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래서 이런 맞춤법이 생겼대요 : 맞춤법 ㅣ 유래를 통해 배우는 초등 국어 6
우리누리 지음, 소노수정 그림 / 길벗스쿨 / 2015년 6월
평점 :
절판

초등국어 맞춤법에 관련된 책을 보았어요~
꼭 필요한 책이기에 찾아서 봤는데..
그동안 몰랐던 부분을 새롭게 알게 되더라구요~
초등생들 뿐만 아니라,
아이들의 책장에서 꺼내서
부모님들도 함께 읽으면 좋은 책이었어요~
가끔씩 글을 쓸 때,
이 나이가 되서도 헷갈리는 말들이 많아서
검색을 해서 확인을 하곤 하는데..
<그래서 이런 맞춤법이 생겼대요>
책 속엔 그동안 제가 검색했던 단어들도
들어 있어서 저만 힘들어 하는게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됐어요.

왠지와 웬일..
이 말도 정말 알송달송 할때가 많은데..
책속에서 아주 간단히 정리를 해주더라구요~
'왠'이 들어간 단어는 '왠지' 하나밖에 없다구요~
넘 간단하죠~
이 책을 안 읽었으면 아직도 헤매고 있을 단어에요~
주말에 예능 프로그램 자막을 보는데..
'웬지'라고 적혀 있어서..
잘못 적었다는 걸 단번에 알 수 있었어요~
참, 저는 여태까지 살아오면서 '거시기'라는 말이
사투리로 알고 있었어요.
그것도 전라도 사투리로요~
그런데..
웬일!!
'거시기'는 표준어라고 하네요~
어찌 이런 놀라운 일이..
여러분은 알고 계셨나요?
책 속엔 '거시기' 이외에도 우리가 사투리로
알고 있는 표준어들이 담겨져 있어서
놀라움의 연속이었어요~

아이가 초등생때 일기를 쓴걸 읽어 보면..
"네가 그랬잖아?"를 "니가 그랬잖아?"로 쓰는 걸
보곤 했어요~
아이들이 실수 하기 쉬운게 바로
'네가'와 '니가'인것 같아요~
콕콕 찝어서 그 차이점을 알려 준답니다.

얼마전 저도 검색해 보았던게 바로
'바래다'와 '바라다' 부분이었어요~~
그동안 저는 바래다와 바라다를
잘못 사용을 하고 있었다는 엄청난 사실에
충격을 받은 적이 있었어요..ㅎㅎ
'바람'이라는 말을 써야 했는데..
전 그동안 '바램'이라는 말을 사용을
하고 있었거든요~
"아이가 키가 크길 바래요~"
이렇게 글을 작성을 했다죠ㅠ.ㅠ
정확한 표현은 "아이가 키가 크길 바람니다."
가 맞다고 해요.
'어떡해'와 '어떻게'도 자주 헤매게 되는 말이죠~
저만 그런건가요?
체계적으로 국어를 배우지 못했던
어린 시절이었다는 생각이 들어요~
아님, 공부 시간에 제가 한눈을 팔았을 까요?ㅋ
우리 아이들은 책을 통해서 처음부터 올바른 표현을
배워간다면 저 처럼 잘못된 표현을
오랜시간 사용을 할 일이 없어지겠죠~

중학생이 된 아이에게 맞춤법을 꼭 한번
정리를 해주고 싶은 마음에
책을 전해 줄 생각이에요~
이 책은 항상 책장에 두고서
긴가민가 할때 들춰 보면 가려운 곳을
긁었을때 처럼 시원해 질 것 같아요~
맞춤법 사용..
첨부터 제대로 배운다면 힘들지 않을 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