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대의 비밀 - 쿠바로 간 홀로코스트 난민 보림문학선 11
마가리타 엥글 지음, 김율희 옮김 / 보림 / 2013년 8월
평점 :
품절


홀로코스트라면 2차세계대전 당시 독일의 유대인 대학살을 말하는데 쿠바로 간 난민 이야기라면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어떠한 역사적 진실이 담겨있는 것일까..

제법 두툼한 책의 두께와 달리 글의 내용은 일기처럼 간단하다.

다니엘로 시작하는 글은 누군가에게 쓴 편지글일까? 누군가 다니엘이란 사람에게 자신의 이야기를 일기로 남긴 글일까? 궁금증이 더해진 채 페이지를 넘기게 된다.

다니엘에 이어 팔로마, 다비드의  글까지 보고나니 그제서야 이 글을 쓴 사람의 이름이 맨 위에 적혀져 있다는걸 알게 되었다. 편지가 아니라 일기형식이었구나! 아님 시라고도 할 수 있겠다.

우리나라가 일제에 의해 침략을 당하고 고통을 겪었듯이 유대인들 또한 독일 나치들에 의해 엄청난 고통을 겪었다. 그래서 유대인들의 아픔이 남의  일 같지 않다.

'수정의 밤' 이후 유대인 말살정책이 시작되고 유대인들은 다른 나라로 이주할 수 있는 비자를 구하기 위해 발버둥친다. 다니엘은 단 하나만의 비자를 구해 부모님은 그대로 남겨둔 채 혼자서 쿠바행 배에 올라탔다. 어린 소년에게 참으로 감당하기 힘든 현실이었을 것이다.

계속해서 쿠바로 들어오려는 유대인들을 태운 배, 그 사이에서 자신들의 배만 불리기 바쁜 팔로마 아빠와 같은 쿠바 관리들, 자원봉사 활동을 하며 그런 아빠와 등을 지고 사는 팔로마, 러시아에서 도망쳐온 다비드, 좀처럼 마음을 열지 않는 다니엘.. 모두 인간의 생명에 대한 존중은 생각지도 않고 어떤 수단을 이용해서든 자신들의 욕심만 챙기려는 전쟁의 아픈 상처들이다.

다니엘과 팔로마, 다비드의 독백과 같은 일기를 보며 우리는 그들 내면의 아픔과 상처를 함께 공감하고 느끼며, 그들의 아픔을 조금이나마 위로해주고픈 마음이 든다. 우리도 그들과 같은 상처와 아픔을 아직도 가슴에 품고 있기 때문에 더 그러하다.

우리의 역사 뿐만 아니라 유대인들의 역사에도 이런 가슴아픈 현실들이 존재했다는걸 아이가 더 크면 함께 이야기해볼 수 있으리라.

 

진실은 시간의 시험을 견디지만 거짓은 결국 드러나고야 만다고 배웠다.

-다비드

 

다비드의 말처럼 진실은 언젠가는 드러나게 되어 있다. 자신들의 거짓된 행동을 덮기 위해 각종 미디어를 통해 유언비어를 퍼뜨린다해도 시간이 지나면 진실은 밝혀진다.

예나 지금이나 권력있고 힘있는 자들의 수단은 비슷한가보다. 아무리 우리의 눈과 귀를 닫으려한들 그 진실이 영원할수는 없으리란걸 다비드의 말을 통해 다시 한번 느끼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