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림의 힘 (프레더릭 레이턴 에디션) - 최상의 리듬을 찾는 내 안의 새로운 변화 ㅣ 그림의 힘 시리즈 1
김선현 지음 / 세계사 / 2022년 6월
평점 :
품절
난생처음 본 그림들 속에서 받는 치유

책의 첫 표지를 보면 어떤 느낌이 드나요?
이 여인이 걸친 옷은 얇고 느슨하여 이완의 심상을 주며,
옆으로 누워 머리를 무릎에 가까이 둔 동작은 태아 자세와 비슷해
인간에게 무의식적으로 심리적인 안정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쉴 틈 없이 움직여야 하는 일상 속에서 짧고 깊은 낮잠처럼 편안한 휴식의 기운을 선사해 준답니다.
첨에는 그냥 아무 생각 없이 봤는데,
설명을 듣고 보면 아~라는 감탄사와 함께 편안함이 느껴집니다.

고흐의 작품으로만 익숙해 있었는데,
친근하게 공간의 미를 보여주고 북적이지 않는 테이블과 앞쪽에 비어있는 공간으로
밤의 테라스를 소개해 줍니다.
금요일 저녁..
이렇게 여유로운 곳에서 편안함을 느껴보고픈 맘이 듭니다.
오늘 하루도 수고했어라고 말하면서 말지요.
솔직히 그림을 볼 줄도 모르고 잘 그릴 줄도 몰라서
그림과는 사뭇 거리가 멀다고 느꼈는데,
[그림의 힘] 이 책은 페이지 페이지마다 독특한 방식으로 그림을 소개하고 있어서,
나도 모르게 빠져들면서 그냥 끝까지 다 보게 되었습니다.
서양화 가든 동양화 가든 상관없이 그냥 그림에 빠져들다보며 책 페이지마다의 정서를 느낄 수 있고,
나의 지금 감정과 상황도 이입이 되어 동의할 수 있는 부분도 많아지네요.

뭉크의 절규밖에 아는 것이 없었지만,
그림의 힘을 보면서 다양한 작품을 또 다양하게 만나보게 되었네요.
이 그림은 세 명의 여인이 눈에 띄는데 어떤 여인이 가장 본인과 같은지 질문을 던지네요.
나는 흰옷을 입은 여성이 가장 좋은데,
여인을 선택하는 마음에 따라서 스트레스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답니다.
그림을 보다 보면 자연히 책의 내용을 살피게 되고,
책의 내용을 다시 한번 보면서 그림을 보면 이해가 아주 잘 된다는 것이 이 책의 큰 장점이네요.
철갑을 두른 기사 주변에 맨몸의 여성들.. 그리고 꽃밭들..
여성들의 자유로운 자세 속에 경직되어 있는 기사의 모습에서..
다른 사람의 문제를 찾기 전에 내 모습을 먼저 돌이켜 보라는 메시지를 전달해 줍니다.
남이 손을 내밀기 어려운 철벽같은 갑옷을 입고 있을지 모르는 본인의 자세를 말이죠.
일- 사람 관계- 부와 재물- 시간관리-나 자신
삶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받고 또 가장 하고 싶은 영역을 그림을 통해서 그리고 글로써 치료함으로
평안함과 자신감을 가지게 된답니다.
처음에는 걱정으로 책을 읽기 시작했지만,
이제는 페이지를 넘기면서 점점 자신감이 생기고 한 차원 높은 시선으로 자신을 보게 도와주네요.
[그림의 힘]
일단 책을 사서 보라고~
너무 괜찮다고 소개하고 싶습니다.
:: 출판사에서 책만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솔직히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