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무튼, 메모 - 이것으로 나의 내일이 만들어질 것이다 ㅣ 아무튼 시리즈 28
정혜윤 지음 / 위고 / 2020년 3월
평점 :
요즘 메모에 관심이 많다. 알라딘 서재에 찔끔찔끔 뭔가를 남기려고 노력하는 일도 책 메모를 해보려는 나의 필사적인 노력 중 하나다. (그래도 7월 한달 간 독서하며 인덱스 한 통을 다 썼다.)
<아무튼, 메모>도 메모하는 법을 건져볼까, 하고 펼쳐들었다. 내 예상과는 달랐지만, 예상보다 좋았다. 메모에 대한 메뉴얼이라기보단 작가의 메모 예찬에 가까운 책. 정혜윤의 책은 처음인데, 맞장구 치고 싶은 문장들이 많았다. 나랑 비슷하게 느껴져서 읽던 도중에 '정혜윤 MBTI'를 검색해보기도 했다. (물론 나올 리 없었다..) 지금보다 더 나은 사람이 되려고 메모를 한다는 정혜윤의 말이 좋다. 할 수 있는 한 최선의 내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것, 책과 메모가 이를 도와줄 것이다.
8월의 마지막 책으로 이 책을 골라서 다행이다. 9월에도 기록할 힘이 생겼다.
이렇게 살다 보니 우리가 그런 능력이 있는 줄도 모르는 아주 중요한 능력 '무관심의 능력'이 생겨났다. 나는 '(건강한) 무관심의 능력'의 대가다. 물론 이건 나 혼자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다. (p.22)
=> (건강한) 무관심. 내게 지금 필요한 능력이다. 나는 (그냥) 무관심의 능력도 없고, 굳이 찾아내자면 (음흉한) 관심의 능력쯤은 있는 것 같다. 그러면서 관심 없는 척 하는 데 에너지를 쓴다.
한번 읽은 뒤 절대 잊어버리지 않는 말이 있다. 보르헤스의 말이다. "우리 인생에는 약간의 좋은 일과 많은 나쁜 일이 생긴다. 좋은 일은 그냥 그 자체로 놔둬라. 그리고 나쁜 일은…." 여기서 잠깐 멈추고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보라. 대체 나쁜 일은 어떻게 해야 할까? "나쁜 일은 바꿔라. 더 나은 것으로. 이를테면 시 같은 것으로." 이 말을 어떻게 잊을 수가 있겠는가? (p.67)
-> 나도 보르헤스의 이 말 외울래. 나쁜 일은 바꿔라, 이를테면 시 같은 것으로.
당시 노트에 쓴 것들이 무의식에라도 남아 있으리라, 나는 믿는다. 어느 날 무심코 한 행동 속에서 그 모습을 드러낼 것이라 믿는다. 이게 메모를 하는 가장 큰 이유인지도 모른다. 이게 메모를 하는 가장 큰 이유인지도 모른다. 무심코 무의식적으로 하는 행동이 좋은 것이기 위해서. 혼자 있는 시간에 좋은 생각을 하기 위해서. 그런 방식으로 살면서 세상에 찌들지 않고, 심하게 훼손되지 않고, 내 삶을 살기 위해서.
- P36
사회가 힘이 셀수록 이 사회와는 조금 다른 시간- 고정관념, 효율성, 이해관계와 무관한 자신만의 시간이 필요하다. 사회가 힘이 셀수록 개인이 자기 자신으로 사는 사적 사유의 시간과 공간이 필요하다. 사회가 힘이 셀수록 그저 흘러가는 대로, 되는 대로 가만히가 아니라 ‘의도적‘으로 살 필요가 있다. 메모를 하는 사람은 스스로 생각하는 시간을 자신에게 선물하는 셈이고 결과적으로 메모는 ‘자신감‘ 혹은 ‘자기존중‘과도 관련이 있다. - P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