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만엔 원년의 풋볼 웅진지식하우스 일문학선집 시리즈 4
오에 겐자부로 지음, 박유하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어본 일본작가의 소설 중에서 가장 좋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이름들의 인문학 - 인류가 쌓아온 교양 속으로 떠나는 지식 여행
박지욱 지음, 이문희 낭독 / 반니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자의 전공 분야인 의학/생리학 분야는 전문성이 느껴졌지만 뒷부분인 천체우주항공학 파트는 그리스/로마 신화 신들의 이름이 현대 우주로켓이나 별들 이름에 쓰였다는 정도로 느껴져서 아쉬웠음. 게다가 예를들어 명왕성 퇴출 과정에서 제나(에리스) 이야기는 편집이나 구성 상의 문제인지 두번 정도 중언부언되는 느낌이었음.


 토마스 불핀치의 그리스/로마신화로는 다른 지역의 신화는 겨우 맛보기로나마 접해볼 수 있 듯이 그리스/로마 신화의 비중이 어쩔 수 없이 많을 수 밖에 없음은 이해함.


 그러나 마크 포사이스의 Etymologicon이나 100단어로 읽는 중세 이야기 같은 비슷한 시기에 읽은 어원 관련 책들에 비해서는 이미 잘 알고 있는 신들의 이야기인데다가 구성이 다소 중복되는 느낌이어서 아쉬웠음. 마지막 작가의 말에 이름 오디세이? 란 이름으로 연재된 글들을 모아서 재구성하고 다듬은 책이라고 하니 어느정도 이해가 되긴 하였음.


 아, 그리고 이오덕 선생님 책이 연상될 정도로 약간은 과한 K-네이밍 로컬라이징 제안/상상은 조금 웃기기까지 했음.거인들의 이름을 이야기 하면서 한국에서 이름을 짓는다면 '설문대할망' 정도는 어떨까하고 제시하는 부분이 특히나. 동물 이름 제시할때도 이무기같은 이름을 제시하는 부분이 인상적이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킨스의 망상 - 만들어진 신이 외면한 진리
알리스터 맥그라스 외 지음, 전성민 옮김 / 살림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이 안타깝고도 저열한 책을 펼치자마자 한숨이 나오지 않을 수가 없다.



동덕여대 총장 손봉호의 추천사를 살펴보자.


"도킨스의 책은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입장에서 저술된 과학서가 아니다. 한마디로 무신론을 전제로 한 자신의 무신론적 이데올로기를 과학의 이름으로 정당화하려는 종교비판에 불과하다. 역사적으로 그리고 현재 활동하는 세계적인 과학자들의 상당수가 기독교인이라는 사실만 보더라도 그의 주장이 오류임을 확인할 수 있다."


1)도킨스의 책-만들어진 신(God delusion)에서 도킨스가 자신의 책이 객관적이고 중립적으로 서술된 과학서라고 주장했는가 ->아님.

 대체 책 어디에 도킨스가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태도로 종교를 대하겠다고 선언하기라도 했는가?


2)도킨스의 종교비판이 오류라는 주장의 근거가 역사적으로 그리고 현재 활동하는 세계적인 과학자들의 상당수가 기독교인이라는 사실로 입증되는가? -> 아님. 


먼저 무신론적 이데올로기로 종교비판한 것에 불과하다고 치부 받지 않으려면 루터처럼 신학박사 정도는 되어야 한다는 의미라면 이것이야말로 나중에 언급할 질문과 논쟁 자체를 꺼리려는 종교의 양태를 잘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일말의 양심은 있는지 세계적인 과학자들의 상당수(웃음)라고 표현했는데 세계적인 과학자들의 상당수는 신의 존재를 믿지 않는다는 통계 자료가 적어도 100년 전부터 조사되어 있다.




 이런 당연한 사실관계 조사를 차치하더라도 세계적인 과학자들의 상당수가 기독교인이라는 사실과 도킨스의 주장이 오류라는 것에는 하등의 상관-인과관계가 없다는 사실을 지적해야 한다는 현실부터가 어처구니가 없고 이게 지성인을 양성해야하는 대학교 총장의 논증방식이라는 데에서 참으로 한심스럽단 생각이 든다.


 이걸 권위에 호소하는 오류라고 해야할까? 아니면 상당수란 표현으로 귀납법조차 아닌 것을 자인하면서도 다수결에 호소해보려는 몸부림이라고 봐야할까? 





패기 넘치는 주석3을 보자


어떠한 논증도 참아내지 못하기 때문 VS 어떠한 논증에도 견디지 못하기 때문


번역하면서 자의적으로 신앙은 견디지 못하고 무너져 내릴 수는 없기 때문에 참아내지 못한다고 번역하고는 도킨스는 이렇게 생각했을테니 오역이라고 지적하는 패기에 박수를 보낸다.


