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기슭에서, 나 홀로
우에노 지즈코 지음, 박제이 옮김, 야마구치 하루미 일러스트 / 청미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이듦에 홀로 자연과 마주하게 되는 작가의 삶 속에서 나이듦에 필요한 것과 그렇지 않은 것에 생각하게 되는 글들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산기슭에서, 나 홀로
우에노 지즈코 지음, 박제이 옮김, 야마구치 하루미 일러스트 / 청미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산기슭에서나홀로
#우에노지즈코
#야마구치하루미
#박제이
#청미
#에세이
#나이듦

산과 관련된 단어들에는 인생의 의미가 스며들어 있지 않을까?
산기슭, 산등성이, 산울림, 산마루,  산길, 산골짝, 산봉우리,
산고개......  산은 가까이 있지만 또 멀리 있는 외적인 거리와 내면의 거리가 동시에 혼합된 느낌이 듭니다.
  세계적인 사회학작 우에노 지즈코의 산기슭에서의 나 홀로 생활.
코로나 19 펜데믹 세계에서 우리는 많은 죽음의 순간과 시간을 마주하여야 했습니다. 특히 노년의 시간에 찾아온 바이러스의 광기는 전세계 수많은 노년의 삶을 휘젖어 놓았음을 알고 있습니다.
   저자인 우에노 지즈코도 이러한 코로나 확산을 피해서 그녀가 20년전에 지어놓았던 산기슭의 집으로 거처를 옮기게 되면서, 이 에세이의 시간을 읽어갈 수 있게 됩니다.

나이듦의 시간을 존중하고 또 애정하는 청미 출판사에서 에세이의 출간은 또 다른 의미로 읽습니다.

누구에게나 나이듦의 시간에 관한 이야기가 있다는 것.
또한 그 시간에 나이듦의 나와 우리가 있기에 인생의 산기슭에 살아가고 있는,  살게 될 이들에게 산기슭의 시간 - 나만의 표현으로 산기슭의 그늘 - 에 머물러 있다는 것과  홀로 살아 가는 공간의 사계절에서 나는 홀로와 홀로의 느슨한 길이  오솔길처럼 비켜가며 둘러가는  서로의 홀로 길을 그녀의 등을 바라보며 혼자서 걷습니다.
 
  산기슭에서의 삶이 마냥 자연의 여유로움으로 남아 있지 않음은, 그녀의 글에서 인간의 삶에 자연은 자연으로의 기능과 역할에 충실하므로 인간이 자연에 살아가게 될 불편함( 8️⃣ 벌레와의  전쟁)과 이로움(5️⃣ 반딧불이 구경), 그리고 인간이 가진 해로움(1️⃣1️⃣ 쓰레기를 어찌할 것인가? 그것이 문제로다) 이 있어서, 우리가 TV에서 보여주거나 보여지는 자연인의 삶은 또다른 자연의 시각에서도 바라볼 수 있게 됩니다.
  나이듦의 시간을 한명의 인간이 자연의 시간에서 머물고 살아가는 이야기들은 ˝나이들면 자연(촌)에서 살리라.˝ 소원하며 나이들어 가는 이들에게 거주 공간의 경계를 특정하지 않고, 자신의 나이듦으로 살았던 이야기와 살아갈 이야기들에 기록되어져야 한다는 것을 이 에세이를 통해서 찾아 보게 됩니다.
  기억은 시간을 지나 망각, 왜곡 등의 변화되어짐으로 잊음과 잃음이 될 수 있기에,  기록의 시간과 공간 필요하다는 것에서 일상의 소중함을 잊지 않고 잃어버리지 않게 해 줄 수 있는 무언가가 필요할 듯 합니다. 산기슭이라는 공간, 그 공간의 시간에서 우에노 지즈코의 글이 보여주는 그런 나이듦의 기록들.  그 기록들이 나에게 인스타그램 같은 개인 SNS 계정이 아닐 까 싶습니다. SNS를 바라보는 여러 시선들이 있지만, 나에게는 여기가 나의 산기슭이 아닐 까 합니다.
  24편의 에세이마다 이러한 나이듦의 삶이 잘 스며들어 있는 책이었습니다.

