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공부를 하면서 독일의 사상들을 꾸준히 찾게 된다. 영국이나 프랑스에서는 별로 내가 참고할만한 것이 없다. 영국은 지나치게 간소하고 프랑스는 빈 수레만 요란하다 - 들뢰즈는 예외이다. 그런데 독일의 사상가들을 면면히 살펴보면서 느끼는 건, 그 저변에 독일적 정신이라 부를 수 있는 무언가가 흐르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이는 각 사상가들에 따라 끊임없이 변주되고 시대에 따라 진보하기 때문에 결코 같은 외양을 띄지는 않지만, 그 속에는 항상 하나의 정신이 출현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 때 나는 니체만은 이러한 전통에서 벗어난, 가장 비독일적인 독일 사상가라고 생각했었다. 많은 철학사가들이 이러한 관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며, 이들은 오히려 니체를 종종 영국 경험론과 결부시키곤 한다. 그러나 나는 여기서 고개를 갸우뚱거릴 수밖에 없다. 니체를 영국 경험론과 결부시키는 것은 명백한 희화화이며 니체 철학의 정수를 지우는 결과만 낳기 때문이다. 해서 나는 니체는 독일적 정신의 흐름 속에서 있으면서도, 동시에 스스로를 초극하고자 하는 의지의 발현이라고 결론지었다. 그런데 이렇게 놓고 보니 다른 독일 사상가들도 달리 보였다. 초극하는 사상가와 그렇지 못하고 자신의 성향으로 회귀하는 사상가, 이 두 가지 종류의 독일 사상가들을 구분해보았다.
니체는 자신의 시대와 비교했을 때, 도무지 접점을 찾을 수 없을 정도로 멀리 날아가버린 미래의 사상가였다. 스스로도 이를 감당하지 못했다는 것을 나는 읽을 수 있다. 자신이 어린아이가 되었다고 주장했지만, 그는 어린아이를 예감했을 뿐 분명히 사자였다. 그것도 분노에 몸부림치는 아직 젊은 사자. 니체 다음으로 깊은 인상을 받은 사상가는 짐멜이다. 아직도 인지도에서 짐멜이 베버보다 아래 있는 것은 사람들의 낮은 정신 수준을 보여주는 한 사례다. 단언하건데, 베버는 짐멜보다 한 단계 아래의 사상가이며, 오늘날 짐멜은 여전히 유효한 시사점을 던져주는 반면 베버는 구시대의 유물이다. 특히나 짐멜은 니체도 하지 못했던 주관과 객관의 융합을 모색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고 싶다 - 결과적으로는 실패라고 생각하지만. 칸트 또한 자신의 시대를 초극한 인물로 꼽지 않을 수 없다. 모든 근대 학문의 기초를 제공한 인물을 평가절하하기는 힘든 일이다. 다만 오늘날 칸트를 칸트의 저작으로 공부하는 것은 시간 낭비이며, 철학 외에 여타 인문학들을 통해 그의 윤곽을 그려보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
이상이 내가 생각하는 '초극'에 성공한 이들이다. 다음으로 성공과 실패 중간에 걸쳐있는 이로 마르크스를 들고 싶다. 그의 유물론이 단순히 헤겔의 전도가 아니기 때문에 실패는 아니지만, 그 이상의 뚜렷한 무엇을 남기지 못했다는 점에서 성공도 아니라고 본다. 그의 성공은 항상 파편적으로 희미하게만 나타나며, 이는 정신 분석에서의 증상을 연상시킨다. 철학자들이 끊임없이 마르크스를 탐구의 대상으로 삼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일 것이다. 그의 경우는 마치 정신의 단면이 잘려져 텍스트라는 평면 위에 펼쳐지는 드문 사건이기 때문에 항상 현상의 '이면'에만 천착하는 이들에게는 거부할 수 없는 유혹이리라.
베버와 헤겔은 초극에 실패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까지 맹위를 떨치는 사상가들이다. 때문에 나는 이들을 싫어한다. 특히 헤겔이 그렇다. 내 눈에 헤겔의 사상은 인간 정신이 퇴화할 수 있는 최대치를 보여준다. 헤겔주의자를 자처하는 지젝이 오늘날 세계적인 지식인이라는 점은 그 동안 수많은 선각자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 세계가 얼마나 무지몽매한지 보여주는 실례이다. 베버의 경우, 그가 철학자가 아닌 사회학자이며 그가 자신의 사상을 만들어가는데 얼마나 일관되게 노력했는지가 드러나기 때문에 심하게 비판할 생각은 들지 않는다. 그러나 그의 사유는 항상 현실과의 타협점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는 노력이 천재성을 넘지 못한다는 증거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