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OP 성공방정식 - 그들은 어떻게 한국의 미래가 되었나?
김철우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K-POP 성공방정식]

대중문화의 컬처

어느날 부터인가 K-POP 대중음악의 꽃이 되어버렸다.

개인적으로 음악을 그렇게 즐기는 사람이 아닌지라

사실 왜 K-POP 에 저렇게 열중하는가가 이해가 되지 않았지만

이제는 세계시장에서도 K-POP을 주목하다보니

나 또한 자연스럽게 K-POP 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다.

문화의 어떤점이 세계를 한 마음으로 모아주는 것일까?

한류확산의 경제적 이익은 코리아 디스카운트에서 코리아 프리미엄으로

업그레이드 되었다.

 

대한민국의 신성장 동력은 한류의 다양성을 이뤄야 한다고 주장하며

다양성을 위한 고민과 성공전략의 모색을 고민해야 할 시기라고 한다.

 

코로나임에도 불구하고 K 팝과 K컬처 프로야구가 한국의 소프트파워로

문화계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었던 성공방정식의 해법을 들여다본다

 

그 누군가 BTS 가 대중문화를 선도할 수 있으리라 상상했을까?

한국에서의 BTS는 알지도 못했다.

해외에서 유명해지면서 BTS가 한국사람이란 것을 알았다.

그들이 성공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들은 다양하게 해석되어

칼럼화 되었다.

그러면서 K팝 열풍과 더불어 나 또한 그들의 전략과 그들의 가치가 궁금했다

 

K팝 용어는 해외에서 만들어서 국내에 역수입된 용어다

K-POP을 통해 음악은 귀로 듣는 컨텐츠를 넘어 팬들과 소통하는 콘텐츠이기에

종합예술임과 동시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문화 상품이다.

컨텐츠의 창조자가 되어 세계 유튜브 대중음악 시장을 장악한 K-POP

세계 음악사를 새로 보게 하고 전통엔터산업에 IT 정보기술을 접목하며

협업의 플랫폼을 가진다

 

K-POP의 성공방정식을 본다

1) ‘과감하게 섞는다’ - 독자생존이 아닌 외국작곡가와 해외기획사와의 협력이다.

2) 팝의 본고장에서 활동 범위를 확장하며 한마음의 문화를 이끌어낸다

3) 유니크하라 유일무이한, 아주특별한, 특유의.. 독창적, 창조적인 유니크

꼰대가 되면 안된다. 스토리가 있는 새로움은 는 창조하게 한다.

4) 라이브 공연 실력은 해외 시장 진출의 보증 수표. 현장성.. 대중문화는 소통이

핵심이 되어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꾸며짐 보다 개인의 실력이 검증되어져야

하는것인 듯

5) 팬덤으로 승부 나에게 팬덤이란 영역은 넘사벽이다. 오빠부대부터 주변에 영웅이를 좋아하는 남녀노소의 열광을 아직도 이해하기 쉽지는 않으나. 팬덤이 만들어내는 문화는 대단하기는 하다.

6) 영어 K팝을 만들어라 영어는 못해도 팝송은 좋아하고 잘부르던 어릴적 팬심. 영어공부를

팝송으로 하면 할 수 있다라고 했던 것들이 지금에도 이어지는 것을 본다

 

그밖의 마케팅 전략의 다변화, 다양한 스토리 콘텐츠 생성, 온라인 플랫폼 전략의 강화, 국격 신장의 첨병, K팝을 지원해야 하는 것까지.

협업과 창조력은 대중문화에서도 피해갈 수 없는 능력임을 본 것 같다.

코로나로 힘든 시장임에도 불구하고 K팝이 선한 메시지의 음악은 많은 사람들에게

기운을 북돋아주고 있다.

위기를 기회로 여긴 마케팅의 성공방식

정답을 찾는 것도 좋지만 도전과 함께의 가치가 함께 공존될 때 그 파급효과를

상상해본다.

 

 

[이 글은 21세기북스 출판사의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K-POP성공방정식 #김철우 #21세기북스 #책과콩나무 #도서협찬 #서평도서 #대중문화 #협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