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인폭스 갬빗 - 나인폭스 갬빗 3부작
이윤하 지음, 조호근 옮김 / 허블 / 2019년 7월
평점 :
나인폭스 갬빗
처음 듣는 고유 명사와 낯선풍경 그리고 전투 장면의 상황들로 시작하면서 책장을 넘기기가 힘들었다. 친절한 설명은 아니어서 생각하고 상상해보며 읽고 나름 유추하기 까지 조금 시간이 걸렸다. 그렇지만 정리하면서 읽다보니 역시 허블책 답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점점 이야기속으로 몰입 되어 간다.
군에서 내쫓길 위기에 처한 켈 대위는 작전 중 대량 학살을 저질렀다는 죄목으로 수 세기 전에 처분되었으나 그의 전술 능력을 탐낸 정부에 의해 영혼만을 박제당한 장군 유령이 정부의 미션을 수행하는 혼성 버디 서사다.
체리스 대위가 대량학살의 장본인으로 정신상태가 온전치 못하다고 의심되는 제다오를 경계하며 생기는 긴장 상태와 계속되는 교감으로 형성되는 희미한 신뢰관계를 나도 모르게 따라간다
인간과 유령이란 연결요소는 빙의라는 말로 표상 되기도 하고 소설의 배경이 되는 육두 정부의 법칙에 의해 결박이라는 형식을 통해 일반적인 빙의와는 다르게 무척 고약하고 실제 수행자를 배려하지 않는 방식으로 묘사된다.
체리스는 '니라이'분파의 적성이라고 여겨지는 수학적 재능을 타고났지만 명령에 복종하고 이에 평안을 얻도록 만들어진 '켈'분파의 기질을 선호해 켈이 되었다. 그러나 제다오와 미션을 함께하면서 자신의 가치관이 용납하지 못할 수단들이 정부를 위해 사용되는 모습을 보며 체리스의 충성심은 시험대 위에 오르게 된다. 소수민족 혼혈로서 공동체에 속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보수적이고 충성심이 강한 분파를 선택했으나 자신의 선택과 정부의 신뢰성에 의구심을 품는 체리스의 모습은 오늘날 사회에 소속되고자 하면서도 사회가 규정한 비인도적인 규칙을 버거워하는 아웃사이더들의 이야기를 뜻하기도 하는 듯 하다.
‘모르고 읽어도 재밌고 알고 읽으면 더 재밌는 글’이라고 생각한다.
역법, 벡터 각 분파의 긴장관계, 로봇과 인간의 미묘한 교류, 다양한 무기를 활용하는 전쟁 상황등이 다소 낯설게 느껴지지만 아마 그건 내가 수.과학적 머리가 없어서 일 듯.
수학을 잘 아는 독자라면 수학을 활용하며 무기와 정부체제까지 만들어낸 작가의 상상력에 감탄하며 소설을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중심인물 외에도 매력적이면서 복잡한 내면의 등장인물들이 다수 등장한다. 특히 서비터라는 작은 크기의 비인간형 지성체 로봇들은 인간과 공존하기 위해 자신들만 공유하는 내부 규율을 가지고 사회를 형성하며 인간의 명령 이외에도 독자적인 판단 아래 움직이고 인간에게 비밀로 부치는 취미활동을 하는 등 일부는 다른 사람과 소통할 수 없는 처지가 된 주인공 체리스와 교감하며 친구가 되어주고, 일부는 체리스를 변수인자로 판단하고 의심하며 지켜보는 모습을 통해 고차원적인 사고방식을 엿보는 듯 했다.
한국계 미국인으로서 한국의 정서와 미국적 자본주의가 오묘하게 뒤섞인 미래세계를 보여준다.
잿불매를 상징하는 체리스, 구미호를 상징하는 제다오라는 설정 또한 한국의 설화를 바탕으로 한듯한 흐름을 통해 동양과 서양이 함께 공존 하는 구조를 통해 저자 반영한다고 볼 수도 있지만, 미국식 자본주의를 따르면서도 동양의 정서를 지향하는 우리나라의 혼란스러운 상황을 그리고 있는 것은 아닐까?
신선하기도 한 주제였기에 읽고 싶었던 책이었고 시간에 대한 고민과 더불어 나의 신념체계를
점검하기도 했던 시간이었다.
#나임폭스갬빗 #이윤하 #동아시아출판사 #허블 #동아시아출판사서포터즈 #서평도서 #추천도서
[본 도서는 동아시아출판사의 도서지원을 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