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 2.0 - 메타버스라는 신세계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
사토 가쓰아키 지음, 송태욱 옮김 / 21세기북스 / 2023년 10월
평점 :

메타버스는 Meta+Universe의 합성어로, 현상을 초월한 세상, 새로운 세상 정도로 이해할 수 있다. 사실 지금 메타버스의 주가는 한참 잘 나갈 때보다 많이 떨어졌다. 코로나 시대 때만 하더라도 호사가들은 메타버스가 세상 자체를 바꿀 수 있는 혁명이라고 이야기하고 다녔지다. 그러나 코로나 시대 이후 메타버스가 세상 자체를 바꿀 수 있는 힘이 있는지 많은 사람이 의문을 가졌다. 이 책도 메타버스가 가장 잘 나가던 2022년 3월에 썼지만, 번역하여 출판되는 과정에서 1년 6개월 정도란 시간의 공백이 생겼다. 그리고 그 시간 동안 메타버스의 주가가 많이 떨어졌다.
개인적으로 메타버스를 좋아하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나는 IT 기술과 친하지 않다. 강태공을 존경하는 사람으로써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서 고전 같이 잘 변하지 않는 것을 좋아한다. 그래서 아직까지 PC방에서 소리가 안 나오면 친구한테 해결해 달라고 하거나 소리가 없는 채로 게임을 하기도 한다. 이처럼 새로운 기술과 친하지도 않고 주가가 떨어진 메타버스에 대하여 읽고 싶다는 마음이 든 것은 단순히 호기심뿐만 아니라 새로운 세계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기대감이 있기 때문이다.

메타버스는 새로운 세상을 창조하는 것이기 때문에 현재의 모든 IT 기술이 필요하다. 그리고 메타버스는 우리 삶에 있어서 큰 편의를 제공할 것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한다. 세계적으로 포켓몬고라는 게임이 인기를 끈 이유는 직접 포켓몬스터를 잡기 위해서 움직여야 한다는 점이다. 이것을 메타버스에 적용시킨다면 실제로 포켓몬스터를 잡는 생생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면 훨씬 인기를 끌 수 있을 것이다. 당장 나도 하고 싶은 마음이 있다.
사토 가쓰아키 저자는 이 책에서 메타버스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메타버스의 긍정적인 면을 기반으로 메타버스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지 알려준다. 물론 저자가 이야기하는 모든 면이 실제 생활에서 아무 의미가 없을 수도 있으며 메타버스 자체가 쓸모 없어질 수도 있다. 그렇지만 몇 가지는 실제로 되지 않을까 싶은 것도 있다. 책을 읽고 메타버스에 대하여 알고 미래의 메타버스는 어떻게 될지 상상해볼 수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