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 그리고 리더십 - 개인과 조직을 이끄는 균형의 힘
김윤태 지음 / 성안당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인과 조직을 이끄는 균형의 힘

Leadership= Leader + Ship ( 배를 이끌고 목적지에 도달하게 하는 능력)

리더십은 어느시대, 장소를 막론하고 여러명의 사람이 있는 단체에서는 꼭 필요하다.

조직 구성원들을 믿어주고 소통하는 리더, 위기를 극복하고 성과를 만들어 내는 리더,

목표를 제시하고 그 방향을 이끄는 리더등

리더십을 발휘하는 모습과 방향은 다르지만 그 리더십의 속성은 '목표를 향한 성과' 이다.

소통 위임형 리더 세종과 주도형 리더 정조를 통해서

개인과 조직의 위기를 극복 할 수 있는 리더십 멘토를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9명의 왕을 통해서 배운다는건 흥미롭다.


역사라는 거울을 통해 현재를 바라보고 미래를 조망할 수 있는 지혜를 얻을수 있기에

역사는 꼭 알아야지만 한다고 하지만

또 많은 사람들이 역사에 큰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역사에 큰 관심을 가지지 않는 사람들의 특징은 그 중요성을 몰라서가 아니라

학창시절에 역사를 하나의 과목으로 생각해서 접했기 때문일 것이다.

나 또한 그런 부류였고, 역사라고 하면 조상의 지혜를 얻고

삶의 방향성을 준다는 이론적인 것 보다는 그냥 관심이 없었다.

최근 몇년간 TV에서 역사나 세계사 방송을 통해서야

여러가지 접근방식으로 역사에 많이 접하게 되었고,

어른이 되고서야 관심을 더 많이 가지게 되었다.

어릴적 마냥 외우기만 했던 역사의 퍼즐들이 요즘은 조금씩 맞춰지고 있다.

그래서 이제는 한번씩 찾아보곤 한다.



이 책은 조선의 왕 태조, 태종, 세종, 세조, 성종, 선조, 광해군, 영조, 정조 9명과

그들의 리더십의 다양성을 볼 수 있는데,

리더의 지향하는 바가 그 시대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궁극적으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는 알수 있다.

일단 리더들은 궁극적으로 능동적이어야 하고, 헌신적 사고를 가지고 있어야 되는것은 분명하다.

리더의 조건중 성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조건이기 때문이다.


그냥 리더의 조건에만 급급한 책이라면

일반인인 내가 읽기에 조금 어려운 면이 있겠지만,

역사의 왕의 업적을 통한 리더십을 설명해서 보다 쉽게 이해가 되고,

회사, 정부, 기업의 리더인 사람들이 읽어봐도 기존의 책 보다는 좀더 재밌을 거라 생각한다.


중간중간에 들어 있는 역사책이나 실록들에 기록된 내용들을 읽어보면 좀더 구체적으로 업적을 이해할 수 있고.

조선의 왕들이 성향들도 파악이 되면서 재밌게 읽을 수 있었다.

요즘 사회 지도층들이 정치를 하는 모습을 보면 그들을 따르는 국민들의 삶과 행복은 아랑곳하지 않고,

그들의 권한에 집착하여 국민들에 대한 책임은 지지 않는것 같다.

뉴스를 보면 싸우고 권한에만 집착하지 그 싸움의 결과가

그들의 정당의 이익외에는 어떤 이익을 국민에게 돌려주는지 파악하기 힘들다.

게다가 공익보다 사익에 욕심을 내는 낮은 도덕성으로 쌓아온 권력도 한번에 잃어버리는 것도 허다하다.

뉴스를 틀면 나오는 지금의 대한민국의 정치, 기업의 리더들이 국민을 위한 정책보다는 개인, 정당을 위해서만 싸우지 않기를 바란다.

:: 본 책은 출판사에서 책만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솔직히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