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으로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하라 자음과모음 청소년인문 27
안나미 지음 / 자음과모음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음과 모음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후기입니다.




수학을 좀 더 재미있게 알아갈 수 있는 

책이 있어서 제가 먼저 읽고 소개해드려요.

안나미 작가님의 수학으로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하라 입니다.


수학자를 떠올리면 자연스레 서양 수학자들이

연상되는데요. 우리나라에도 위대한 수학자가

있었다고 해요.

최석정, 홍정하, 김영, 홍대용 등 

조선에도 수많은 수학자가 있었다고 합니다.

조선에서 수학은 중요한 학문이라서

많은 수학자들이 있었나 봅니다.


책은 크게 동양의 수학, 조선의 수학,

계산으로 보는 수학 세 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먼저 숫자의 의미에 대해 알려주는데요.

숫자들마다 어떤 상징이 숨어 있는지를

알 수 있는데 진짜 흥미롭습니다.

읽다보면 절로 머리가 끄덕끄덕하게되더라고요.

숫자 8 은 중국의 문명이 시작된 큰 강

항하에서 용과 말이 합쳐진 모습을 한 용마가

가지고 온 그림 속 숫자로 8괘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8괘는 자연계와 인간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여 세상이 변화하는 원리를 8개의 

기호로 만든 것입니다.

기호들은 하늘, 연못, 볼, 우레, 바람, 물, 

산, 땅을 상징한다고 해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태극기에도 이 8 괘 중

4괘가 그려져 있는데요. 하늘(건) 땅(곤)

물(감) 불(리) 의 뜻을 가진 4괘로 세상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를 나타낸 것이라고 합니다.

건 곤 감 리 라고 그냥 외우곤 했었는데

다 의미가 있었네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는

중국의 오래된 수학책 구장산술에 나와있는

구고법, 구고현법과 같은 내용이라고 합니다.

중국의 진평이라는 사람이 피타고라스보다

천 년 정도 먼저 이 원리를 찾아냈다고 해요.

구고법은 삼국 시대에도 사용되었으며

삼국사기에 구고법이 기술된 구장산술을

수학 교재로 사용했다는 설명이 있다고 합니다.

구고법은 지금도 잘 사용되고 있는데요.

바로 건축물을 설계하고 도로를 만들며

별과의 거리를 계산하고 위성의 궤도를

측정할 수 있다고 합니다.

저의 학창시절을 떠올려보면 공식을

그냥 배우기만 했었는데 배운 공식이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알게 된다면

좀 더 수학을 가깝게 느끼고 더 재밌게

학습할 수 있었을 것 같아요.

마방진, 구구단, 원주율, 최초의 계산기

산가지 등 알면 알수록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가득인데요.


처음 접하는 수학 이야기라서 더 

재밌게 다가오더라고요.

알지 못했던 조선의 수학 이야기를

읽어갈수록 아이들도 너무 흥미진진해합니다.





평소에 수학하면 서양의 학문이라 생각되었는데

이 책을 읽고 동양의 수학 또한 위대하고

그 기원이 오래 되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수학이 쉽고 재밌다고 느끼게 해주는 책

수학으로 세상을 널리 이롭게 해라 읽어보길

추천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