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컨드 펭귄 - 불확실한 1인자보다 확실하게 살아남는 2인자의 성장 공식
임승현 지음 / 서사원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세컨드 펭귄>은 불확실한 1인자가 아닌 확실한 2인자를 위한 책이다. 저자 임승현은 전략 컨선턴트로 일하며 기업을 운영하는 리더가 아니라 리더 옆에서 기업을 운영하는 CSO로 일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기업 내 2인자보다 1인자만 기억하는 경향이 강하다. 저자도 이를 부정하지 않는다. 다만 1인자의 경우 성공한다면 많은 부와 명예를 얻을 수 있지만 기업의 성패에 자신의 운명을 걸어야 한다. 즉 망한다면 모든 책임을 저야 한다는 것이다. 반대로 2인자인 경우 망하면 어느 정도 책임은 지겠지만 자신의 운명을 기업의 성패에 걸 필요는 없다. 그러므로 훨씬 안정적이므로 2인자가 1인자보다 낫다는 것이 저자의 생각이다.

책은 3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퍼스트 펭귄의 도약', '세컨드 펭귄의 성장 공식', '세상 어디에도 없는 CSO의 비법 노트'로 구성되어 있다. 3부인 CSO는 데이터 분석 등 실무적인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이해하는 데 조금 어려움이 있었다.

개인적으로 인상깊었던 부분은 2부에서 자신의 커리어를 키울 수 있는지와 관련된 내용이었다. 각자의 영영과 전문성이 다르므로 조직 내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포지션을 차지하느냐에 따라 자신의 커리어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점과 일정한 커리어를 쌓기 위해선 반드시 일정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이 마음에 와 닿았다. 커리어에도 선택과 집중, 그리고 1만시간의 법칙이 적용되며 이는 지키기 매우 어렵기 때문에 어떻게 하면 잘 실현할 수 있는지 항상 생각해봐야 하지 않을까 싶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잘못된 예시를 사용했다는 점이다. 저자는 장자의 포정우화로 분석을 설명하였는데 이는 잘못된 해석이다. 장자가 포정우화에서 강조하는 점은 천리에 따라 행하면 소와 일체가 되어 자신의 행하는 행위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즉 포정이 전설의 소잡이인 이유는 소를 잘 분석해서가 아니라 천리를 거스름 없이 막힘없이 행하기 때문이다. 분석은 대상을 보고 생각해야 하지만 포정은 생각하지 않으므로 잘못된 해석이다.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숫자가 '2'이다. 그래서 스스로 대통령이 되기 보단 비선실세(?)가 더 되고 싶다고 친구들한테 농담조로 이야기한 기억이 있다. 2인자는 리스크가 낮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실력에 따라 큰 돈과 명예를 얻을 수 있다. 이 책을 통해 2인자로 어떻게 자신의 커리어를 키울 것인지 고민해 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