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453 콘스탄티노플 최후의 날
스티븐 런치만 경 지음, 이순호 옮김 / 갈라파고스 / 2004년 9월
평점 :
품절
역사는 기록한 자들의 것이 아니라 그 시대를 산사람들의 것이며 또한 현재를 사는 사람들의 것이기도하다. 그러나 그 역사 기록은 어떤 특정한 집단이나 개인에 의해 왜곡되거나 의도적으로 소외되기도 한다. 우리가 배워 온 세계사에서도 동로마제국의 역사는 축소되고 그 중요성이 간과되어 왔다.그리스 로마 문명을 이야기할 때 흔히 서로마 제국을 일컫는 것이며, 동방의 또 하나의 로마 제국이 있었다는 사실은 간과되어 왔다. 이 책은 지금까지 서양사에서 홀대받아온 비잔티움 제국을 새로운 관심과 애정으로 바라보고 있다.
이 책은 비잔티움 제국사가 아닌 1453년에 벌어진 투르크족과의 공방전과 그 전후 상황에 초점을 맞춘 책이다. 따라서 지루한 이론보다는 공방전 당시의 드라마틱한 상황이 압축적으로 잘 묘사되어 있다. 콘스탄티노플 함락 전 소피아 대성당에서 미사를 올리는 모습, 파죽지세로 치고 들어오는 투르크족의 기세, 동서 교회의 갈등, 주변국들의 어정쩡한 태도, 동방정교회의 신비주의적 분위기, 체념적 운명론자인가 하면 또 불굴의 전사이기도 한 비잔티움인들의 상반된 모습, 너무도 안타깝고 아슬아슬한 순간이 많아 탄식이 절로 나오는 전투 장면들, 승자와 패자, 이 모든 것들이 격조 높은 역사가의 안목으로 감동적으로 서술되어 있다.
이 책은 또한 잘 만들어진 한권의 역사서이다. 필요할 때마다 적절하게 사용한 관련 지도와 그림자료, 책 뒤부분에 있는 비잔티움 제국 연표, 비잔티움 왕조의 가계도, 참고문헌 자료 등 등은 이 책의 격조을 더하고 있으며 이 책에 나오는 고유명사의 시기에 따른 세심하고 적절한 구분과 선택은 책을 읽는 독자의 마음한 구석을 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