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호의 인생 꽃밭 - 소설가 최인호 10주기 추모 에디션
최인호 지음 / 열림원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인호 작가는 1963년 단편 <벽구멍으로>를 시작으로 정말 많은 작품을 썼다. 이 책에서 저자가 자신의 작품의 판매 부수를 어림잡아 700만 부 이상이라고 밝힐 정도로 상당히 많은 작품을 출품하였고, 독자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다. 후배 소설가 이문열은 1970년 대 소설가 가운데 글만 써서 밥 먹고 사는 작가는 최인호가 유일하다고 평가할 정도로 한국 문학에서 큰 영향을 미쳤다. 최인호 작가는 워낙 많은 작품을 썼기 때문에 나도 하나쯤은 읽은 것이 있지 않을까 찾아봤는데 장편소설 중 <낯익은 타인들의 도시>를 읽었던 기억이 났다. 그래도 하나라도 읽어 부끄럽지 않게 최인호 작가의 산문집을 읽을 수 있었다.

책 <최인호의 인생 꽃밭>은 소설가 최인호의 산문을 엮은 책이다. 이번 책은 최인호 작가가 작고한지 10주기를 추모하는 에디션이다. 책을 읽고 개인적으로 그가 어떤 삶을 살았는지 알 수 없었으나 나중에 늙으면 당신처럼 늙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어렸을 때 자신의 부끄러웠던 행동을 충분히 부끄러워하면서도 충분히 반성하고, 현재 자신의 삶을 만족하며 인생은 아름답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마음에 들었던 구절은 모아봤다.

인생이란 짧은 기간의 망명이라고 플라톤이 말했던가.

나는 지금 그 망명지에서 손꼽아 유배기간이 끝나기를 기다리는 사형수와 같다. 내 전생은 이미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나는 이제 금생에 살고 있다. - p.22 line 3~6

 

선물은 하나의 물건이 아니다. 선물의 교환은 물물교환이 아니다. 그것은 사랑의 교환인 것이다. 사랑의 교환에 무슨 값비싼 선물이 필요할 것인가. 에머슨의 말처럼 농부에게는 곡식이, 처녀에게는 자신이 바느질한 손수건이 최고의 선물이 아닐 것인가. - p.51 line 15~19

 

5평의 방이 넓어지려면 집을 부숴서 8평의 방을 신축할 것이 아니라 5평의 방을 가득 채운 쓸모없는 것을 버려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하루 24시간은 고정되어 있다. 하루를 여유 있고 풍요롭게 보내기 위해 24시간을 26시간으로 연장할 수 없다. 다만 하루 속에 들어 있는 쓸모없는 생각의 잡동사니들을 정리하여 시간을 확보할 수는 었을 것이다. - p.92 line 18 ~ p.93 line 3

 

지금까지 수많은 책을 낸 다산 작가인 내게도 어느 누군가에겐 백해무익한 물건으로 취급되어 쓰레기처럼 버려지는 것은 아닐까. 내가 쓴 소설도 결국 터무니없는 거짓말만 늘어놓고 허튼수작이 아닐 것인가. 그렇게 보면 나 역시 디스레일리가 말하였던 시원치 않은 책을 통해 인간에게 저주를 양산해내고 있는 죄인은 아닐까. - p.264 line 20 ~ p.265 line 4

그 중 가장 마음에 들었던 부분은 바로 선물과 관련된 부분이다. 나는 선물을 할 때 물건이 아닌 돈으로 줘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었다. 왜냐하면 돈이 그 사람의 효용을 높이기 기장 좋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책을 읽고 설령 상대방에게 꼭 필요하지 않는 선물이라 하더라도 스스로 선택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외에도 정말 좋았던 부분이 많았다. 정말 늙어서도 최인호 작가처럼 생각하며 살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