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이야기 전통문화 그림책 솔거나라
김선남 글.그림 / 보림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렸을적 서울여행은 방학에만 꿈꿀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이었다.

사람도 많고, 차도 많고, 건물들도 빼곡히 들어선 서울..세월이 지난 지금도 서울에 대해 느끼는 감정은 크게 변하지 않은 것 같다.

하지만 내가 사는 곳에는 없고 서울에만 있는 것! 그 특별함이 있기에 매번 서울여행이 설레이는 것 같다.

서울이라는 큰 도시를 가로지르는 한강, 그 위를 지하철을 타고 지날때마다 이 한강이 있기에 이렇게 복잡한 서울에 사는 사람들도 숨통을 트이며 살겠구나~ 하는 생각도 들었다.

그리고 그 많은 현대적인 높은 건물들 사이에 있는 궁궐들은 높은 빌딩과 이상한 대비를 이루면서도 예전의 서울(한양)이 어떠했을지 궁금증도 일으키고 도심 한복판에 있다는 것 자체만으로 큰 흥미를 끈다.

 

새로운 솔거나라 시리즈 <서울이야기>..

어쩌다 일보러나 여행삼아 가본 서울이라 어디가 어디인지 잘 모르기도 하지만 낯선 도시이기에 아이들에게 옛날의 서울(한양)은 이랬단다~ 외에는 이야기나눠보거나 해줄 이야기도 별로 없는게 사실이다.

그저 우리가 가보고싶은 경복궁이나 창덕궁과 같은 궁궐이나 도성에는 사대문이 있었다는 것을 살펴보는 수준이었다.

아이들이 역사를 배우고 난다면 조선왕조의 역사를 되짚어보며 이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서 궁궐이 불에 탔단다, 해방이 되고 조선이라는 이름은 사라지고 대한민국이 되면서 한양이 서울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었단다~~ 하며 이야기나눠볼수도 있겠다.

그런데 14개의 지도를 넘겨보면서 어느 순간 아이들이 아주 조그만 종이배를 발견했다.

어? 왜 종이배가 있을까? 하고 다른 페이지도 넘겨보니 또 종이배가 있어서 첫장부터 종이배는 인왕산 물줄기를 타고 흘러내려오고 있었다.

조선왕조 500년 역사와 함께 종이배도 물줄기를 타고 내려와 한강에 다다른 것이다.

아이들은 종이배를 발견한 것이 재밌어서 첫장부터 누가 먼저 종이배를 찾나 숨은그림찾기를 하듯 지도를 뚫어져라 쳐다본다. 그것이 인왕산 물줄기인지도 모른채...ㅎㅎ

 

아이들이 더 자란 후, 역사를 배우고 서울의 옛 궁궐들을 돌아보고 나서 이 책을 다시 본다면 아~ 여기가 이곳이구나! 하고 발견하게 될 것 같다.

어서 그 날이 오기를 이 책과 함께 기다려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