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어난 김에 수학 공부 : 대수 - 한번 보면 결코 잊을 수 없는 필수 수학 개념 그림으로 과학하기
케이티 스텍클스 지음, 고호관 옮김 / 윌북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학에 한 번 벽을 느낀 사람들은 끊임없이 수를 무서워한다. 이 책은 그런 사람들에게 수학이라는 문턱을 조금 낮춰주는 책이다. 그리고 끊임없이 설명한다. 수학을 왜 알아야 하는지. 물론 일상생활을 살아가는 데 사칙연산만 할 줄 안다면 큰 문제는 없다. 하지만 끊임없이 학교에서 수학을 가르치는 이유는 수학적 사고의 필요성 때문이다. 수학적 사고가 확장되면 추론 능력과 분석 능력이 강화된다. 이는 일상생활에서 우리가 부딪히게 될 다양한 문제를 체계적으로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게 된다. 이러한 문제 해결 능력은 알게 모르게 일상을 살아가는 데 도움이 된다. 그렇기에 우리는 수학 공부를 빼놓을 수 없게 된다.

어차피 해야 되는 공부라면 조금 더 재미있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 좋지 않을까? 그런 취지에 딱 맞는 책이 바로 이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인상 깊은 부분 & 내용 & 느낀 점]

인간은 끊임없이 미래를 알고자 한다. 다가올 미래에 어떤 일이 벌어질지 궁금해하며 대비하고자 한다. 어찌 보면 인간의 본능이라 할 수 있을 것 같다. 수의 가장 큰 매력은 우리의 일상을 패턴화 시키고 그 패턴을 통해 다음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능처럼 궁금해하는 미래를 이렇게 손쉽게 예측할 수 있는데 수를 공부하지 않을 이유가 무엇이 있을까?

이러한 수를 이용해 패턴화 시키는 가장 기본이 함수이다. 수를 이용해 패턴화 한 수열을 찾아낸 다음 수열을 그래프로 옮겨 데이터화 시키는 작업이 함수라고 할 수 있다. 함수라는 이름만 보면 경기를 일으키는 학생들이 있다. 그래프 공포증을 가진 학생들이다. 그러한 학생들은 사실 아직 그래프를 뜯고 즐기고 맛보는 재미를 찾지 못했을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조금만 그래프와 친해지고 나면 수많은 유의미한 패턴을 해석하게 되는 것이 함수의 매력이다.

몇 년 전 전 세계가 심하게 겪은 COVID 19만 보더라도 그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 수많은 그래프가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염병이 현재 늘어나는 추세인 것인지 줄어들 추세인 것인지 현재의 예방접종은 유의미한 것인지 이 모든 분석이 그래프로 확연하게 예측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현실 세계의 복잡할 수 있는 부분들을 엮어 유의미한 해석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것이 바로 현실적인 함수의 쓸모일 것이다.

이 책은 외국 저자가 쓴 책이기에 우리나라에서 실질적으로 사용하는 용어와는 차이가 있는 부분도 있다. 하지만 표현의 차이로 인해 조금 더 집중하게 되고 원래 알고 있던 지식과 비교를 하게 되는 소소한 재미도 있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차이로 인해 생기는 불편함 보다 수의 유익한 점을 조금 더 부각하여 바라보게 하는 유의미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수를 공부할 때 가장 매혹적인 점은 그 안에서 찾을 수 있는 패턴입니다. 특정 패턴에 맞는 수를 찾든 우리가 수를 이용해 설명할 수 있는 현실 세계에서 패턴을 찾든 다음 수를 예측할 수 있다는 건 강력한 도구가 됩니다. - P4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