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문물검역소
강지영 지음 / 네오픽션 / 2017년 4월
평점 :
네오픽션/강지영/신문물검역소
신문물검역소는 제목도 호기심을 자극하지만, 겉표지의 그림도 시선을 사로잡아
어떤 이야기가 가득할지 궁금하게 합니다.
빨간 띠지안에 숨겨져 있는 물건들은 이야기를 다 읽은 후에 아하~~라는 감탄과
이해를 하게 됩니다. 신문물 검역소에서 어떤 물건들과 사람들을 만날지
이야기속으로 들어가 봅니다.

[신문물검역소]의 주인공 함복배는 난산으로 태어났지만, 울지 않아 벙어리인가?하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런데, 영특한 그가 할 말이 없어서 입을 닫고 살았다는
이야기에 그의 예사롭지 않은 성격을 살짝 엿볼 수 있었습니다.
할말이 없어서 입을 닫고 살았던 함복배는 본인도 남자임을 나타내듯이
좋아하는 연지와의 만남에서 입을 열고, 본격적으로 연지에게 잘 보이고 싶은 마음에
과거에 급제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합니다.
함복배는 나름의 포부를 가지고 과거시험에 도전합니다. 과거를 보기직전에
터질듯한 오줌보로 그의 좋은 자리는 다른 이에게로 넘어가기도 하며,
우여곡절 끝에 과거에 급제하게 됩니다.
첫 부임지로 제주의 신문물 검역소의 관리로 임금께 신문물의 사용처를
파악하여 보고하는 임무를 맞게 됩니다.
신문물 검역소를 꾸리며 함복배는 관노인 영보, 한섭, 관비 고상분,
화란선비 박연,송일영,미호,연지등을 만나 새로운 문물들과 함께 제주에서 일어난
살인사건을 해결해 나가게 됩니다.
신문물 불아자,치설,망원경,곤도미,무양시계등을 처음 접하면서 그들이 생각하고
그들만의 이름과 쓰임들을 읽으면서 저절로 배꼽을 잡고 웃게 되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박연을 만나지 못했다면 신문물들이 어떻게 사용되었을지. . .생각만으로도 재미있습니다.
함복배와 박연의 신문물을 통해 쌓아가는 우정과 함께 각양각색의 인물들이
서로 연결되며 보완되어 함복배를 지켜주는 느낌도 듭니다.
신문물과 함께 제주에서 발생된 살인사건들을 파헤쳐 나가며, 미호,코길이,기수영등
각 인물들이 가지고 있는 이야기들이 가볍지만도 않다는 생각이 듭니다.
[신문물검역소]를 읽어가면서 그 시대에 정말 함복배같은 인물이 있지 않았을까?라는
궁금증과 함께 글 곳곳에서 만나볼 수 있는 유머와 인물들의 성격이 유쾌함을 줍니다.
제주를 배경으로 아무것도 모르는 그들이 신문물을 보며 어떻게 생각하고,
사용했을지 상상만으로도 웃음과 재미를 느끼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