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았니? 죽었니? 살았다! 길벗어린이 과학그림책 6
김경후 글, 문종훈 그림 / 길벗어린이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았니? 죽었니? 살았다!

제목부터 우리를 흥얼거리게 하면서 즐겁게 책속으로 끌어당깁니다. 놀이책일까? 하는 기대감에 책장을 넘기니 한 아이가 따라오라는 듯 문을 열고 들어가려 합니다. 문을 열고 들어간 방 안은 아주 조용합니다. 어느 것 하나 움직이지 않아 모두 죽은듯 합니다. 그러나 '살았니? 죽었니?' 말하는 순간 '살았다!' 하며 강아지, 고양이, 파랑새, 물고기가 팔짝팔짝, 사뿐사뿐, 파닥파닥, 살랑살랑 움직입니다. 살아있는 건 스스로 움직입니다. 살아 움직이는 모습을 보니 덩달아 어깨가 들썩들썩합니다.

그럼 나무랑 풀은 살아 있는걸까요? 죽은걸까요? 움직임을 자세히 살피지 않으면 죽은 것처럼 느껴지지만 햇빛을 따라 자라면서 서서히 움직이고,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땅속에서는 뿌리가 더 넓게넓게 자라고 있습니다.

살아 있는 건 모두 먹고 또 먹으면서 자라납니다. 숲 속 친구들은 무얼 먹을까요? 메뚜기는 풀을 먹고, 개구리는 풀 먹은 메뚜기를 먹고, 뱀은 메뚜기 먹은 개구리를 먹고, 수리는 개구리 먹은 뱀을 먹고 힘을 냅니다. 서로 먹고 먹히면서 자라납니다. 바닷속 친구들은 무얼 먹을까요? 플랑크톤을 먹은 정어리떼를 고래, 바닷새, 물개, 돌고래, 상어가 먹고 자랍니다.

우리 사람들은 땅속 물속 뭐든지 다 먹고 자랍니다. 커다랗게 벌린 입 안에 모든 것이 다 있습니다. 뱃속인 줄 알았더니 아주 동그랗게 벌린 큰 입입니다. 이렇게 많은 것을 다 먹고 자라는 사람이 욕심쟁이 인것도 같습니다.

살아 있는 건 또 어떤 걸까요? 꼬리에 꼬리를 물고 우리의 궁금증은 더 나아갑니다. 살아있다는 것에서부터 시작해 먹이사슬의 관계를 이해하고 이제 올챙이가 개구리가 되고, 도토리가 떡갈나무가 되고, 알이 자라 수리부엉이가 되듯 모두모두 자라서 어른이 되어간다는 것을 이해합니다. 어른이 되면 다시 아기를 낳고 부모에서 자식으로 이어져 생명의 순환이 빙글빙글 계속된다는 것을 압니다.

그렇다면 죽음은 어떻게 받아들일까요? 죽는건 슬픈 일이지만 또다른 생명을 키우는 밑거름이 된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그렇게 살아있는 모든 것이 빙글빙글 이어져 있어 생태계가 순환되어감을 느끼게 됩니다. 우리 모두는 '살았다!'하고 자신의 존재를 외치며 살아갑니다.

생태계의 힘은 참으로 신비롭습니다. 각자 주어진 위치에서 제 역할을 해가며 균형을 이루며 살아갑니다.

아이들에게 생명이란 궁금하고 어려운 것입니다. '살았니? 죽었니? 살았다!'와 함께라면 어렵지 않고 재미나게 알아갈 수 있습니다. 우리의 일상에서부터 시작해 대자연의 모습까지 모두 보여주며 함께 생각을 넓혀갈 수 있는 과학그림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