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물리학자 김만섭이 신을 만난 얘기
고인덕 지음 / 하나문화원 / 2008년 12월
평점 :
품절
물리학자와 신의 만남이라고 해서 굉장히 독특한 이야기가 되겠구나, 기대했었다. 어디까지나 내 기대감은 책 표지를 꼼꼼히 읽었을 때까지만 살아있었다. 페이지의 무게가 왼쪽으로 치우쳐갈수록 내 고개는 갸우뚱하고 있었다. 왜? 대체 왜 이렇게 소모성인 대화만 계속 되는 거지? 신에 대한 정체성이 결론 날 때까지 한 번 가보자, 이건가?!
문득, 예전에 읽었던 책 한 권이 떠올랐다. 앙드레 지드가 쓴 미발표작이라는 광고로 한껏, 그것도 양껏 내 마음을 붙잡았던 책, <코리동>. 이 작품에 견주어서는 좀 더 담대하고, 격언과 명사들의 언급이 난무하는(?) 작품이긴 하지만, 이야기의 흐름이 한 가지 주제에 대해 책 한 권이 끝날 때까지 오직 소모적인 대화만 이어진다는 점에서 동일시 할 수 있었다. 그 때에도 <좁은 문>을 쓴 저자니까, 뭔가 다를 거다, 이런 식의 기대에 가득 찼고, 곧 실망감을 가득 안고, 마지막 대화까지 읽으며 책장을 덮었던 기억이 떠오른다. 이 책이 그 때의 감정을 다시 떠오르게 만들다니, 그 점이 놀라웠다. <코리동>과 이 작품이 다른 점이 있다면 <코리동>은 동성애에 대해, <물리학자 김만섭이...>는 신에 대해 이야기 한다는 것이 다를 뿐이다.
덧붙이자면, 격이 다른 것을 들 수 있다. 독자로 하여금 다소 어렵고 딱딱하게 느껴질 수 있는 <코리동>이지만, 고품격 대화라고 봐줄만 했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격분하고 말았다. 살짝 본문을 봤을 때 이 책이 이 정도로 실망스러울 거라곤 상상할 수 없었다. 오히려 마음에 드는 부분을 본 것 같다. 선뜻 특이한 제목과 소재로 마음이 끌렸던 책이었는데 말이다. 그런데 책을 파고들면 파고 들수록 실망감은 눈덩이처럼 불어날 뿐...
이해하기 힘든 꼬리물기 잡념과 잡담이 가득 공감을 메우는 낙서장이었다. 여기서 이해하기 힘든, 이라고 표현한 것은, 깔끔하게 문체를 다듬고 또 다듬는 것이 소설가들의 일이라고 알고 있는 상식선에서 말하는 것이다. 너무나 다듬어지지 않고, 홀로 무한 생각들을 나열한다. 절대로 문장을 깎고 다듬었다고 보기 힘들다. 했던 말과 질문을 몇 장이 지나도록 진전은 드물고, 심하게는 네 번 이상 반복하는 것이 화가 날 정도였다. 어떤 꼬리물기 생각은 한 페이지를 가득 채우는 것도 모자라 넘기기까지 시도한다.
서평을 쓰면서 스스로 이렇게 놀라기는 처음이다. 태어나 이렇게 혹평을 하는 것도 처음이다. 작가가 이 책을 목숨보다 더 사랑하는 딸에게 받친다는 구절이 무색할 정도로, 심한 충격을 받은 나는 그 글귀를 읽으면서도 미안하다기보단 왜? 라는 생각이 앞선다. 도대체 저자는 무슨 생각으로 이 책을 썼을까 하는 꼬리물기를 이어지게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