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유산 - 역사와 과학을 꿰는 교차 상상력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기획 / 동아시아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첨단 X 유산]

 

역사와 과학을 꿰는 교차 상상력

지루할 것만 같았던 첨단과 유산은 생각했던것보다 재미있으면서도 무한한 상상력을 동원하게 했다. 10개의 주제로 역사와 과학을 콜라보하며 만나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앞으로의 미래를 향한 행보가 기대되기도 했다.

세상을 어떻게 바라볼것인지 동궐도와 드론을 통해 시선을 너머 진단까지의 역할

고려청자와 디스플레이를 통해 색깔의 구현의 어제 오늘을

조선백자와 리소그래피를 통해 무늬와 색의 과학이 콜라보된다.

사인검과 기가스틸, 즉 철이 다시 태어나며 조선의 기술과 정신을 품기까지

보석완과 보성사의 아카이브는 인공지능이라는 21세기 기록의 진화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탄생시키고 대동여지도와 자율주행차를 통해 수단에서 주체로 바뀌는 것, 수선전도의 지도로 인간의 도시를 넘어 인간과 기술의 공동체를 꿈꾸는 스마트시티등 역사가 우리와 공존하면서도 첨단으로 갈 수 있도록 해주는 내비게이션이며 삶과 ㅈ구음의 경계를 다시 묻는 혁신임을 배운다.

 

시선, 색깔, 무늬, 철기, 정보, 지도, 공간, 시간, 인식, 생명이란 주제가 역사와 만나 재해석되며 미래를 읽는 시간이 되었다.

 

 

책속으로

동양미술 전통의 부감법과 드론이라는 첨단 안전 기술을 통해 인간이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인 시선의 변화를 고찰한다.

동궐도를 통해 서양미술과 차별화된 동양미술의 눈, 부감법에 대해 배운다.

미술은 시점의 변화에서 시작된다.

동양미술은 하늘에서 보이는 모습, 과학적 원칙에 얽매이기보다 비과학적 감각과 욕구를 우선시 하며 새의 눈으로 바라보는 조감법(미술=부감법)으로 표현하는 독특한 시선을 지닌다. 고려시대는 대표적 불화를 통해 조선시대는 풍속화, 궁궐화 기록화등 회화분야의 부감법과 그 종류를 통해 동양화를 본다. 조선 후기 한국 미술의 최고 졍지의 부감법을 완성하였으나 일제 및 외세의 침탈로 한국미술의 발전이 멈춰버렸음을 안타까워 하며 우리는 어떤 방식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있는지. 그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우리 일상 곳곳에 숨어 잇는 과학기술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을 고민해 보자고 한다.

시선을 넘어 진단으로 드론을 본다. 다양한 방식으로 드론이 활용되고 있다.

드론을 통해 바라본 궁궐의 모습과 아프면 우리도 병원에 가서 진단을 받듯 위험이 발생하기 전 미리 문제를 진단하고 예방하는 수단으로 드론 활용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통해 건물 상태를 확인, 손상여부까지 판단할 수 있는 최첨단의 안전기술 시대가 도래했으며 앞으로 우리가 어떤 기술을 통해 어떻게 세상을 바라보게 될지 생각해본다.

 

책의 구성이 너무 좋았다.

역사와 첨단이 만나 미래를 생각하게 한다.

동궐도와 드론을 통해 시선을 이야기 한다면

고려청자와 디스플레이를 통해 색깔을 알아본다. 색을 구현하는 방식을 교차하여 과거의 색을 재현할 수 있을지, 색 구현 방식의 미래를 준비한다. 빛의 원리와 색을 통해 우리 눈은 어떻게 색깔을 인식하는지와 디스플레이의 발전 진화를 기대한다. ‘우리가 기억하는 것은 그날이 아닌 그 순간이다처럼 느리게 살아가는 방법이 되어줄 기대를 해본다.

조선백자와 리소그래피를 통해 무늬를 본다. 백의 문양을 통해 당대의 사회적 배경을 읽고 그와 닮은 반도체의 리소그래피 기술을 통해 모양의 공학과 색의 과학까지 알아보는 과정이 좋았다.

 

과학 기술이 만들어낸 최첨단의 기기와 문명이 우리 생활을 지배하면서 과거와 전혀 다른 시간을 살아가는 지금. 그 결정은 인간에게 달렸다고 한다. 앞으로의 첨단 기술을 어떻게 등장시키고 발전시켜야 하는지

 

이공대 교수들의 프로젝트를 통해 과거 유산과 첨단 과학이 공동작업으로 만들어낸 10개의 주제들을 통해 얻은 것은 다음과 같다

첨단 과학기술에는 과학적, 역사적으로도 전통유산과 공유하는 있는 부분이 존재하며 이런 흐름에는 인간의 욕망과 삶의 방식이 담겨있고 과학은 사람들의 욕구, 시대변화에 발맞춰 발전해 왔으면 인문학적 상상력을 통해 전통유산을 새롭게 해석해야 한다

우리가 다음 단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발상의 전환, 새로운 관점, 엉뚱한 상상력이 필요하다

세계 최고 수준의 이른 우리의 첨단 과학이 전통 유산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 글은 동아시아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했습니다.]

 

#첨단X유산 #고려대학교공과대학 #오후 #동아시아 #동아시아출판사 #동아시아서포터즈 #역사 #첨단 #과학 #10개의 주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