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어떻게 우리가 되었을까? - 선택과 모험이 가득한 인류 진화의 비밀 속으로
이상희 지음 / 우리학교 / 2021년 12월
평점 :



우리학교 [우리가 어떻게 우리가 되었을까?]는 인류 진화에 대한 순수한 궁금증들에 대한 답을 만나보게 하면서 조금은 생소하게 느껴지는 고인류학에 대한 관심을 가져보게 합니다. 지금의 인류가 나타나기까지의 수많은 진화의 과정들이 흥미진진하게 다가오며 [우리가 어떻게 우리가 되었을까?]의 이야기 속에 빠져들게 합니다.
한국인 최초 고인류학자 이상희 교수가 들려주는 생명과학 [우리가 어떻게 우리가 되었을까?]는 인류의 기원을 시작으로 인류 진화 과정, 인간다움의 조건들 그리고 현재를 사는 사람들이 모두 속하는 호모 사피엔스에 대한 모든 이야기들까지 다양하게 만나보게 합니다. 인류 진화의 이야기들 중간중간에 화석 사진들이 함께 있어 이야기에 더욱 집중하며 흥미롭게 따라가 볼 수 있게 합니다.
[우리가 어떻게 우리가 되었을까?]는 읽으면 읽을수록 새로 알게 되는 내용들로 깜짝 놀라게 됩니다. 지금은 사라진 옛 인류를 연구하는 학문인 고인류학 속 인류 진화 과정 속에는 우리가 몰랐던 수많은 선택과 생존을 위한 전략들이 숨겨져있다는 것을 알게 합니다. 단순하게 유인원에서 인류가 시작되었다고 이야기하기에는 인류의 진화를 설명하는 수많은 화석들에 담긴 의미들이 광범위하고 복합적으로 다가옵니다.
고인류학 속에서 인간적 특징인 두 발 걷기를 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를 통해 아프리카가 인류의 기원지인 것을 알게 하며, 머리 큰 아기의 두 번 비틀기 출산이 시작된 것은 호모 에렉투스이며, 다양한 모습과 문화를 가지고 있었던 네안데르탈인, 생존자로 남게 된 호모 사피엔스 등 [우리가 어떻게 우리가 되었을까?]속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다양하게 만나보게 합니다.
생명과학의 신비를 풀어보게 하는 [우리가 어떻게 우리가 되었을까?]는 우리가 몰랐던 고인류학 속의 인류 진화에 관한 무궁무진한 이야기들을 흥미롭게 만나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수많은 화석의 발견과 연구로 알게 되는 인류 진화 속에서 현재의 우리와 고인류속 세상이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게 하며 우리 인류 진화 이야기에 더욱 관심을 가져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