아마 bear 어쩌구 였을 것 같은데 대충 원문을 찾아보니

‘Faith is an evil precisely because it requires no justification and brooks no argument.’ (p. 308)


brook 이었다. 도킨스가 이야기한 주장의 의미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다른 인터뷰 내용을 찾아보았다. https://answersingenesis.org/blogs/ken-ham/2016/07/28/richard-dawkins-religion-force-evil/


 that does not require justification, is never questioned. That is evil. It is evil to children and it causes evil when they grow up.


많은 사람들처럼 질문(회의) 자체를 허용하지 않는 것을 도킨스는 종교의 속성을 보고 있다. 어차피 질문이나 논쟁을 허용하는 순간부터 무너져 내리기 때문에 견디지 못한(brook)다거나 참아내지 못한다거나에 대체 무슨 의미의 차이가 있나 싶다. 참지 못하면 예끼놈 무엄하다 갈! 하면서 화 내는거고 견디지 못해도 무너지든 화를 내든 리액션을 하는 것이 아닌가?




다음으로 맥그래스가 의기양양하게 반박했다고 착각하며 흡족해하는 테르툴리아누스의 quotes를 보자



도킨스가 인용하는 테르툴리아누스의 라틴어 원문은 Certum est quia impossibile est’ 이다.


https://en.wikipedia.org/wiki/Credo_quia_absurdum

Origins[edit]

The original phrase, before being transmuted through Enlightenment rhetoric to its modern form "I believe because it is absurd", appeared in Tertullian's work De Carne Christi (c. 203–206), read by scholars as "I believe because it is unfitting". The context is a defense of the tenets of orthodox Christianity against docetism:

Latin text: et mortuus est dei filius: [prorsus] credibile est, quia ineptum est.

et sepultus resurrexit: certum est, quia impossibile.

English translation: and the Son of God died; it is [utterly] credible, because it is unfitting;

and he was buried and rose again; it is certain, because it is impossible.

https://www.tertullian.org/quotes.htm

https://www.tertullian.org/anf/anf03/anf03-39.htm#5_4



 심지어  테르툴리아누스가 실제로 저 말을 하지 않았다는 피터 해리슨의 논문에서조차 저렇게 등장한다. 뭐 어쩌라는거지??  it is certain, because it is impossible 이라며???


도킨스가 똥이 더러워서 피하는 셈 치고 언급을 안 하는건지 어쩐지는 내 알 수는 없으나 테르툴리아누스가 실제로 저 말을 했는지 여부를 (문자 그대로) 어떻게 검증했는지도 모르겠고―왜냐하면 약 2000년 전의 사람인 테르툴리아누스가 실제로 저 말을 했는지 여부(발음하여 전달하는 행위)는 당연히 알 수는 없지만―  테르툴리아누스의 저작에서 나오는 표현임은 분명해보이는데?




 it is certain, because it is impossible. 

"그것은 확실합니다 왜냐면 그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는 실제로 한 말이고, 

"불가능하기 때문에 확실한 것입니다" 는 실제로 한 말이 아니라니 이게 말장난이 아니고 뭐지?


대체 뭐가 다른데???? impossible이랑 absurd/unfitting의 어감 차이???

논문 읽어보니 번역이 어쩌고 저쩌고 구구절절 공허한 소리를 늘어놓는다.. 한숨만 나올 뿐이다.


 나라도 이 정도면 똥이 더럽기도 하고 지긋지긋하게 지겹고도 무서워서 피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킨스의 망상 - 만들어진 신이 외면한 진리
알리스터 맥그라스 외 지음, 전성민 옮김 / 살림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신자와 그 신앙 대상의 수준만큼 저열한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인을 읽는다 - 삶이 던지는 물음에 대표 석학 12인이 대답하다
최재천 외 지음 / 베가북스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인은 누구인가 같은 책일 줄 알았는데 오디오북으로 듣다보니 전문적인 통계자료 등을 근거로 하는 것이 아닌 피상적인 대담 형식에 본인의 저서를 근거로 한 책 홍보를 위한 책이란 느낌입니다.


특히나 사주 명리학 풍수지리 같은 유사과학 파트가 가관인데,

요새 병원영업시간이나 제왕절개 등으로 인해 아이들이 화火의 시간대에 태어나는 경우가 많고 화의 기운이 많은 치킨을 많이 먹어서 화가 많아서 분노조절장애가 되어 따돌림을 한다는 둥의 소리는 예전에는 따돌림이나 학교폭력 같은게 없었던가란 질문을 역으로 하고 싶을 정도로 어이가 없더군요.


본인이 수水의 기운이 많은 사주인데 그런 사주는 물가에 가면 힘을 못 쓰고 물가에서 2번이나 빠져 죽을 뻔했네, 부산 출신이지만 절대 수영하면 안되네 목욕도 싫어하네 물가에 살 때 건강에 큰 문제나 사고가 생겼네,,,, 무슨 교회 간증 시간인줄 알았습니다 그려


솔직히 이 파트에서 그냥 꺼버리고 싶은 충동이 많이 들었습니다 

머리말에서는 사주명리학이 허무맹랑하다라는 건 선입관이었다는 생각을 했다는 둥의 소리가 있어서 기대를 했지만 이건 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