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쉬어달리기 - 되어 가는 삶, 멈추어 묻고 답하다
김지영 지음 / 파지트 / 2025년 7월
평점 :
✨
잠시 멈춰도 괜찮아
제대로 가고 싶다면
나답게 살고 싶다면
🔖
생각해보면 그래요.
스케줄러에 매일의 일정을 빽빽히 적어놓고
빠쁘게 하루를 보내고
일이 마무리되면 또 다른 일을 하면서
쉬지 않고 달려야 괜찮은 사람이야.
힘들어도 참고 견디는거야.
🫠
몇년전에 저는
번아웃이 온 줄도 모르고
멈추지 않고 나아갔던 것 같아요.
몸이 아픈 신호를 보내고
어쩔 수 없이 쉬어갈 수 밖에 없었는데
그 쉼의 시간이 평범하고 작은 저의 삶에
큰 전환점이 되었어요.
🏃🏻♂️
운동을 시작했고,
내가 할 수 있는 정도의 일을
보람을 느끼면서 일하게 되었고
아이를 바라보던 걱정된 시선에서
제법 여유로워 졌습니다.
.
.
.
.
📚
이책은
‘멈춤’은 실패나 포기가 아니라고 말해요.
누구에게나 멈춤의 순간은 오게되고
익숙한 사고, 빠른 속도, 강박과 집착, 중독
불편한 관계와 의무감, 비교와 경쟁, 자기비난 등
익숙한 것들에서 잠시 멈춰서
나 자신과 삶을 새롭게 바로보는 통찰의 시간은
더 나은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꼭 필요한 시간이라고 해요.
🔖
각 장마다 던지는 질문들은 어려운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할 지 모를 때,
어디로 가야할 지 모를 때,
새로운 시각과 가능성을 탐색하게 해주네요.
❌
왜 나는 잘 안 풀리는 걸까? 가 아닌
⭕️
’다른 사람들은 이 어려움을 어떻게 해결하고 있을까?‘
이렇게 물으면 불평하던 마음에서
타인의 지혜를 탐색하는 호기심을 전환됩니다.
🌈
모두 곱씹어보게 하는 좋은 질문들이었는데
그중 가장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한방에, 한번에 잘하고 싶어>였어요.
🔖
언어학자 스티븐 크라센 박사님이 말한
(i + 1) 이론. 현재수준(i) 보다 약간 높은 단계 정보를 접할 때
가장 효과적으로 언어를 습득할 수 있다고 하죠.
☕️
이는 우리 삶에도 목표를 설정하고 실천하는것에도 적용된다고 해요.
지나치게 이상적으로 I+10 이상의 수준을 스스로에게 기대하고
’한방에‘, ’완벽하게‘하려는 욕심을 버리고
지금 내 상태를 객관적으로 이해한다음
10분일찍 일어나기, 15분 걷기, 한줄 더 쓰기 같은
작은실천이 작은 성공으로 성취감을 느껴
꾸준함을 이어가는 추진력을 발휘한다고 해요.
현재 내 상태를 객관적으로 바라보기 위해서라도
쉬어..달리기는 꼭 필요한 과정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
우리 긴 인생이라는 여정에서
잠시 멈추어 숨을 고르고 질문에 답해보면서
쉬어...달려 볼까요?
이책은 @pazit.book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멋진 책 선물 감사드립니다😊🧡
#서평 #쉬어달리기 #파지트 #다잘될거예요 #잠시멈춤 #교양심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