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궐과 왕릉, 600년 조선문화를 걷다
한국역사인문교육원(미래학교) 지음 / 창해 / 2021년 2월
평점 :
품절


[궁궐과 왕릉 600년 조선문화를 걷다]

 

예전에는 궁궐과 왕릉에는 전혀 관심이 없었다.

그냥 어려운 시험과목에 하나였고 외울것이 많았던. 역사의 하나.

잘 알지도 못하면서 외우려니 내것이 아닌것들이 많아

회피하고 싶었던 과목중 하나의 체험을 가면 분위기의 무거움이

답답함으로만 느껴졌었다.

 

나이가 들며 언제부터인가 옛건축이 주는 아름다움과 그 건축에 담긴 이야기

그리고 조상들이 지혜가 궁금해졌다.

 

건축물로 접근한 것인줄 알았던 궁궐에는 그 안에 담겨진 사람들이 이야기도

있었다. 어찌보면 직업과 관련하여 접근해 볼 수 도 있었고 상징적인 것, 제도,

의례등도 알아봄으로써 궁궐과 왕릉의 문화유산을 깊게 알아볼수 있었다.

 

왕의하루를 읽어본다. 왕이란 어원과 왕의 탄생부터 세자시기까지 그런 군주의 일상이

참 고되다 싶었다.원자의 탄생부터 세자책봉 성균관 입학례, 관례, 세자혼례, 왕위오르기 까지

국왕의 권위를 나타내는 행사부터 그의 하루는 물질적으로는 풍족했을지언정 그 어깨에 담겨진 익히고 학습하고 배워야할 도리들의 무게를 감당하기 까지 의 일정은 책임감이라는 무게감속 답답함이 느껴진다.

 

왕의 일상은 종종 책으로 접하거나 교육으로 접했지만 왕비의 이야기는 처음이다.
궁궐의 살림을 책임지는 왕비의 호칭부터 등급까지 주로 연속극을 통해서 간간히

듣던 호칭까지와 왕비의 업무. 무엇보다도 가장 중요한 차기왕자의 출산등 생소했던

것들이 많았다.

 

왕자와 공주. 선택받은 자와 선택받지 못한자들의 삶이 다르다.

조선시대 최고의 전문직여성으로 품계를 받는 궁녀의 삶

사극에서 보던 그들의 가사노동 이야기

 

여자이기 때문이어서 인지 유독 왕비와 궁녀의 이야기가 재미있었다.

 

궁궐의 존엄성을 상징하는 용과 궁궐의 모든 것을 지키는 잡상이야기

건물을 보면서 가장 궁금했던 것들이라 스터디할 때 자료로 참고 할수

있는 즐거움

 

그밖의 주역과 유교, 품계등 조선문화의 기록이 한가득 담겨있었다.

 

소장의 가치가 있다.

역사와 관련 다방면에서 길라잡이가 될수 있는 책이다.

 

건축물을 정리하다 말았던 자료들을 다시 한번 읽어본다.

 

 

[이 글은 창해출판사의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궁궐과왕릉600년조선문화를걷다 #창해 #책과콩나무 #서평도서 #도서협찬 #조선문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