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문대 간판이 줄 수 있는 능력의 지표
' 탐나는 물건이나 사회적 지위를 놓고 경쟁할 때 모두가 정말로 공평한 기회를 갖고 있는가?' (P38)
능력주의 뿐만 아니라 성공과 실패 승리와 패배를 어떻게 정의하는지
장 단점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보았는지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포퓰리즘populism
본래의 목적을 외면하고 일반 대중의 인기에만 영합하여 목적을 달성하려는 정치행태 (두사백과)
1) 엘리트에 대한 포퓰리즘의 분노가 주로 인종적, 민족적, 성적 다양성의 꾸준한 증대에 대 한 반동
2) 노동계급의 분노를 세계화와 기술혁신의 시대가 너무도 빠른 데 대한 당황, 그리고 방향 상실의 결과
라는 포퓰리즘적 불만에 대한 진단은 어느정도 진실은 담고 있으나 노동의 존엄성을 깎아 내리고 맣은 이들을 무력하고 왜소하게 느끼게 만든 주류 정당들과 집권 엘리트의 정책을 폈기 때문이라고 한다.
사회적 상승 가능성에 대한 믿음은 아메리칸 드림의 핵심이었고 주류 정당과 정치인들은 기회의 평등을 늘림으로써 증가하는 불평등에 대응하여 세계화와 기술 혁신으로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를 억누르고 고등교육 이수 기회를 넓혔지만 결국 그럴싸하게 포장 했을뿐 이며 빈부격차에 대한 진지한 대응은 부와 권력의 불평등을 직접 다뤄야만 한다고 말한다.
개천에서 용난다는 이제 옛말이 되어가며 사다리 자체가 점점 오르지 못할 나무가 되어 가고 있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능력주의가 완벽하게 실현된다 하더라도 그것이 도덕적 정치적으로 만족스러울지의 의문을 던져 보라.
'하면 된다'라는 말은 양날의 검으로 자신에게 자신감을 불어넣지고 하지만 한편으로는 모욕감을 주기도 한다는 해석을 통해 너머의 것들을 고민해 보았다.
그는 민주정치가 다시 힘을 내도록 하려면 도덕적으로 보다 건실한 정치 담론을 찾아야 하며 능력주의를 재검토할때 가능하다고 한다.
트럼프와 힐러리 클린턴을 비교해보며 능력주의의 폭정은 사회적 상승의 담론 그 이상의 것들에서 비롯되며 이는 여러가지의 태도와 상황을 포괄하고 그런 많은 것들이 하나로 어우러지면서 능력주의를 유해하게 만든다
1) 노골적인 불평등이 이어지고 사회적 이동성이 가록막힌 상황에서는 '우리는 스스로의 운명에 대한 책임자이며, 우리가 얻는 것에 대한 책임을 갖는다'라는 메시지가 사회적 연대를 약화하며, 세계화에 뒤처진 사람들의 사기를 꺽는다
2) 대학 학위가 그럴 듯한 일자리를 얻고 품격 있는 삶을 살기 위한 기본조건이라는 주장은 '학력주의 편견'을 조정하며 그로써 노동의 명예를 줄이고 대학에 가지 않는 사람들의 위신을 떨어트린다
3) 사회적, 정치적 문제들은 고도의 교육을 받고 가치중립적인 전문가들의 손에 맡길 때 가장 잘 풀릴 수 있다'는 생각은 민주주의를 타락시키고 일반 시민의 저이권력을 거세하는 상황을 초래한다. (P125~126)
'뭐 하다가 대학 학위도 못 받았느냐"는 형태는 능력주의적 오만의 가장 고약한 측면인 학력주의에서 찾을 수 있다(P135)
누구를 위한 것이며 무엇을 위한 것인가에 대해 한참 힘들었던 2020년이다.
내 맘 깊은곳에 학력에 대한 컴플렉스는 버려졌다고 생각했는데. 타인과 비교당하며
내안의 신념이 무너졌다.
사회가 만들어 놓은 시스템을 부인하고 있었고 애써 의식하지 않으려 했으나 결국 직면하게 되면서
나 자신의 초라함으로 다가왔다. 나 또한 사회와 타협하는 작은 존재임을 인정할 수 밖에 없었다.
무기가 된 대학 간판을 인정 할 수 밖에 없다. 우리 사회 또한 학력에 따른 처우개선을 통해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