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사랑한 화가들 - 살면서 한 번은 꼭 들어야 할 아주 특별한 미술 수업
정우철 지음 / 나무의철학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 날, 유퀴즈에서 뭉크의 절규 작품을 해석하는 정우철 도슨트의 이야기를 듣게 되었다.

자연이 비명을 지르고 피 흘리는 듯한 붉은 노을 속에서 뭉크가 느끼는 절망과 두려움을 함께 느낄 수 있었다. 고통스러운 자신의 상황에 빠져 매몰되지 않고 태양이라는 작품을 통해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망을 이야기하는 뭉크의 삶에 순식간에 매료되어 빠지게 되었다.

이렇듯 작가의 삶을 통해 서사를 만들고, 이야기의 마법으로 미술을 새롭게 바라보게 하는 정우철 도슨트의 책이 나왔다.

이 책은 그림을 감상하는 다양한 방법들 중에서, 자신만의 감상법을 아직 찾지 못한 사람들에게, 저자가 그림과 친해지는 방법을 전하고 있다.

화가의 언어인 그림을 통해 그림에 녹아있는 화가의 삶을 찾아가는 과정, 그 안에서 우리의 삶을 반추해 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사랑, 자존, 배반의 3장으로 구성된 책 속에는 자신만의 삶의 가치를 지키고 시련을 이겨내는 열한 명의 작가가 나온다.

마르크 샤갈, 앙리 마티스, 프리다 칼로, 구스타프 클림트, 폴 고갱, 에곤 실레 등

이름만 들어도 누구나 알만한 작가들이고, 나 역시 좋아하는 작가들이었다.

하지만 작가의 작품을 좋아하는 것과 별개로 몇 가지 에피소드를 아는 것 말고는 작품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는 않았다고 느끼게 되었다.

미술작품은 확실히 아는 만큼 보이고, 보는 만큼 알게 되는 것 같다.

설레는 연인 사이, 샤갈의 붕 뜨는 마음을 드러낸 <생일>,

작가의 폭발하는 감정을 드러낸 마티스의 <모자를 쓴 여인>,

고통스러웠던 생의 마지막에서도 <비바 라 비다>라고 말하는 프리다.

이미지로만 알던 작품도 삶의 렌즈를 거쳐 들여다보니 생생하게 살아 숨 쉬는 듯하다.

글 속에서 정우철 작가는 사람을 사랑할 줄 아는 사람이라고 느껴진다.

작품 속의 사람에게 집중하고, 그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힘을 지녔다.

죽음을 가벼이 여기지 않고, 고통 속에서도 꺾이지 않는 삶을 살아가는 인간을 사랑한다고 느껴지는 다정한 글이었다.

미술 작품은 작가의 생각을 궁금해하고, 시대를 이해하게 하고, 결국엔 우리와 연결된 사람을 이해하게 만드는 힘이 있다고 생각한다.

삶이 힘들다고 느껴질 때, 문득 만나는 작품이 위로가 되거나, 용기가 되어줄 것이다.

미술을 잘 모르지만 감상해 보고 싶은 분,

내가 아는 작가지만 조금 더 그의 삶을 알아가고 싶은 분

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싶은 분들께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