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나폴레옹 세트 - 전5권
막스 갈로 지음, 임헌 옮김 / 문학동네 / 2002년 8월
평점 :
품절


나폴레옹은 1769년 코르시카 섬에서 태어났다

나폴레옹은 프랑스의 피가 아닌 이탈리아의 피가 흐르고 있었다

그의 아버지는 반란군 지도자였다

나폴레옹은 어렸을때부터 코르시카를 독립시킬거라는 생각을 계속 해왔다

그리고 나폴레옹은 프랑스 사관 학교를 다녔다

그리고 나폴레옹은 프랑스 사관 학교를 다니면서 유럽 정복을 꿈꾸워 왔다

그리고 나폴레옹은 학교 외진곳에 줄은 쳐놓고 그안에서 독서를 하였다

그리고 사관 학교를 졸업한 나폴레옹은 포병 장교가 되었어요

그의 꿈은 해군 장교가 되고 싶었으나 그권리는 귀족들만 누릴수 있는 권리였다

나는 이런 법은 불공평하다고 생각한다 귀족이나 평민이나 똑같은 사람인데

누구는 잘해주고 누구는 잘 않해주는 신분제도는 있으면 않된다는 생각이든다

나폴레옹은 훌륭한 장군으로 인정 받기 시작한게 1793년이다

그는 항구를 점령한 영국군을 물리치고 이름을 떨쳤다

이렇게 해서 이탈리아 곳곳을 가면 모든 적을 물리치던 나폴레옹에게도 큰 위기가 닥쳤다

이집트를 식민지로 삼고 이집트를 점령하고 다시 프랑스로 돌아가다가 영국군과 바다에서 전투를

벌려 진것이다

이집트에 가치게 된 나폴레옹은 나갈연구를 하고 있었다

이떄 다른 영국군이 프랑스 북쪽을 치고 위기를 당하고 있었을때 나폴레옹이 파리로 귀환했다

영국군을 물리치고 다시 돌아온것이다

나는 나폴레옹이 정치를 차지한 독재라고도 생각하지만 다른쪽에서 생각을 하면

나폴레옹도 땅을 넓히고 세금을 줄이며 나라를 위해 직접 전투를 하고 위기에는 머리를 쓰는

나폴레옹이 정말 대단하다

하지만 나폴레옹이 러시아가 영국과 손을 잡은것을 알고 분노가 넘친 나폴레옹은 러시아를 치러 가는데 뭔가 수상했다 가는 마을 마다 불이 질러있고 군사는 없는것이다

그래서 한달이라는 시간을 기다려지만 오지 않아 철수를 하려는데 러시아군이 쳐들어온것이다

완패를 당한 나폴레옹은 엘바 섬으로 유배가 되었다

나라면 뭔가 이상한 느낌이 오면 바로 프랑스로 돌아갔을것이다

그리고 엘바섬에서 자신을 따른 군인들과 탈출하여 다시 정권을 잡고 황제자리에 올랐다

그러나 다시 전쟁에서 완패를 하자 세인트헬레나 섬으로 유배를 당하고 죽었다

나라면 다시 황재자리에 오르면 일단 왕권을 유지하고 살려면 프랑스가 뺏은 땅을 다시 돌려주고

전쟁은 그만두고 평화롭게 살았었을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수현 2012-03-03 17: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ㅋㅋ 어때요 잘썻죠?
 
십자군 - 기사와 영웅들의 장대한 로망스
토머스 F. 매든 지음, 권영주 옮김 / 루비박스 / 2005년 5월
평점 :
품절


십자군 전쟁

십자군 전쟁은 1096~1270년까지

200년간 계속되었따

맨처음그리스도 교황이

그리스도 회의 에서 이러헤 말했다

저 흉폭한 이슬람교도들이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가 태어나신 성스러운 땅을 점령하고 그곳에 있는 크리스트 교됴들을 마구 죽이고있다고 한다

언제까지 이 치욕을 참고만 있을건가 나와함꼐 십자군이 되어 저 사악한 이슬함교도들을 예루살렘에서 몰아내지  않겠는가?

