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학공부, 순서를 바꾸면 빨라집니다 - 평범한 내 아이를 위한 ‘지름길’ 수학공부법
민경우 지음 / 메리포핀스 / 2024년 10월
평점 :
* 본 서평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후기입니다.
수포자가 넘쳐나는 대한민국의 교육 현장. 과연 수포자는 왜 생겨나는 것일까? 이런 질문을 하는 나도 한때는 수학이 가장 싫은 과목 중 하나였다. 분명 초등학교 중학교 때까지는 수학이 너무 좋았고 너무 재미있었다. 그런데 어느 순간 수학에 벽이 느껴지기 시작했고 고등학교 때 수능을 준비하면서 수학이 가장 큰 짐이 되는 느낌을 받았다. 고3의 어느 날 수학에 대한 깨우침을 얻은 날이 있었다. 그 후 많은 학생들에게도 그런 깨우침을 느끼게 해주고 싶었다. 하지만 하루하루 수포자는 쏟아지고 걷잡을 수 없는 수로 불어나고 있는 현실이다. 그래서 매번 수학 공부와 관련된 책을 발견하면 더욱 집중하여 보게 된다. 그렇게 발견한 이번 책이 '수학공부, 순서를 바꾸면 빨라집니다'이다.

몇 년 전 수업을 하다가 문득 교과과정에 의문이 든 적이 있다. 왜 우리나라 교과과정은 수의 체계 -> 방정식 -> 함수 -> 도형 -> 통계 순으로 뒤죽박죽 구성이 되어 있을까? 같은 계열을 묶어서 배우면 보다 쉽게 받아들일 수 있을 것 같은데 하는 의문을 가졌었다. 하지만 사교육 시장에서 교과과정을 따르지 않고 수업을 하기에는 너무나도 큰 모험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내 아이한테만큼은 교과과정에 얽매이지 않는 교육을 해보겠다 생각하게 한순간이었다.
만약 수학 도착지가 ‘대입‘으로 정해졌다면, 초등학교 4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 수능으로 가는 과정에서 쓸데없는 정차역을 줄여야 한다. - P35
사람은 누구나 타고난 달란트가 있고, 이걸 어느 정도 인정해야 성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학부모의 역할이 중요하다. 출발점은 다를지라도 학부모가 아이를 어떻게 훈육하느냐에 따라 도착점이 다를 수 있다. - P2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