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리쾨르 컴북스 이론총서
이양수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0세기 실존주의를 대표하는 사상가인 사르트르, 보부아르, 하이데거 등에 비해 리쾨르는 한국에서 크게 조명받지 못한 사상가다. 여기엔 리쾨르의 이론이 다소 종교적인 색채를 지닌 탓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윤리학이 각광받고 있는 오늘날 리쾨르는 다시 소환될만한 인물이다. 지극히 개인적인 내러티브를 존재와 세계를 이해하는 틀로 삼기 때문이다. 

리쾨르는 자신의 사상을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여정'이라고 했다. 그는 사르트르가 강조했던 주체 개념을 포기하고 존재에서 환원되지 않는 무엇인가를 찾아 실존주의에서 현상학으로, 현상학에서 해석학으로 이동한다. 그곳에 자리한 것이 바로 내러티브다. 우리가 말한다는 것, 특히 모국어로 말한다는 것은 어떤 입장에서 시작한다는 것을 말한다. 개인적 말하기는 존재가 세계를 이해하는 방식을 말한다. 주체가 아닌 존재라는 것이 중요하다. 주체는 행위하는데 선택의 자유가 있으나, 존재는 세계 속에 던져진 존재다(시작은 하이데거의 피투성Geworfenheit과 유사하다). 세계의 시간은 존재의 시계바늘 이전부터 돌아가고 있었고, 이 시간은 존재에게 존재의 의지와는 무관한 비자발성을 부여한다. 즉 우리의 행위는 자발성과 비자발성의 변증법적 합에 의한 것이다. 이 때 존재의 말하기, 즉 내러티브는 일종의 '포에틱 미메시스'로서 세계의 시간과 존재의 시간을 엮어낸다. 존재는 단순히 말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의 수용과정을 겪는다. 언어의 상상이 현실을 재구성하고 확장시키는 것이다.

리쾨르에서 생기는 의문점은 그가 존재의 행위에서 비자발적 측면을 강조했음에도 불구하고 그가 꿈이나 환상과 같은 지각불가능의 영역에 크게 발을 들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그가 스피노자 철학에 전부 동의한다고 말한 것을 생각하면 행위의 비자발적 측면은 존재의 잠재적 힘인 puissance와 긴밀히 연결될 수 있는 주제다. 만약 그의 후기 주제였던 해석학을 바탕으로 리쾨르의 연구가 지속될 수 있었다면 문학 등 예술 작품 연구에 하나의 패러다임을 제공할 수도 있었을 것이다.

어떤 면에서 이 책은 리쾨르에 대한 글이기도 하지만, 리쾨르의 표현들을 빌려 쓰인 이양수 필자의 연설문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짙게 호소하지만 그 내용은 논리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장르영화 커뮤니케이션 이해총서
배상준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크루볼 코미디, 멜로드라마, 뮤지컬 등 고전 장르에서 시작해 오늘날의 한국 영화까지 매우 풍부한 사례로 장르영화를 소개하는 책이다. 코미디-멜로-갱스터-누아르-SF-호러-스릴러-다큐멘터리-재난영화-기타 순으로 정리하고 있는데, 영화에 수많은 장르가 있음에도 이들을 추려서 전달한 데에 어느 정도 의의가 있어보인다. 주요 언급된 내용들이 한국의 장르영화에서 사랑받는 영화들이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 '장르'라는 말에 거부감이 조금 있긴 한데, 장르의 탄생에 위치한 고전들을 이야기하는 것은 그래도 즐겁다. 고전들이 잘 정리된 책이다. 필자가 언급하는 시대를 앞서간 구도를 창조한 필름 누아르의 걸작들에서 한국의 누아르 영화로 눈길을 돌리면 약간 슬퍼지는 것도 사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크리스티앙 메츠 컴북스 이론총서
이수진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는 선택의 예술인가, 우연의 예술인가? 최소한 크리스티앙 메츠는 영화를 선택의 예술이라고 파악하는 듯하다. 영화기호학의 창시자인 메츠는 영화의 구성이 본질적으로 랑그(langue)가 아닌 랑가주(langage)라고 말하며 그 시간성, 정확히는 서사성에 주목한다. 복수의 이미지는 곧 이야기를 갖는다는 의미다. 데쿠파주, 몽타주로 구성되는 일련의 영화적 사건들이 이를 증명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관객은 영화라는 기표에 참여하는 지각 주체로서 하나의 의미작용을 완성시키게 된다.

