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땀 한 땀 손끝으로 전하는 이야기 전통문화 그림책 솔거나라
지혜라 글.그림 / 보림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의 전통문화 그림책을 만날때면 왠지 책을 볼때도 한장 한장 조심스럽고 정성스러운 마음가짐을 갖게 됩니다. 우리의 전통을 지켜나가는 그 마음이 고스란히 책 속에 담겨있기 때문인 것 같아요. <한땀한땀 손끝으로 전하는 이야기>는 우리의 전통 바느질의 세계와 바느질 방법, 그 안에 담긴 의미들을 되새겨보게 하는 그림책입니다.

요즘 즐겨보는 드라마에서 전통 한복의 맥을 그대로 이어가는 '비술채'가 등장합니다. 옷감을 천연재료로 염색하고, 직접 한땀한땀 정성을 다해 바느질하는 모습이 이 책과 겹쳐서 떠오릅니다. 극 중의 주인공은 그 한복을 입는 사람에 맞추어 염색부터 바느질까지 정성을 다해야 그 사람의 옷이 된다고 말하지요. 극 중 비술채에 들어선듯한 마음으로 이 책속으로 들어가 봅니다.

정갈한 한옥집 할머니댁에 들어선 손녀는 바느질을 잘하시는 할머니께 그동안 만든 걸 보여달라고 조릅니다. 할머니는 벽장문을 열어 특별한 것들을 보여주시지요.

할머니의 할머니가 자투리 천조각 100개를 이어 만들었다는 조각보에는 할머니의 어린 시절 이야기가 담겨 있어요. 백살이 넘은 삼회장저고리는 굉장히 기품이 있어 보입니다. 알록달록 굴레는 손녀에 대한 할머니의 사랑이 가득 들어있어 더 예뻐 보입니다. 모란꽃 만발한 자수가리개는 정성이 가득 들어가 보입니다. 직접 한땀 한땀 수를 놓으며 선물받을 사람을 생각했겠지요. 받는 사람 또한 자수가리개를 볼때마다 수를 놓은 사람의 마음을 생각했을테이니 멀리 떨어져 있어도 그 마음이 항상 함께했으리라 여겨집니다. 독립운동을 하다가 감옥에 돌아가신 할아버지를 위해 만들었다는 누비 두루마기는 한 번도 입어보지 못했다는 안타까운 사연에 마음이 아픕니다. 목화솜을 넣고 한줄 한줄 공들였을 그 마음이 안타까워요.

할머니께서 보여주신 백년 가까이 된 정성스런 유물작품들과 함께 감침질, 홈질, 박음질과 같은 바느질 방법과 징금수, 평수, 가름수, 자련수, 사슬수 같은 자수 기법이 소개됩니다. 또한 조각보와 삼회장 저고리와 치마, 굴레와 누비 두루마기 만드는 제작과정까지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아이들이 보기에 어려울수도 있지만 그만큼 유물 하나하나에 정성이 가득 들어갔다는 것을 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그림책을 함께 본 큰 아이는 자기도 100개의 천조각이 들어간 조각보가 있으면 좋겠다고 합니다. 작은 아이는 겨울에 진짜 누비 두루마기를 입으면 안춥냐며 입어보고 싶다 합니다. 기성복을 입고 있는 우리에게 이런 유물들은 아주 특별하게 다가오는듯 합니다. 나만을 위한 오직 하나밖에 없는 정성스런 물건이기 때문이겠지요. 엄마인 저는 학창시절 가사시간에 숙제때문에 했던 자수가 떠오르면서 두폭짜리 자수가리개가 자꾸 눈에 들어옵니다. 나이가 들어갈수록 오래된 전통적인 것들이 더 마음이 갑니다.

우리들 마음 속에 전통문화의 얼들이 스며들어 있나 봅니다. 한땀 한땀 정성을 다해 지은 바느질 작품들을 보니 우리의 옛 문화에 대한 그리움이 더 커져나가는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