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가의 딸기와 무 ZERI 제리 과학 동화 10
군터 파울리 글, 파멜라 살라자 그림, 이명희.김미선 옮김 / 마루벌 / 2010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ktqkek과학시간에 처음 물에 대해서 배울 때 액체와 고체, 기체를 구분하는게 참 어려웠던 기억이 납니다.
우리 말은 한자어로 된 것들이 너무 많아서 한자를 알기 전에는 무조건 외워야 했으니 그럴만도 했지요.
우리 아이들에게도 '물은 액체이고 얼음은 딱딱하게 얼었으니까 고체이고, 폴폴 연기처럼 나는 김이 기체야' 라고 말해주면 그때만 응~ 하고 나중엔 또 잊어먹는 것 같아요.

이번에 마루벌의 제리과학동화 <바닷가의 딸기와 무>를 함께 읽으며 좀 더 확실하게 알게 된 것 같아요.
'응결'이라는 단어도 배웠구요. ^^


바닷가의 딸기와 무 (제리과학동화)


(군터 파울리 글 / 파멜라 살라자 그림 / 이명희,김미선 옮김 / 도서출판 마루벌)

                     

딸기와 무가 남아프리카의 바닷가에 도착해 살기 적당한 곳을 찾고 있어요.
태양과 모래흙은 있지만 물이 없어요.
바닷가의 소금물밖에 없지요.
물이 없으면 안된다는 딸기의 불평에 무는 파이프를 이용해 차가운 바닷물을 끌어와 머리위에 설치하면 공기중의 물이 응결되어 떨어질 거라고 설명을 하지요.
더운 날 차가운 레모네이드가 담긴 유리잔을 두면 잔이 땀을 흘리는 것처럼 '응결'이 일어날거라면서요.





참 똑똑한 무에요. ㅎㅎ
머리좋은 무 덕분에 딸기는 바닷가에서도 무사히 잘 자라 열매를 맺을 수 있겠어요.

'응결'이란 공기 중의 물이 저절로 무리를 지어 물방울을 만드는 것이래요.
하늘 위 높은 곳에서 응결된 것이 구름이겠지요?
땅 근처에서 응결이 되면 안개가 되고, 지구 표면에서 만들어지면 이슬이 된답니다.

날씨가 더워지기 시작하면서 차가운 물이나 얼음물을 많이 먹게 되는데요.
그때마다 유리잔 겉에 생기는 물을 보며 이게 바로 '응결'이라고 아는체도 합니다.

딸기는 소금이 들어 있는 바닷물을 마시면 살지 못하지만 우리 사람 몸에는 어느 정도의 소금이 있어야 한다는 얘기를 하면서 땀을 많이 흘리면 우리 몸속 염분이 빠져나온다는 이야기를 했어요.
그랬더니 눈물에서도 짠맛이 난다고 경험해본 이야기를 합니다.
ㅋㅋ 유민이랑 재민이 중에 누가 많이 울었을까나~~
울던 와중에 짠 눈물맛을 느꼈다는게 웃기기도 하였네요.

그럼 우리 소금물찾기 해볼까?
액체와 기체, 고체 중에 액체의 맛을 느껴보기 위해 준비를 했습니다.

아이들이 안볼때 소금물, 설탕물, 간장, 식초, 매실, 복분자...이렇게 여섯가지 맛을 준비했어요.
목적은 소금물 찾기였지만 겉으로 보기에도 언뜻 구분이 되는 것도 있으니 가위바위보를 해서 하나씩 마셔보기로 했지요.




재민이가 매번 이겨서 먼저 맛있는 물부터 찾아냅니다.
첫번째는 매실, 두번째는 설탕물...

"야~ 너만 맛볼래? 나도 좀 마셔보자."

유민이는 자꾸 지니까 조바심이 나나 봅니다.
혹시나 소금물을 마시게 될까봐서요. ㅋㅋ

재민이가 세번째에 고른 것은 바로 간장이었는데요.
시중에 파는 간장이었는데, 물을 1:1로 섞어두었어요.
그런데 간장을 마시는 재민이의 반응은...

"맛있다~~~"

혹시나 해서 저는 냄새만 맡아봤는데도 웩~
재민이는 물 종류라면 모든걸 좋아하나봐요.
하지만 이건 아닐껄요?



무엇을 맛본걸까요?
ㅋㅋ 바로 식초랍니다.



상대방이 먹고 있으면 군침 흘리며 숟가락 빨고 있는 모습이 넘 재밌었어요.
마지막 남은 잔이 바로 소금물이었는데요.
이번엔 가위바위보해서 진 사람이 먼저 맛보기로 했지요.
재민이 당첨!!
오만상을 찌푸리며 물을 벌컥벌컥 마십니다.

과하면 안좋지만 우리 몸에서 없어서는 안될 소금, 그래서 옛부터 소금같은 사람이 되어라라고 했을까요?
혀끝을 자극하는 여러가지 액체의 맛을 보며 오늘도 생활속의 과학을 배워가네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