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꽤 괜찮은 내가 될 거야 - 정신분석가가 10대에게 전하는 자기 이해 수업
이승욱 지음 / 생각학교 / 2024년 11월
평점 :

콩에 물을 부어 기른 뒤 콩과 물은 콩나물이 된다.
콩나물이 된 뒤에는 콩나물을 쪼개도 콩과 물이 되지 않는 것처럼 이 과정을 계속 반복하여 타인이 흉내 낼 수 없는 고유한 특성을 만들어가는 과정이 개성이라고 한다.
청소년 시기는 나만의 개성을 만들고 나를 찾아가는 과정이다.
또한 그런 개성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자신을 살피는 시간이 꼭 필요하다.
행동과 다른 감정을 만났을 때 나의 감정을 들여다보는 것은 자신을 자기 자신을 알아가는 과정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느낀 한 가지는 무엇이든 해보지 않고는 결코 알 수 없는 것이다. 개성을 만들어가듯 그저 '행'한다는 것에 집중해 보는 10대, 20대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느낀다.
'답게'라는 폭력성에 갇히지 말고 나답지 않은 나가 되는 과정에서 많은 것을 배우고 포용력 있는 자신으로 성장하길 바란다.
그 과정에서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고 어떤 것에 끌리고 어떤 환경 때문에 영향을 받았는지를 생각할 수 있게 되는 것 같다.
인간은 결핍을 채워가는 과정에서 직업 선택과 성장이 일어난다.
나의 결핍이 무엇인지도 인지하지 못해도, 이끌리는 것들을 해가는 과정에서 결핍을 발견하기도 한다.
인간으로 살아가는데 가장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이 되는 것입니다.라는 칼 융의 말처럼 목적과 쓰임을 우선하는 본질은 인간을 대변하지 못한다. 무엇이 되라는 폭력적인 압박 앞에서도 그저 충분히 살아있기를 응원하게 된다.
한 사람의 어른이 된다는 것은 자기 자신을 믿겠다는 결정과 책임지겠다는 의지의 발현인 것 같다.
어른이 되면 홀로 난관을 극복해야 하지만, 그것을 지켜봐 주는 어른도 필요하다.
인간은 누구나 말 걸어지는 존재가 되고 싶어 한다. 그러한 나를 위해서 타인에게 친절해야 한다. 베푼 친절은 누군가가 나에게 말 걸고 싶어 하는 힘을 만들어준다.
사춘기 시절을 겪은 사람이라면 나는 어떤 사람인가, 열심히 살아야 하는가, 왜 살아야 하는가 등을 고민하는 시기가 있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래서 이 책은 이왕이면 성인 되기 이전의 학생들이 필히 읽어보면 좋겠다.
책 속의 말을 빌려 책을 권하고 싶다.
"한 사람의 개성화 과정은 좋은 세상에 도움 없이는 불가능합니다. 그 스승도 여러분이 발견하고 만들어가는 겁니다."
사회적 인간으로서의 성장을 위하여 필요한 멘토로서 곁에 두기를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