸을 알아가보는 재미난 시간인거 같아요.

행복이 뇌속 어디에서 비롯되는지 알고 싶다!!!내 몸이 과학적으로 이뤄졌다는 사실을 인지한다는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매력적인 책이랍니다

집과 행복이 상관관계가 있는가? 특정 화학물질로 인해 행복이 생기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인 안정을 느끼는 자체가 스트레스를 벗어나게 해준다는 기본적인 결론이 행복한 시스템을 이끄는 연결고리가 된다고 합니다. 교양과학서이지만 전문적인 느낌도 나는 책이라 뇌에 관련한 지식을 얻는것은 그리 가볍지는 않는거 같아요. 뇌과학은 인간의 모든 행동 발생의 원인과 그 이유를 과학적으로 설명하는 학문이면서 인간의 마음까지도 연구하는 학문인지라 요즘 추세에 맞춰 한번은 읽어봐야할 장르인거 같답니다.

'뇌'에 관련해서 우리가 불쾌하거나 나쁘다고 여긴 경험과 행동이 과연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 수 있는가 하는 연구를 한다는 자체가 무척 신선해요.

제 8장 [뇌를 발로 차고 싶은 10대들의 상태]편은 사춘기 청소년들에 대해 알고 싶은 답답함을 속시원히 풀어낸 장이였답니다. 어른이나 청소년이나 [뇌]에 대해 이해하고 난다면 청소년기의 반항기를 다소 부드럽게 지나가게 해주지 않을까 싶은걸요.

무척 분석적이고 과학적인 책입니다. 웃음이 연결지어 주는 행복에서 부터 타인에 의해 행복이 달려있다는 결론은 인간관계의 어쩔 수없는 연결고리를 나타내주고 있지요. 사회적 교류를 촉진시키는 큰 영역이 바로 우리 뇌에 있다는 사실은 별반 새로운 것은 없겠지만 교류를 많이 경험한 사람이 건강을 유지하고 행복할 수 있다는 사실은 뇌에 관한 통찰력있는 해답인거 같답니다.

행복과 관련된 물질이라면 도파민, 엔드로핀, 옥시토신이 있습니다. 이 물질들이 많이 분비되면 인간은 행복해 진다? 하지만 우리의 뇌는 이렇게 단순하지많은 않았군요. 즐겁게 뇌를 알아가는 시간^^뇌과학공부시간이였어요. 상대방을 불쾌하게 만들거나 해를 끼침으로 엄청난 행복을 느끼기도 하는...사람의 심리학적인 특정도 깨닫게 되면서 행복이라는 개념을 이해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