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톨이 - 제8회 푸른문학상 수상 청소년소설집 푸른도서관 39
김인해 외 지음 / 푸른책들 / 2010년 11월
평점 :
절판


[외톨이] 푸른문학상 수상작들의 진지한 이야기

원색적인 표지에서 부터 강한 인상을 던져 준 <외톨이>.
사람들이 있는 곳이라면 알력이 있게 마련이지만, 자라나는 우리 아이들의 세계에서도 그 모습을 엿보는 것 같아 못내 마음이 아프다.
<외톨이>를 읽고 있는 나를 보며 표지와 제목을 살피던 아직 초등 입학 전인 딸아이가 "엄마, 외톨이는 어떤 내용이에요?"하고 물어온다.
그러면서 자신이 알고 있는 '외톨이'에 대해 그것이 맞느냐고 말해서 놀라고 있던 차 "그럼 표지에 있는 오빠가 외톨이에요?, 안됐다...."하고 말하는 딸아이.
아직 어린 나이지만 벌써 '외톨이'에 대해서 너무나 잘 알고 있는 것이 대견스럽다기 보단 마음 한 구석이 착잡해 지는 것은 어찌할 수 없는 것 같다.

자신의 의도는 그것이 아니었지만 주변에 있는 사람들로 인해 그것으로 치부되어져 버리는 일들이 얼마나 많겠는가.
그러면서 어떤 이는 마음의 상처를 받고 또 어떤 이는 자의든 타의든 그렇게 상처를 주게 되게 되는 일들이 반복되는 것이겠지.

이번 푸른문학상을 수상한 [외톨이]에는 세 편의 이야기가 실렸있다.
<외톨이>, <캐모마일 차 마실래?>, <한파주의보>이렇게 엮여있는데 모두가 하나 같이 독창적이고 그 내면에 어떤 소중한 메시지가 담겨 있는 것이 이들의 공통점이라고 말하고 싶다.

이 시대의 아이들의 모습을 대변이라도 하는 듯한 <외톨이>는 처음부터 '네가 외톨이는 아니었다'는 2인칭 관점에서 시작된다.
나의 눈에 비친 너의 모습을 보고 또 너라는 존재로 인해 나의 모습을 나타내는 방식이 참으로 신선했다.
그러면서 자의 반, 타의 반에 의해 오해가 생기면서 서로에게 벽이 생기고 급기야 폭력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이야기 마지막에서 우리는 짐작할 수 있을까?
폭력은 또 다른 폭력을 낳는 것이고 한 번의 폭력이 다음에는 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모른다.
중요한 것은 이 사건 뒤 밝혀지는 사실에 대해 볼일을 보고도 시원하지 않는 마음처럼 참으로 복잡하고 착잡해진다.

첫 번째 이야기에 이어 <캐모마일 차 마실래?>를 읽으면서 그나마 마음이 환해지고 포근해 지는 느낌이랄까?
<외톨이>가 강한 인상을 던져 준다면 <캐모마일 차 마실래?>는 부드러움을 던져 주는 이야기다.
부모님과 함께 하는 나들이에서 교통사고를 당한 후 이 세상에 혼자 남게 되고, 그 사고를 통해 수술을 했지만 다리가 불편해 진 지연이의 이야기를 봉사활동을 해야하는 석이의 눈을 통해 담아 내고 있다.
석이는 처음엔 그냥 봉사활동의 시간을 채워야 해서 어쩔 수 없이 가지만 이러한 활동을 통해 마음의 문을 열고 지연이와 대화를 하게되는 계기가 된다.
석이는 친구들 사이에서 그렇게 인기있는 아이도 그 반대도 아니다.
하지만 봉사활동을 통해 새로운 친구를 만나게 되는데, 하필이면 만날 때 마다 썩 편하게 대해 주지는 않는다.
그것도 그럴것이 어렸을 적 큰 교통사고를 통해 부모님을 여의고 자신의 다리도 불편하게 되었으니 신경이 예민해졌을 수 밖에.....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석이가 봉사하기 위해 방문하는 횟수가 늘어가면서 조금씩 변화하는 석이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내가 마음의 문을 열고 다가가면 그 상대편도 마음의 문을 열게 마련이라는 것을 이야기해 주는 듯 하다.
홀로 세상에 남겨진 지연이, 또 지연이와 비슷한 처지에 있을 모든 사람들에게 우리의 따뜻한 말 한마디와 작은 관심이 얼마나 큰 힘이 될까 새삼 느끼게 되었다.

<한파주의보>는 중학교 3학년이 되는 진오에게 새엄마가 생기면서 시작된다.
하지만 둘의 사이는 그렇게 편해 보이지는 않는데, 한파주의보때문에 어쩔 수 없이 집에 둘만 남게되는 상황이 생겼다.
그런데 업친데 덥친 격으로 집을 비웠던 사이 수도관이 꽁꽁 얼어 붙어면서 예기치 못한 일들이 생기게 된다.
그렇지만 이 사건을 통해 둘은 몰랐던 사실도 알게 되고 좀 더 가까워 지게 되는 계기가 된다.
새엄마도 예전 새엄마 밑에서 자랐다는 사실, 그리고 힘들게 혼자 살면서 이것 저것 안 해 본 일이 없다는 사실, 그래서인지 진오에게 새엄마라는 인식을 심어주기 보단 그냥 한 사람으로써 그리고 인생을 좀 더 살아 본 선배 입장에서 진오가 생활하는데 여러가지 면에서 힘이 되어 준다.
그런 모습을 보고 진오는 마음의 문을 열게 되고 처음에 수줍어 하고 불편했던 마음들이 한파주의보에 꽁꽁 얼어 붙었던 수도관이 사르르 녹는 것 처럼 그렇게 사르르 녹아갔다.

세 편의 이야기를 종합해서 보면 각 상황에서 모두가 '혼자'라는 '외톨이'이 였다는 공통점을 발견하게 된다.
하지만 '외톨이'를 만드는 것도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며 또 거기에서 구해 줄 수 있는 사람들도 주변에 있는 '우리'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세 편의 이야기 모두 각 각의 색깔이 뚜렷해서 읽는데 시간 가는 줄 모르고 홀릭되었었는데, 읽고 난 후에는 <외톨이>의 여운이 오래 남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