  ˝ 정원 일이 얼마나 한없이 일손을 필요로 하는지 알기에 내 손으로 굳이 정원을 손질하기 보다는 다른 사람이 정성을 쏟은 정원을 음미하는게 제일이다.˝ 3️⃣꽃의 계절 p.23

  ˝정원은 사람 손을 한없이 갈구한다. 그리고 잠시만 게으름을 피워도 금세 엉망이 된다.˝ 4️⃣가드닝파와 텃밭파 p.27    

˝나에게 이렇게까지 ‘집순이‘ 기질이 있었던가 싶어서 놀란다.....중략.....천정까지 닿은 책에 둘러싸인 채, 이 도서관 같은 공간에서 고요히 홀로 지내는 시간이 최고로 행복하다. 한 권 한 권의 책이 나를 다른 세계로 데려다 주는 도라에몽의 ‘어디로든 문‘과 같은 것이다. ˝ 1️⃣2️⃣ 책에 둘러싸여 p.75~76

  프로필에도 적어 놓었지만, 여기는 나의 책의 정원 입니다. 
게으름을 피우지 않고 열심히 책의 정원을 가꾸어야 겠습니다.
오늘은 책의 정원에 우에노 지즈코의 산기슭에서, 나 홀로 의 리뷰를 기록하며  책의 정원 이 계절은 봄으로 채워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인슈타인의 꿈
앨런 라이트맨 지음, 권루시안 옮김 / 다산책방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른편의 시간에 대한 짧은 이야기 속에서 시간에 대한 깊고 넓은 사유를 하게 해주는 소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인슈타인의 꿈
앨런 라이트맨 지음, 권루시안 옮김 / 다산책방 / 202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인슈타인의꿈
앨런라이트먼
권루시안_옮김
다산책방
시간

스물 여섯, 푸른 불꽃같은 청년이었던 아인슈타인의 1905년은 그의 공간과 시간의 복합적인 반응이 폭발되었던 시기였습니다.
  스위스 베른의 연방 특허청에서 서기로 일하면서도 그의 과학적 사고, 관찰, 탐구의 공간이 확장되어 지는 시기였습니다.
  그의 시간에서 쓰여진 여러 논문-광전효과 논문, 브라운운동 논문, 특수 상대성 이론 논문, 질량-에너지 등가성 논문-들은 공간, 질량, 시간, 에너지에 대한 물리학의 역사에 가장 커다란 이정표가 되어진 해였습니다. 1905년 아인슈타인에게 기적의 해(Annus Mirabilis)입니다.

  아인슈타인의 꿈, 이 소설같지 않은 앨런 라이트먼의 소설은 1905년의 시간들이 가진 의미들을 보여주고자 합니다.

  시간, 공간, 질량, 에너지가 가진 그 의미들이 빛나는  서른개의 조각들을 우리는 맞춰볼 수 있습니다.
  1905년 5월 10일의 문장에서 "여러모로 이곳은 전체가 한 조각으로 이루어진 온전한 마을이다"p.64
  한 조각의 마을, 한 조각의 시간, 공간, 질량, 에너지.

  저자는 이 조각의 맞춤에 앞서 독자들에게 당부하고 있습니다.
시간을, 삶을 다른 방식으로 생각하여 보기를, 인간이 만들어낸 이 세계의 속도에서 진정 자신이 누구이며, 무엇이 중요하고, 삶을 어떻게 살고 싶은지 성찰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스물 여섯의  아인슈타인에게  1905년이 가진 의미처럼, 저마다 시간에, 공간에, 질량과 에너지의 조각들에서 의미를 가진 이음과 맞춤이 되었으면 하는 것입니다.
  아인슈타인은 꿈을 꾸었습니다.
"......그는 시간에 대해 꿈을 많이 꾸었다."p.19

시간의 꿈들에 대한 서른편의 글은 저마다 다른 시간의 질감과 명암으로 표현되어 지고 있습니다. 시간은 거칠어진 표면의 촉감처럼 기억되기도 하고, 어둠과 밝음의 밝기 속에 부딪히는 꿈과 현실의 경계에 있기도 합니다. 공간에서의 시간은 공간의 같음에서 정주하지 않고 시간의 다름이라는 영역에서 유랑하게 하기도 합니다. 

"각각의 방향마다 그 속에 사는 사람은 같아도 운명은 서로 다르다. 시간 속에는 세계가 무수히 많다."p.32

  시간에 대한 서로 다름의 이름들에서 시간은 공간의 세계 속에 있지만, 공간의 세계 밖에도 다른 시간의 바람이 불고 있음을 느낄 수 있게 합니다. 나에게 시간은 바람입니다. 내 앞으로 밀려온 바람이 내 뒤로 쓸려가고, 다시  뒤돌아서 내 앞으로 지나가면 지난 시간의 기억들의 잔향이 붙잡지 못한 수많은 꿈들의 시간을 기억하게 합니다. 책 속에서 이 의미를 함축해 놓은 문장을 만나게 됩니다.

