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망치는 말 아이를 구하는 말 - 1만 명의 속마음을 들여다본 범죄심리학자가 전하는
데구치 야스유키 지음, 김지윤 옮김 / 북폴리오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우리 아이에게 좋은 부모일까?

질문을 던져본다.

나 조차도 여전히 살아가면서 뒤늦게 배우고 성숙해져 가고 있지만

아이를 잘 키우고 싶은 그래서 지금이라도 좋은 부모가 되고 싶다는 것이다

혼자 살아갈수 없는 사회이기에 사회성을 체득해야 함을 알면서도

부모라는 이유로 많은 부분에서 부모의 개입이 지나치거나 너무 무관심한 상황이

발생이 되고 이런 환경은 아이들에게 복잡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자주

잊어버리며 내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고 엉뚱하게 행동하여 아이에게 상처를 주기도 한다

 

저자는 1만명이 넘는 범죄자와 비행청소년의 심리를 분석

범죄심리학이라는 것은 과학의 한분야로 증거와 데이터를 바탕으로 두고 분석하며

그러기 위해 11의 면담 심리테스트 행동관찰로 이루어지며 가정환경이 중요해서

가족구성원 한사람 한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듣고 여러차례의 면담을 통해 객관적 사실을

시간 축에 따라 추적하는 것을 기본으로 범죄심리 분적에서는 주관적현실이 중요하게

작용하기에 다면적인 심리분석을 하는 교화를 위한 지침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이들보다 변화하기 힘든 것이 아이의 보호자라는 말에 적극 동의한다

아이를 위한 일이 간혹 아이에게 독이 될 수 있듯 아이의 입장에서의 주관적 현실을

보아야 한다는 것과 확증편향은 자녀교육에 걸림돌이 되기에 균형 잡힌 사고를

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이다

어른이라는 이유로 자기 생각과 논리만 내세우지 않도록 스스로를 경계해야 한다

 

또한 부부가 서로 같은 교육 방침으로 아이를 교육해야 아이가 혼란스럽지 않다

아이는 부모자식 사이의 신뢰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이 신뢰는 아이가 앞으로

인생을 살아가며 겪게 되는 온갖 위기와 갈등을 원만하게 극복해 갈 수 있는

힘이 된다

 

주체성을 지닌 개별 존재임에도 우리는 아이들에게 다 같이 잘 지내로 억지 상황을

만들기도 한다. 사이좋게와 차별을 엄연히 분리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단점은 뒤짚으면 장점이 되고 이것을 잘 포장하며 개성이 되기도 한다

 

육아를 하며 나도 모르게 아이에게 상처를 주는 말도 많이 하고 아이의 자긍심을

내려놓게 하는 말도 많았다.

좋은애정이란 일방향이 아닌 양방향이라 했듯 아이와 함께 부모도 성장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무심코 던진 한마디.

이 한마디는 아이의 멋진 개성을 파괴하기도 하고

미래 예측 능력을 방해하기도 하며 의욕을 떨어뜨리거나 자기긍정감을 해치고

신뢰를 무너뜨리거나 공감능력을 파괴하기도 한다

 

부모가 완벽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나를 위해 자녀를 위해 우리는 늘 배움의 자세가 필요하고

서로를 인정하고 함께 헤쳐나가야 한다.

막막했던 육아 좌충우돌 아이와의 사춘기를 겪어보며

아이로 인해 내가 성장하고 있다라는 말을 자신있게

말할 수 있기까지,

앞으로도 더 서로를 위해 신뢰와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 본 도서는 북폴리오 출판사의 도서지원을 받아 주관적인 견해로 작성하였습니다]

#아이를망치는말아이를구하는말 #데구치야스유키 #북폴리오 #서평도서 #자녀교육서 #범죄심리학 #아동심리학 #대화법 #육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