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Zoom 온라인 혁명
민진홍.이대영.김주환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0년 9월
평점 :
절판
[ ZOOM 온라인 혁명 ]
코로나가 참 많은 것을 변하게 했다.
어느정도 되면 정상화 되겠지. 하는 막연한
기대감도 이제는 포기해야 한다.
독서토론도 이제는 비대면. 카톡으로도 해보았지만
사실 대면이 그리웠기에 ZOOM으로 해보고 싶었다.
막상 줌으로 하려니 참여자로 줌을 하는 것에는
그럭저럭 할 만 했는데 호스트가 되어 진행하는 것은
너무 많은 부담감이 있어 도전을 포기했었다.
줌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되어버렸다
이 방, 저 방 다양하게 진행하는 줌 수업을 들으며
처음에는 어색했던 호스트들이 이제는 언제 그랬냐는 듯
매끄러운 진행, 전문가들이 되어 가는 모습속에
나도 용기를 내보지만 그래도 이론적으로 무언가 알아야
해서 읽게 되었는데 기능적인 부분을 많이 다룬
실기책 인 줄 알았다가
오호~~ 이런식의 멘트 좋아좋아~~
의외의 수확을 건진다.
강사가 시나리오를 준비하는 것처럼 줌으로도 같은 역할을
해야 한다.
쌍방으로 익숙해지는 시간이 필요.
처음에는 혼자서 대부분 이끌어야 하는 호스트 역할을
하기 위해 평소보다 몇배의 준비를 더 해야 했고
혼자 진행하기 보다 3인정도가 함께 줌 강의를 해야
퀄리티가 어느 정도 나온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우선 줌이 성공할 수 밖에 없었던 포인트를 본다
압도적 고객지향,
서비스에 적합한 비즈니스모델 (프리미엄 +바이럴)
대담한 광고투자
각국에 적합한 서비스 전개
온라인 비즈니스를 위한 절차의 줌을 배워본다.
코로나에 지지 않고 살아남으려면 ‘현재상황’과
‘지금 해야 할 일’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
‘온라인 비즈니스를 운영하기 위한 구조를 만드는 것’으로
이제 주먹구구식의 경영으로는 부족하며
비즈니스를 직감에 맡겨서는 안된다.
온라인으로 비즈니스를 하려면 ‘고객모집, 교육, 판매’라는
단계를 거쳐야 한다.
효과적인 시나리오를 준비하자.
누구를 위한 세미나인지 타킷을 명확히 하라
어떤 세미나를 할지 콘셉트를 확실하게 정한다
일정을 명확하게 정해두는 것이 좋다.
참가자 특전을 준비 그러기 위해서는 매력적인
제목을 지어야 한다.
가치제공 – 세미나의 흐름
(처음에는 가치제공 후반부에 상품설명,
이점을 미리 고객에게 공지)
1. 이름을 본명으로 변경- 신뢰도 상승
2. 영상켜서 얼굴공개 – 분위기 상승
3. 채팅 기능 작동 확인
4. 수강 환경의 주의사항 설명 – 집중력 향상
5. 적극적인 참가 요청
6. 세미나 참가 특전 안내 (세미나 종료 후 안내)
7. 참가자 질문 (적극적 참여)
8. 참가자 자기 소개 포인트 (질문법 이용한 참여도 상승)
9. 강사의 자기소개와 실적 소개
10. 세미나테마 + 후반 상품 설명회 공지
11. 세미나에서 배울 수 있는 것
12. 이상적인 모습 (이상향 구체화)
13. 과제 워크 (과제 구체화)
14. 질문] 왜 잘 되지 않는 것인지, 잘 되는 이유는 무엇인지? - 각자 결론 도출 유도
15. 잘 되면 어떤 상태가 될 수 있을까? - 희망을 상상
16. 실제 성공사례(실적) 소개
17. 어떤 사람을 위한 상품인지?
18. 메인 콘텐츠 (주제강의 – 3가지 피트)
19. 이 상품을 구입했을 때 얻는 가치
20. 빨리 또는 지금 바로 시작해야 하는 이유
21. 2가지 해결 방법 제시
22. 성공하는 사람과 실패하는 사람 비교
23. 마지막으로 잘 되기 위한 단계 제시
24. 다음 도전해야 할 과제 제시
25. 성공하기 위한 필요한 3가지 방법 제시
가치를 제공하기 위한 25가지 단계에는
필요한 멘트와 적절한 예시가 제공되어 있어
혼자 시나리오 연습을 해 볼 때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상품 설명 또한 시나리오가 제공되어 있어
줌을 하기 전 먼저 가상의 시나리오를 만들어
먼저 연습할 수 있도록 용기를 준다.
절반 이상이 줌을 왜 무엇을 어떻게 라는 목적과 방향을 제시
기능적인 부분은 조금씩 따라해 보고 연습해 보면 된다.
줌은 무료 가입으로 계정을 만들어서 참가하거나
미팅 주최자가 보낸 회의 ID로 참가할 수 있다
(미팅 주최자는 반드시 로그인 해야 한다)
줌의 홈 화면 – 가로로 넓은 랜드케이프 뷰의
홈화면은 Alt+L를 누 르면 절반 사이즈인 보트레이트 뷰로
전환 가능
화면공유를 끄는 순간 회의에서도 나가게 된다.
아쉬웠던 것은 유료 컨텐츠에서의 기능을 좀 더 많이
알고 싶었는데 난이도는 중간 수준으로만 맞춰 기능적인
부분이 제공되었다.
첫술에 배부르랴?
우선 내가 할 수 있는 것만큼 계속 연습하고 실행해보는 것이
정답인 듯.
쌍방을 준비했다가도 참여자의 호흥이 없으면
단방향으로 진행을 할 경우가 있어
줌은 강의준비의 시나리오를 몇배로
준비해야 한다.
현실을 직시하고 지금 상황을 이해하려는 자세를
그리고 보다 적극적인 실행이 필요함을 본다.
#ZOOM온라인혁명 #매일경제신문자 #민진홍 #이대영 #김주환
#책과콩나무 #책콩 #온라인비지니스 #ZOOM #ZOOM비니지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