   "두 시간은 모두 참이지만, 두 참은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p.36
   "시간과 사건의 경과가 일치하지 않다면 시간은 거의 움직이지 않는 것이다. 시간과 사건이 일치하지 않는다면 거의 움직이지 않는 것은 사람들뿐이다."p.52

  시간에 대한 이 조각들은 저마다의 색깔이 입혀있습니다.
그것은 이 조각난 시간을 꿈꾼 아인슈타인의 감각과 이성의 색이 스며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누군가에게 꿈은 단색일 수 있고, 또 꿈은 흑백일 수 있지만, 아인슈타인의 꿈은 색깔이 있는 시간의 조각들이 않았을까? 
  기억이 없는 세계 속에서 살아가는 이들에게 기억이라는 것은 공간과 시간의 조각이 맞물린 이음이일 것입니다. 그 이음은 글이며, 기록이라는 것으로, 지금 이 기록조차도 기억 위에 새로운 기억을 기록하는 행위입니다. 기록하는 이 기억으로 인해 언젠가 나는 '책을 읽고 기록하는 것은 일기를 쓰는 것과 같다' 고....
  "기억이 없는 세계는 현재의 세계다. 과거는 책 속에서만, 기록 속에서만 존재한다. 자기 자신을 알기 위해서는 제각기 자신의 일기책을 가지고 다녀야 한다. 거기에는 자기 인생의 역사가 가득 적혀 있다."p.83

시간은 속도입니다. 시와 분과 초로 이루어진 하나의 도구에서도 분명 시간은 보여지는 것을 정지이지만, 그 안에서 시와 분, 그리고 초는 저마다의 속도로 에너지를 가지고 있기에, 서로 다름의 속도로 살아가지만, 하나의 시간만이 존재하는 것을 보게 됩니다. 속도가 빠른 세상을 지금 살아갑니다. 어쩌면 더 빠른 시간을 살아가야 할 지도 모를 일입니다. 결국 나의 시와 분, 초는 나라는 존재의 속도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하게 됩니다.

  "왜 그렇게 속도에 집착할까? 여기 이 세계에서는 움직이는 사람들에게 시간이 더디게 흘러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너도나도 빠른 속도로 움직여 시간을 벌고자 한다."p.90

하루만 살아가는 세계가 있고, 영원히 살아야 하는 세계가 있기도 하지만, 이 서로 다른 두 시간의 이야기에서도 시간은 같다는 것을 읽습니다. 시간의 같음은 그들에게 다름이 아닌 같음으로 정의되어지게 됩니다. 시간은 무엇으로 정의되어질까?

  아인슈타인의 꿈은 시간의 같음에서 다름의 이음으로 서로를 붙여보게 됩니다. 나는 이제 이 조각난 시간들의 공간에 들어가는 꿈을 꿉니다.
  빛과 어둠의 경계에 끼워진 이 조각의 창들을 통해서 투영되어지는 것은 보이지 않는 것의 보임이며, 시간의 아름다운 스테인드글라스의 맞춤과 이음입니다. 그 조각의 이음들 공간 안에서 나의 세계는 정주와 유랑의 시간들이 부딪히고 부딪혀 살아가는 시간의 울림이기기를  바라여 보는 마음을 읽기와 쓰기를 맞혀봅니다.

"여기 이 세계에서 시간은 눈으로 볼 수 있는 하나의 차원이다."p.124

"...시계가 처음으로 발명됐다....중략...이 인간의 발명품은 시간의 흐름을 양으로 따지고, 욕망과 욕망 사이에 잣대와 각도계를 놓고, 삶의 순간을 정확하게 재는 것이다."p.140


다산북스로부터 도서와 소정의 원고료를 지원받아 작성했습니다.

이 짧은 서른편의 글들을 읽고 저마다의 시간의 조각들을 맞춰보는 시간되셨으면 하며, 추천해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툰 시절 - 파리가 스물다섯 헤밍웨이에게 던진 질문들 arte(아르테) 에쎄 시리즈 5
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정지현 옮김, 김욱동 감수 / arte(아르테) / 202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툰시절
#어니스트헤밍웨이
#정지현옮김
#아르테에쎄시리즈5
#서툰시절
#쓰담쓰다
#아르테
#주간심송
#필사챌린지

"인간은 파괴될 수 있지만 결코 패배하지 않는다."

