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의 그릇 - 퍼스널 브랜딩으로 회사 밖에서 돈을 담는 법
김동석 지음 / 한빛미디어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생 직장'이란 개념은 IMF 시대를 겪으며 사라졌다. IMF 사태가 터지기 전 직장인은 자신의 목숨을 바쳐 기업을 위해 일했다. 수당 없는 잔업이나 야근도 당연하게 받아들였다. 왜냐하면 자신의 평생 작장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IMF 시대를 겪으면서 이제 더 이상 평생 직장이란 개념이 사라졌다. 자신의 목숨을 바친 기업이 IMF로 어려움을 겪게 되자 가장 먼저 직장인을 구조조정하였다. 가장 힘들 때 자신을 보호해주지 않은 기업을 위해 더 이상 목숨을 바칠 이유가 없었던 것이다. 나아가 의료 기술의 발달로 기대 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퇴직 후 새로운 직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결국 평생 직장이 아닌 평생 직업을 찾는 새로운 세대가 등장한 것이다.

<업의 그릇>에서 김동석 저자는 직업이라는 단어에서 직은 회사에서의 직급을 의미하고, 업은 직책이 아닌 개인의 능력을 지칭한다며, 이 책은 나만의 업을 만들어 인생 후반전의 경쟁력을 갖추는 업의 그릇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담았다고 이야기한다. 이 책은 조금 더 실천적으로 어떻게 자신만의 업을 찾을 것이며, 그 업을 찾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할 수 있을지 생각해보게 만드는 책이다.

책은 구체적으로 어떻게 해야 하는지 고민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많은 도표나 사진이 등장한다. 특히 도표나 사진으로 만드는 것이 단순히 줄글로 쓴 것보다 이해하기 쉬운 부분이 많다는 느낌이 들었다. 개인적으로 이렇게 정리해보는 습관을 들이는 것도 좋지 않나 싶다.

나만의 업을 만드는 것에 정답은 없다고 생각한다.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자신이 할 수 있는 일로 만드는 과정이 중요하지 않나 싶다. 이 책이 당신의 업을 결정해주지 못하더라도 자신에게 맞는 업을 생각해보고 업에서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파이프라인으로 만들어주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평생 직장은 없고 평생 직업은 있다라는 말도 이제 옛 말이 되었다. 과학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평생 직업도 없어질 가능성이 크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자신에게 맞는 업을 찾는 여행이 되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