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시드 드림 창비청소년문학 130
강은지 지음 / 창비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소개를 처음 접했을 때 "우리가 어른이 될 수 있을까?"라는 문구가 눈에 띄었다. 청소년 시기에 한 번씩은 생각해 보게 되는 것 같다. 어른이란 어떤 존재인지. 어른이 되면 무엇이 달라지는 건지. 어른이 되면 어떤 기분이 들지. 그래서 작가님의 생각이 궁금해졌다. 작가님이 그리는 어른은 어떤 사람들일까.

처음 책을 받았을 때 작가님의 편지가 실종(?) 되는 작은 해프닝이 있었지만 무사히 다시 전해 받을 수 있었다. 가제본에 작가님의 편지까지 받으니 더욱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책을 읽을 수 있었다. 편지 안에 소소한 행복이라는 표현이 눈에 띄었다. 작가님이 표현하고 싶었던 어른과 관련이 있는 것일까 궁금해졌다.

루시드 드림, 자각몽이란 자신이 꿈을 꾼다는 사실을 인지한 체 꿈을 꾸는 것을 말한다. 이 소설 속에서는 많은 어른들이 꿈속의 세상에 빠져 일어나지 못한다. 이유는 우울증이라고 한다. 그러면 세상 모든 어른들이 우울증을 겪는다는 것일까? 꿈속의 세상이 얼마나 행복하길래 현실로 돌아오지 못하는 것일까?

하지만 꿈에서 돌아온 친구의 말에 의하면 꿈속의 행복은 생각보다 크지 않았다. 대학 생활을 누리는 꿈을 꿀 거라 생각했던 친구는 꿈속에서 하염없이 걷고 있었다. 그런데 행복해서 깨고 싶지 않았다고 했다. 사실 사람들이 원하는 건 생각보다 소소한 일상의 작은 행복인 것이 아닐까.

이 책에서 작가님이 독자에게 던지고 싶었던 가장 큰 화두가 여기에 적혀 있는 것만 같았다. 앞 날이 두려운 아이들 하지만 그 시기를 넘어 맞이하는 어른이라는 세계. 어른이라는 이 세계는 때로는 너무 멀게 느껴지고 때로는 너무 가깝게 느껴지고 알 수 없는 그런 세계이다. 어른이 아직 되어보지 못한 아이들에게 어른이라는 세계는 미지의 세계이고 더없이 낯선 세계이다. 그런 아이들이 커나가며 어른이 되어가는 과정이 힘들지 않다면 그것은 거짓일 것이다. 하지만 그런 어린 시절을 잘 보내고 자랐기에 어른이 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누구나 어른이 된다. 하지만 내가 꿈꾸던 어른의 모습은 아닐 수 있다. 몸은 어른이 되었지만 마음은 어른이 되지 못한 사람도 있을 것이다. 세상에는 다양한 어른들이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언제나 변함없이 날은 밝아오고 하루하루 시간이 흘러가며 어른이라는 시간은 점점 다가오는 것이다. 어찌 보면 이미 그렇게 나도 어른이 되어있었다.


* 본 서평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후기입니다.

사실 가장 원하는 건 별거 아닌 일일지도 몰라. 깨어나고 보니까 그래.
- P135

"우리가 어른이 될 수 있을까?" - P22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