글의 마지막에서 필자가 랑가주로서의 영화 분석을 통해 빔 벤더스의 <<베를린 천사의 시>>의 흑백 시퀀스와 컬러 시퀀스의 대조를 감각하는 인간의 찬미로 이해한 것은 틀린 해석은 아니지만, 기타 해석의 여지를 지워버린 것은 아쉽다. 이는 메츠 이론의 한계로도 보이는데, 메츠가 영화에 대한 관객의 '구성 능력'을 적극 신뢰하면서도 그것을 지나치게 코드(약호)와 연결시키기 때문이다. 영화관에 앉는 순간 우리가 기대하는 것은 재미있는 서사인가, 아니면 극장을 떠난 후에도 머리 속에서 사라지지 않는 얼룩같은 이미지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럽 영화 운동 커뮤니케이션 이해총서
이나라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럽 영화의 흐름을 챕터별로 잘 정리하고 있다. 할리우드 문법에 익숙한 독자들에게는 새로운 이야기일 것이고, 유럽 영화에 친숙한 독자라면 흐름을 따라가며 얻을 수 있는 재밌는 사실들이 많다. 특히 뉴저먼 시네마는 영화사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다뤄지지 않는 내용인데, 이 작은 책에서 이런 내용을 만나다니, 반가운 일이다. 네오리얼리즘의 정신이나 시대적 배경, 동유럽 영화의 정신 등 단순이 문법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역사적 흐름과 사상적 배경을 이해하기에 충분하다. 물론 영화는 직접 봐야 이 내용들을 머리 속에 그릴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 장인 도그마 95가 다른 챕터에 비해 영화사에서 큰 의미가 있는 사건이었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남는다. 이는 라스 폰 트리에가 주창하고, 라스 폰 트리에 역시 져버린, 거의 누구도 실천하지 못한 선언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앙리 르페브르 컴북스 이론총서
신승원 지음 / 커뮤니케이션북스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제와 똑같은 오늘이란 있을까? 우리는 흔히 "매일 똑같은 일상"과 같은 상투적인 표현으로 일상의 가치를 격하시키곤 한다. 하지만 르페브르에 따르면 일상은 반복적인 동시에 차이의 원인이 된다. 우리가 일상에서 차이가 아닌 반복에 주목해온 것은 부정성의 모더니티(여기서 모더니티란 소비사회, 혹은 자본주의와 동격이다)가 우리 일상을 동일성에 포섭하기 때문이다. 

이 통찰은 말하자면 장 보드리야르의 자본주의적 우울의 정반대에 있다. 일상생활은 역설적으로 우리 삶 전부를 교환가치로 포섭하려는 '돈'의 위력에서 우리를 탈출시키는 원동력이기도 하다. 이 입장에서 우리의 일상 공간은 생산물임과 동시에 생산의 장이 된다. 노동으로부터 노동자를 소외시키는 자본주의적 메커니즘이 동시에 탈소외의 기반이 되는 셈이다. 공간의 혁명가(!) 미셸 드 세르토를 흥미롭게 읽었던 입장에서 르페브르 역시 흥미가 간다. 세르토가 팝한 느낌이라면 르페브르는 좀 더 고즈넉하다고 해야할 지. 

코로나 시대에서 공간이란 예전보다 조금 더 사치품이 되어가는 듯 하고, 조금 더 비일상화되고 있는 듯하다. 공간이 일상 대신 사치의 장이 되기 전에, 차이와 놀이의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르페브르는 이러한 문제 의식을 이끌어낼 수 있는 사상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