교황이 이렇게 말하자 한사람이 참을수없다고 전쟁을 일으키자고 하니까

모두 일어나서 전쟁을 하자고 했따

이렇게 해서 1096년 프랑스를 중심으로 구성괸 3만5000여 명의 대군이 성지를 탈환하기; 위해

예루살렘으로 향하게 되었다 이것이 바로 제1차 십자군 전쟁이다

십자군이 예루살ㄻ을 향해 출발할 당시 이슬람 세력을 주도하던 투르크는 왕위 다툼으로 매우 혼랑스러운 상태였다

이 어지러운 상태에서 십자군이 공격하여 예루살렘은 십자군의 것으로 됬다

그후로는 다시 이슬람교도가 갔다가 왔다갔다 하다가 마지막에 교황이 물러나면서

십자군 전쟁은 끝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국 론리 플래닛 트래블 가이드
데미안 하퍼 외 10인 지음, 이호정 외 5인 옮김 / 안그라픽스 / 2010년 1월
평점 :
절판


중국은 184년 황건적의 난으로 어지러운 가운데 군옹이

 각지에서 등장하여 조조 손권 유비의 세력 다툼이 37년간

계속되다가 위 촉 오의 삼구깃대를 맞게 됬습니다

208년 적벽 싸움에서 조조가 손권 유비의 연합군에 패함으로써

 그 판도가궅어졌으나 이 세나라는

그 뒤에도 10년간세력 확장을 위해 싸움을 계속하였습니다

220년 조조의 아들 조비가 후한 헌제에게 양위를 강요하

ㅕ 약400년간 이어져온 한 제국은 멸망하였습니다

두이어 유비가 촉을 세우고 222년 오의 손권이 왕국

을 세워 삼구 시대가 되었다

위는 후한의 수도 낙양을 수도로 삼고 화북 전체를 지배하여

 삼국주 가장강하였으나 265년

사마염이 진을 세움으로써 멸망하였다

나는 영토를 넓히려는 마음은 이해하겠지만 같은 민족이 피를

흘리면서 싸우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9.11 테러 이후 미 중 러 3각 관계의 변화
홍현익 지음 / 세종연구소 / 200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러시아와 미국의 발전

러시아는 1917년에 일어난 혁명으로 사회주의 국가가 되었고

미국은 세계 대전 후 강대국이 되었다

제차 세계대전으로 러시아 국민의 생활은 매우 궁핍해졌습니다

공장과 농촌에서 파업과 폭동이 잇ㄸ르ㅏㅆ으며 병사들이 사기도 날로 떨어졌습니다

결국1917년3월 러시아의 수도 페트로그라드에서

대규모 파업이 발생하기에 이르렀고

병사들도 진압명령을 무시한 채 이에 합류했습니다

반란은 죽시 전국의 공업 도시로 확산되었으며 각지의 노동자와 병상의 소비에트가 조직되었습니다

소비에트는 도시오 지방 노동자와 병사 농민 등 가계 강층이

참여하여 혁명을 원동력하였따

내 생각에는 이렇게 국민을 못살게 하면 나라의 중심이 깨져서

망할것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폴레옹 시공 디스커버리 총서 109
티에리 랑츠 지음, 이현숙 옮김 / 시공사 / 2001년 4월
평점 :
품절


 

나플레옹 보나파르트는 1769년 코르시카 섬에서 태어났다

코르시카 섬은 나폴레옹이 태어나기 바로 1년전인

1768년 프랑스영토가 되었으며 프랑ㅅ의 황제

나폴레옹의 몽ㅁ에는 이탈리아 인의 피가 흐르고 있었다

훗날 사관 학교를 졸업하고 해군장교가 되고 싶었지만

 신분의 차이로 육군 장굑 된 그느 툴롱 항구를 점령한 영국군을

물리치고 파리 폭동을 진압하여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그휴 이탈리아 지역 사령관으로 부임한 그는 굶주림과 피로에 지쳐 사기가 떨어진 프랑스군을 일으켜 세워

단 3주 만에 프로이센과 오스트스트리아 연합군을 무찔렀다

나폴레옹은 몇 년째 질질 끌던 전투르 단숨에 마무리

 짓고 1979년 드디어 이탈리아를 모두 점령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