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공부, 순서를 바꾸면 빨라집니다 - 평범한 내 아이를 위한 ‘지름길’ 수학공부법
민경우 지음 / 메리포핀스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본 서평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후기입니다.


수포자가 넘쳐나는 대한민국의 교육 현장. 과연 수포자는 왜 생겨나는 것일까? 이런 질문을 하는 나도 한때는 수학이 가장 싫은 과목 중 하나였다. 분명 초등학교 중학교 때까지는 수학이 너무 좋았고 너무 재미있었다. 그런데 어느 순간 수학에 벽이 느껴지기 시작했고 고등학교 때 수능을 준비하면서 수학이 가장 큰 짐이 되는 느낌을 받았다. 고3의 어느 날 수학에 대한 깨우침을 얻은 날이 있었다. 그 후 많은 학생들에게도 그런 깨우침을 느끼게 해주고 싶었다. 하지만 하루하루 수포자는 쏟아지고 걷잡을 수 없는 수로 불어나고 있는 현실이다. 그래서 매번 수학 공부와 관련된 책을 발견하면 더욱 집중하여 보게 된다. 그렇게 발견한 이번 책이 '수학공부, 순서를 바꾸면 빨라집니다'이다.



몇 년 전 수업을 하다가 문득 교과과정에 의문이 든 적이 있다. 왜 우리나라 교과과정은 수의 체계 -> 방정식 -> 함수 -> 도형 -> 통계 순으로 뒤죽박죽 구성이 되어 있을까? 같은 계열을 묶어서 배우면 보다 쉽게 받아들일 수 있을 것 같은데 하는 의문을 가졌었다. 하지만 사교육 시장에서 교과과정을 따르지 않고 수업을 하기에는 너무나도 큰 모험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내 아이한테만큼은 교과과정에 얽매이지 않는 교육을 해보겠다 생각하게 한순간이었다.





공부를 하는 학생들을 위해 학부모가 중요하게 알아야 하는 것이 두 가지 있다. 첫 번째 무엇을 하든지 처음에 제일 중요한 것은 목표를 정확히 하는 것이다. 학생들과 처음 상담할 때 가장 많이 물어보는 것이 목표가 무엇인지이다. 그것에 따라 아이의 학습 성향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고 공부의 방향성도 잡을 수 있다. 하지만 요즘 가장 문제는 많은 학생들이 목표가 없다는 것이다. 목표는커녕 본인이 무엇에 관심이 있고 무엇을 할 때 즐거운지 모르는 학생들이 많다는 점이다. 그렇기에 더욱이 수학을 어려워하고 싫어하는 아이들이라면 하루라도 빨리 목표를 정하고 그 목표로 과는 과정을 줄여야 하는 것이 맞다.

두 번째 누구나 타고난 달란트가 다르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타고나기를 수학적인 이해도가 빠른 아이들이 있고 타고나기를 언어적인 이해도가 빠른 아이들도 있다. 한문제만 틀려도 문제에 상처받는 아이가 있고 한 문제를 틀리면 그 문제에 승부욕을 보이는 아이가 있다. 그렇기에 모든 아이들은 출발점이 다르다. 같은 목표를 가졌다 하더라도 출발선 상이 다르고 걸어가는 길의 난이도와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학부모가 바른 길잡이가 되어 아이들을 도착점에 이르게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타고난 달란트가 다르고 장단점이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 이상 아이를 바른 방향으로 인도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 두 가지 이외에도 중요한 것들이 있다. 하지만 세부적인 것을 생각하기 이전에 꼭 생각해야 하는 부분들이지 않을까 싶다.

이 책은 기본적인 것 이외에 세부적인 사항들도 적혀있다. 아이들에게 보다 쉽게 설명할 수 있는 방법 그리고 수업 예시도 있다. 그렇기에 수업적인 부분에서는 많은 참고를 할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앞서 얘기한 두 가지 포인트에 대해서도 많은 생각을 할 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만약 수학 도착지가 ‘대입‘으로 정해졌다면, 초등학교 4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 수능으로 가는 과정에서 쓸데없는 정차역을 줄여야 한다.
- P35

사람은 누구나 타고난 달란트가 있고, 이걸 어느 정도 인정해야 성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학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 출발점은 다를지라도 학부모가 아이를 어떻게 훈육하느냐에 따라 도착점이 다를 수 있다.
- P2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