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의 정해 - 중용의 깊은 뜻 쉽게 알기
윤서현 지음 / 지식과감성# / 202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500여 년전 중국의 춘추전국시대 때 다양한 학문이 발현하였다. 제자백가는 도가, 법가, 유가 등 다양한 학문을 의미하는데, 당시 공자의 유가는 어느 나라에서도 환영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법가를 중심으로 한 진나라가 멸망하고 유가는 중국 역사에 당당히 통치 철학으로 자리잡을 수 있었다. <중용>은 공자의 손자인 자사가 저술한 책으로 유교의 주요 사상을 다루고 있는 사서삼경 가운데 하나이다. 유교는 당시 저명한 유학자가 과거 경전을 해석하며 발전해왔고 주희와 이익이 중용에 대해 자신만의 견해로 발전시켰다. <중용의 정해>는 바로 중용에 대한 주희의 해석은 <중용장구>와 <중용장구>를 재해석한 이익의 해석에 대해 다루고 있다.


<중용>은 유교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추상적인 철학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예'를 다루고 있다. 사람이 하늘로부터 받은 '인의예지'의 본성을 제대로 발현하기 위해 자기 자신을 어떻게 수련할 것이고, 나아가 나라를 다스릴 수 있을지 알려준다. 책에선 유교 철학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과거 인물의 행동과 말을 토대로 자신이 생각한 중용에 대해 쓰고 있다.


다양한 <중용>의 번역본이 존재하지만, 윤서현 편저자는 읽고 공부하려는 사람의 입장은 도외시하고 번역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중요한 단어를 한글로 변환하는 데에 그쳤다는 것이 아쉬웠다고 한다. 그래서 전체적으로 <중용>을 공부하고자 하는 사람에게 경문의 내용을 쉽게 읽힐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 작성하였다고 한다. <중용>을 읽으며 현대 사회에서 어떻게 살아야 할지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지 않았나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