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볼 건 다 해봤고, 이제 나로 삽니다 - 15인의 여성 작가들이 말하는 특별한 마흔의 이야기
리 우드러프 외 지음, 린지 미드 엮음, 김현수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1년 2월
평점 :
절판




봄 느낌이 나는 분홍색 표지가 설렘을 느끼게 하는 [해볼 건 다 해봤고, 이제 나로 삽니다]는 15인의 여성작가들을 통해 특별한 마흔의 이야기들을 만나볼 수 있게 합니다. 20대, 30대와는 완전히 다른 어른의 맛으로 다가오는 사십 대의 시간들은 우리들에게 낯섦과 함께 이 시간들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함께 해나가야 할지 고민해보게 합니다. 각자만의
시간 흐름 속에서 마흔은 어떻게 시작되고 그 시간들을 이어왔는지 나만의 특별한 마흔 첫 시작을 기억해보게 합니다.
15인의 여성 작가들이 들려주는 진솔한 마흔 이야기들은 나의 마흔의 시간과 함께 어우러져 나만이 그렇게 생각한 것이 아니구나 혹은 나만 그렇게 힘든 것이 아니 없구나, 지금 잘 해나가고 있구나 등등의 공감의 시간을 가져보게 합니다.
다른 공간과 시간 속에 있지만 같은 여자로서 사십 대의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그 어떤 것보다 감동적으로 다가오며 위로받아보게 합니다.
소담출판사 [해볼 건 다 해봤고, 이제 나로 삽니다]을 읽다 보면 사람 사는 것은 다 똑같다는 생각이 들면서 결혼을 했든 안 했든 마흔의 시작이 조금은 조급하게 살아온 삶을 뒤돌아보게 하며 조금은 여유를 가지고 지금 상황과 미래를 바라보게 하는 것을 느낍니다. 개인적으로도 마흔의 시작을 남편의 갑작스러운 병과 함께 시작하여 정신없이 하루하루를 살아왔던 날들을 뒤돌아보며 마음속 조급함을 뒤로하고 현재의 소중함을 깨닫게 되는 경험들이 나를 바꿔가는 것을 느껴보았습니다.
마흔이라는 글자가 왠지 자신이 늙어가고 있다는 것을 강하게 생각나게 하면서도 사십 대가 주는 여유와 여러 관계들 속에서 특별한 자신을 찾아보게 하는 힘이 사십 대의 매력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게 합니다.
책 속의 그 어떤 이야기보다 일러스트로 만나보게 되는 수진 림의 <해볼 건 다 해봤고, 이제 나로 삽니다>는 꽤 강한 인상과 깨달음을 줍니다. 맞지 않는 청바지에 자신을 맞추기보다는 나만의 매력을 돋보여주는 청바지를 입는 여성의 일러스트는 보는 이들로 하여금 해방감과 자유로움 그리고 나다움을 보여주어 좋았습니다. <소울메이트, 옷으로 쓰는 우리의 연대기>는 시간의 흐름 속에서 소울메이트와 옷의 이야기를 유쾌하게 만나보게 하는데, 그 시간 속에서 우리가 만나보게 되는 아픔과 누군가를 떠나보내는 슬픔도 함께 느껴보게 합니다. 또한, 모든 것을 함께 하는 소울메이트를 만났다는 부러움도 함께 가져보게 됩니다. 다양한 감정 상태 속에서 나이 먹는 것을 두렵지 않게 느끼게 하는 <나는 서른아홉에 배우가 됐다> 갑작스러운 부상을 당한 후 삶 속에서 아직도 배울 것이 남아있다는 것을 깨닫게 하는 <인생의 은유>, 지금 현재의 내가 있기까지 나와 함께 한 사람들에 대한 감사함을 느끼게 하는 <지금의 나를 있게 한 사람들>, 나의 시간을 후회 없이 잘 쓸 수
있게 깨달음을 주는 <제가, 그럴 시간은 없어서요>, 중년이었던 엄마를 생각해 보게 하는 <젊음의 물방울> 등 각각의 이야기들이 감동과 깨달음 그리고 재미를 함께 느껴보게 합니다.
소담출판사 [해볼 건 다 해봤고, 이제 나로 삽니다]의 15인 여성 작가 이야기들을 읽다 보면 공감 가는 그녀들의 이야기에 저절로 고개를 끄덕이며 웃고 있는 자신을 깨닫게 됩니다. 그러면서 그동안 놓치고 있거나 잊어버리고 있던 나만의 특별하면서도 중요한 사십 대를 생각해 보게 하는 시간이 좋았습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