헤밍웨이의 이 한 문장이 가장 먼저 남겨지는 에세이.
쉰셋의 헤밍웨이가 인생에서 지워지지 않을 한 줄의 문장으로 이 문장이 쓰여진 것이라면, 그의 젊은 시절의 시간이 어떠한 바탕이 되었을지 궁금해 집니다.
   서툰시절, 스물다섯의 헤밍웨이가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 중의 하나인 파리에서의 6년동안 만났던 장소-카페, 서점, 거리, 광장, 공원, 센강, 경마장, 빵집, 위스키와 와인, 커피 그리고 예술가들의 대화를 통해서 파리라는 도시의  시간과 공간이 가진 거리에서 스물다섯의 헤밍웨이를 만나보는 한권의 에세이입니다.

"운이 좋아 젊을 때 파리에서 산 경험이 있다면 평생을 어디를 가더라도   파리가 함께 할 거야. 파리는 움직이는 축제니까."

낯선 도시의 길, 도시와 사람의 그림자가 느껴지는 에세이.
파리의 골목길을 따라 하루의 해가 지고, 그 남은  낮의 빛들이 낮은 숨을 고르며 파리의 길 모퉁이로 돌아 눕는 시간.
  헤밍웨이의 문장이 주는 파리의 느낌입니다.
  
길 위의 방황 - 길 잃은 세대, 가난한 소설가를 위한 서점,
파리를 헤매는 시간 - 봄날 아침, 배고픔에 대한 생각
펜 끝이 향하는 곳 - 주머니에 시를 넣고 다니는 남자, 악의 대리인
초조한 마음 - 파리는 영원한 축제.

  에세이는 파리에서의 헤밍웨이 작가의 시선을 따라 가면서 그들- 생미셸 광장의 좋은 카페에 들어온 젊은 여자, 거르루드 스타인의 아파트와 뤽상부르 공원,  가난한 작가에게 책을 빌려준 셰익스피어 앤드 컴퍼니의 실비아 비치, 센강의 길거리 서점(The Bouquinistes of Paris)의 어느 여주인, 릴라의 야외 테이블에서의 포드, 카페 돔의 테이블에 앉은 두 자매 모델과 파스킨,일본화가의 그림을 좋아한 에즈라 파운드, 살아있는 만큼 죽어 있는 척 했건 동명의 시인 어니스트 월시와의 만남, 젊은 시절 그들과의  만남을 통해서 빚어내지는 언어의 유희와 호흡, 체취를 느끼게 됩니다.

  누구나 젊은 시절의 서툴었던 시절이 있고, 그 시절만의 만남, 이야기가 있을 것입니다.

  웹툰을 원작으로 한 미생의 대사들이 와닿았던 날이 생각납니다. 이미 미생의 허물을 수없이 탈피해야 했던 날들을 지난 후에 다가온 미생의 대사들이 이토록 아프고도, 슬프고, 기쁘고 행복이라 느꼈던 날의 시간을 바라보게 하였습니다 .

  어떤 것도 할 수 있을 것 같았던 날들은 아무 것도 하지 않았던 날들로 기억되어졌고, 새 것 같았던 육체의 젊음은 닳고 느슨해져버렸지만, 서툴었던 시절의 헤밍웨이를 읽으면서, 인생의 처음이었던 날들을 오늘 살아 가고 있는 것이구나 싶습니다.

  낯선 도시에서의 나.
익숙하지 않은 곳에서의 생활이 가져다 주는 예민함을 느끼면서 어쩌면 헤밍웨이의 젊은 시절의 파리도 작가로의 예민함으로 시절의 인연을 통해서 다듬어져 갔음을 봅니다.

  헤밍웨이의 파리, 그러니까 1921년의 파리는 어떤 모양이었는지? 지금의 파리, 2025년 4월의 파리는 또 어떤 모양으로 남아 있는지?
서툰시절을 지나온 나의 모습과 모양을 찾아서 젊은  헤밍웨이의 거리를 나는 걸었고, 광장을 가로질렀으며, 차와 위스키, 이국의 음식이 주는 맛과 향에 날선 감정으로 받아들여봅니다.

  당신의 서툰 시절로 가는 시간...그리고 힘이 되어주는 헤밍웨이의 서툰 시절 이었습니다.

🏷"자네들은 모두 길 잃은 세대야" p.59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모든 세대는 무언가에 의해 길을 잃은 세대가 되었다고. 지금까지 늘 그랬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p.61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만족감을 느끼는 사람은 가난을 개의치 않는 법이다."p.79

@21_arte
@ssdamhong
@jugansimsong
@byeoriborimom

이 책은 쓰담쓰다, 주간심송 덕분에 아르테출판사로 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읽고. 쓰고. 마음에 담은 이야기들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