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모의 질문력 - 스스로 생각하고 답을 찾는 아이로 키우는 인문학 질문 100
김종원 지음 / 다산북스 / 2025년 2월
평점 :
*본 서평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후기입니다.
기계화가 되어가고 많은 것들이 많은 영상매체가 넘쳐나는 세상인 요즘. 많은 아이들이 생각하는 힘을 잃어간다. 스스로 생각하는 힘이 떨어진 아이는 결국 학습력에도 문제가 생기고 세상을 헤쳐나갈 힘을 잃어간다. 그런 상황에 맞게 김종원 작가님의 신작이 나왔다.
책 표지에서 "아이의 세계는 부모가 건넨 질문의 깊이만큼 넓어집니다."라는 문구가 눈에 띄었다. 내 아이를 좁은 세계에 살도록 만들고 싶은 부모는 없다. 누구나 자신의 아이를 조금 더 넓은 세계에서 다양한 것을 경험하며 인생을 현명하게 살아나가기를 바란다. 그러기 위해서 아이를 위해 제일 쉽게 해줄 수 있는 것이 부모의 질문이다. 질문에 대하여 답을 내릴 때 사람은 많은 생각을 한다. 그렇게 스스로 생각하다 보면 자신만의 철학이 생기기도 하고 자신만의 세계가 생기기도 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내 아이의 세계를 넓히는 첫 번째 요소는 바로 나 자신, 아이의 부모로부터 시작되는 것이다.
이 질문을 보면서 나의 학창 시절을 떠올려 보았다. 공부해도 내용이 이해가 되지 않았던 경험 학년이 올라갈수록 문제가 어려워지고 그러한 경험도 따라 늘어나게 된다. 하지만 아직 저학년인 나의 아이에게 그러한 경험이 있을까? 그래서 질문해 보았다.
예상대로 아직은 이해되지 않았던 경험은 없다고 하여 만약의 상황을 설정하여 추가 질문을 해보았다.
Q: 그럼 만약 네가 그러한 상황이라면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니?
A: 음.. 생각을 안 해서?
Q: 이해가 되지 않는 문제를 만나면 어떻게 해야 된다고 생각해?
A: 계속해서 생각하면 되지 않을까? 그래도 안되면 엄마한테 물어보지.
평소에 스스로 생각하는 습관에 대하여 많이 이야기를 했던 이유에서였을까. 생각하다 보면 해결이 될 거라는 아이였다.
독서 열풍이 다시 생기면서 책을 읽는 사람이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그 모든 사람이 변화가 있는 것은 아니다. 연초 많은 사람들이 새해 다짐을 하면서 독서라는 목표를 잡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성공하지는 않는다. 왜 그럴까? 여러 답이 있겠지만 나 스스로는 의지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좋은 책을 읽으면 그 순간 아! 하는 깨우침이 있다. 그리고 변해야지 하는 목표가 생긴다. 하지만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의지가 큰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그럼 나의 아이는 어떻게 생각하였을까?
Q: 좋은 책을 읽으면 생각이 많아지잖아. 그런데 변화가 없는 사람은 왜 그런 걸까?
A: 더 깊이 생각하지 않아서인 거 같아.
아이의 표현을 다시 정리해 보자면 계속해서 사람은 그 문제에 대해 끊임없이 생각해야 한다. 하지만 변하지 않는 사람은 그 순간만 생각하고 돌아서서 까먹는다. 나는 행동적인 면에서 생각했다면 아이는 그보다도 좀 더 깨닫는 쪽에서의 문제점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차이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