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반 인터넷 소설가 푸른도서관 36
이금이 지음, 이누리 그림 / 푸른책들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푸른책들]우리 반 인터넷 소설가_고정관념에 사로잡혀 버린 우리들의 현 주소


좋은 이야기들로 우리에겐 너무나 친근한 이금이 선생님께서 쓰신 <우리 반 인터넷 소설가>를 오늘 또 펼쳤습니다.
처음 책을 손에 쥐었을 때는 그냥 무작정 읽기만 했답니다.
책을 읽고 나서도 한 동안 멍하니 있었고 저의 신경 세포들이 자극을 받았다는 것을 느낄 정도로 참으로 많은 생각이 들게 하는 이야기였습니다.
지금 다시 꺼내 읽고 또 생각해 보아도 참 우리가 살아가는 아니 우리 아이들이 생활하는 공간들이 너무 힘겹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통념처럼 굳어버린 고정관념으로 인해 아무 죄없는 학생이 치루어야 할 상처가 너무나 커다는 것이 가슴 아팠습니다.

사실 이야기를 읽기 전에는 왜  <우리 반 인터넷 소설가>가 그토록 유명할까??? 생각했었답니다.
그도 그럴 것이 또한 이금이 선생님께서 펴내신 책이어서 더더욱 궁금하기도 했었고 말이죠.
보통 제목을 보면 대략의 줄거리를 이해할 수 있는데 이번에는 이야기를 읽으면서도 깊고 어두운 굴 속으로 들어가는 냥
혼란스럽기도 하고 도대체 누가 담임선생님 자리에 A4용지를 가져다 놓았을지 궁금해서 참을 수가 없었답니다.

이야기는 봄이가 결석을 하면서 시작됩니다.
그리고 담임선생님 자리에 A4용지 묶음이 올려져 있는 것을 발견하고 읽기 시작하는데요,
선생님은 그 A4용지에 적힌 소설을 읽으면서 반 아이들이 돌아가며 봄이에 대해 적어 놓은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아이들이 왜 이런 글을 썼는지 소설을 읽으면서도 궁금증은 좀처럼 풀어지지 않았답니다.
그리고 매 편의 이야기마다 10336, 10325 등과 같이 숫자가 씌어져 있는데 이것은 학년 반, 번호여서 선생님은 아이들이 쓴 글을 읽으며 봄이가 결석을 한 이유에 대해 좀 더 알기위해 애쓰고 있었답니다.
글을 읽는 제 자신 조차도 도대체 누가 이런 글을 썼을까 너무나 궁금해서 참을 수가 없었답니다.

누구나가 보아도 외모나 몸매가 뛰어나지 않은 봄이.
하지만 외국에서 생활했던 봄이가 고등학교에 다시 진학하고 훈남의 대학생을 사귄다는 말에 반 아이들은 궁금해 하는 것 반,
재미있게 듣거나 듣더라도 믿으려 하지 않았답니다.
왜 자신보다 조금 못 난 봄이가 잘 생긴 대학생을 사귄다고 하면 말이 안되는 것이라 생각할까요???
이것은 바로 지금 우리 사회에서 볼 수 있는 외모지상주의가 나은 병폐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자신이 남보다 우위에 있다고 생각하는 한 자신이 하지 못하는데 다른이가 한다는 것은 도저히 받아 들일 수 없는 것 또한 마찬가지라고 하겠습니다.

하지만 마지막에 벌어지는 대반전이란!!!!!!!!!!!!!!!
이 책을 읽어 본 독자라면 누구나 그 반전에 대해 놀랐으리라 생각합니다.
저도 A4용지에 소설을 쓴 이를 알고 부터는 그야말로 온 몸이 소스라치는 듯한 느낌을 받았으니까요.
결말에 대해서는 아직 <우리 반 인터넷 소설가>를 읽어 보고 싶지만 미처 접하지 못한 분들을 위해 비워 놓기로 하겠습니다.
그리고 이 이야기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사실은 개인적인 편견과 고정관념으로 인해 아무 죄 없는 사람이 희생양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 그리고 그 희생양이 우리 자신, 우리 아이들일 수도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또한, 그렇게 되지 않기 위해서는 그 사람의 외모를 보고 판단할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이 내면에 가지고 있는 그대로의 진실된 모습을 받아 들이고 바라 볼 줄 아는 자세일 것입니다.

이야기를 읽고 나서 한동안 먹먹하고 가슴이 답답해 져 오는 것을 간신히 참았습니다.
현실에서는 소설에 나오는 봄이와 같은 희생양이 없기를 간절히 바래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