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과 뇌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 지극히 주관적인, 그래서 객관적인 생각의 탄생
이상완 지음 / 솔출판사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바다는 또 하나의 우주라는 말이 있는데, 이 책을 읽고 난 후 나는 인간의 뇌는 우주가 새겨져 있다고 적어보고 싶습니다.
인간의 뇌와 인공지능의 관계에 대한 과거의 시작과 현재의 과정, 그리고 미래의 현실에 대한 설명은 충분히 이 책 한권으로 인공지능을 알게 해주는 공부가 되었습니다.
인공지능이 인간의 뇌처럼 생각할 것이라는 생각에 인공지능과 뇌의 다름을 이해하기 위한 일곱가지의 질문에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1. 무한한 세상을 유한한 공간에 담다.
2. 현재의 성공이 미래의 실패가 되다.
3. 민감한 만큼 둔감해지니 전체가 보인다.
4. 지극히 주관적이다, 그래서 더 객관적이다.
5. 과거를 예측하고 미래를 회상하다.
6. 생각이 시간과 공간을 넘나드는 마법을 부리다.
7. 미래를 내다보며 과거를 바꾼다.
뇌과학에 관한 책들을 읽을 때마다 상당히 힘들었던 체득하고도 또다시 인공지능과 뇌의 관계에 대한 책을 읽게되는 것은 앞에서 생각했던 인간의 뇌에는 우주가 새겨져 있다는 내 나름의 정의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런가요. 분명 힘들었던 이전 뇌과학관련 책들과는 다르게 인공지능과 뇌의 다름에서 인공지능의 원리를 설명하는 생각종이접기나 사과의 비유는 -사과를 비유로 하는 것에 대한 이해를 하게 됩니다. 배나 귤이였으면 사과의 다양한 품종(홍옥, 아오리, 시나, 부사 등)을 우리는 이미 알고 있기에 사과를 통한 생각종이접기는 인공지능의 기초적인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아주 좋은 예시라 생각했습니다. 또한 이 책의 일곱가지 질문에서 꼭 기억하고 있어야 할 예시라는 것입니다.
저자는 인공지능과 뇌의 다름에 대한 이해뿐 만 아니라 인공지능의 발전과 현실의 문제들을 어떻게 풀어나갈 수 있었는지를 여러가지 모형들과 정의로 가르쳐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전혀 이 분야에 잘 모르는 제가 읽어도 수월하게 읽을 수 있었는데, 물론, 비전공자로써 전부를 이해할 수는 없었지만, 막힘 없이 읽었다는 것에 큰 의미를 주고 있습니다.
일곱가지 질문에서 보시다시피 앞뒤가 다른 의미의 문장들이 질문을 이루고 정의가 되어집니다.
무한을 유한에 담고, 과거를 예측하고 미래를 회상하는, 미래를 내다보며, 과거를 바꾸는 이러한 사고의 역전현상이 인공지능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뇌는 인공지능이 도저히 같다거나 흉내낼 수 없는 사고의 신호체계와 연결망을 가지고 있음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은 앞으로도 더욱 발전할 것입니다. 그것이 인간의 생각하는 것을 대신하는 역할, 행동을 대역하는 움직임으로 나아갈 지어도 저자는 인간의 뇌가 가진 그 우주를 담을 수 없음을 읽게 되었습니다.

"필터링 자체가 우리가 원하는 특징은 남기고 원하지 않는 특징들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민감하다고 할 수 있고, 또 이러한 특징들을 스캔하듯이 찾아내기 때문에 자잘한 변화에 어느 정도 둔감한 부분도 가지고 있습니다. "P.109
"시간 순서가 존재할 때는 '과거를 회상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맞습니다. 그러나 시간 순서가 해체된 인공 신경망의 머릿속에는 임의의 시점에서 다른 시점의 사건을 바라보고 있으니, 예측과 회상의 구분이 모호해집니다. "P.223
"뇌는 -중략-'사건'중심에서 '상황'중심으로, 그리고 '문제'중심으로 생각할 수 있게 됩니다. 뇌는 큰 그림을 볼 줄 압니다."P317

인공지능에 관한 위키백과나 나무위키를 찾아 읽어보면서 인공지능에 대한 첫학기를 마친 느낌으로 기억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