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가 아닌 시간, 홋카이도 In the Blue 17
문지혁 글.사진 / 쉼 / 2014년 10월
평점 :
품절


이 시리즈를 만난지도 어언 일년. 

각각의 책이 가진 매력을 구구절절이 말 할 필요는 없는 일. 이번 훗카이도 편을 읽으면서 내가 느낀 것이 무엇인지 곰곰히 생각해 보았다.  추억이로구나!

사람들이 여행을 떠나는 이유는 여러가지이겠지만, 내게 여행은 나이 들어 더 이상 여행가방을 끌고 다닐 힘조차 없어졌을 내  노후에 과거를 돌아보고 추억을 떠올릴 수 있어서 행복한 노년의 시간을 보내도록 해줄....마치 감성의 보험같은 그런 것이다.

그래서인지, 이번 훗카이도 편을 읽으면서 가본적도 없는 훗카이도에서 마치 이 가을을 통째로 보내고 와 이거면 충분해! 라는 포만감을 느낄만큼의 추억을 만들어 온거 같은 그런 느낌이었다.

시리즈의 다른 책과 같은 포맷이다. 사진이 있고, 그림이 있으며, 여행지에 대한 정보가 있고,  이야기가 있다. 그런데, 왜 유독 이 책에서는 추억을 연상하게 된 것일까? 바로 작가가 가진 여행지에 대한 추억이 내게 떠오르게 한 사람이 있어서겠지.


내가 아는 훗카이도에 관한 것은 대체 뭐가 있나 책을 들추기 전에 생각해 보았더랬다. 즐겨 마시는 맥주 하나라니 너무하는군! 이라는 생각으로 책을 시작했고, 내가 가본 나폴리와 홍콩과 함께 세계 3대 야경에 속하는 도시가 훗카이도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버킷 리스트에 추가할거 또 하나 생겼네~ 기왕이면 간 김에 책속 사진에 있는 맥주 공장 견학도 가야겠지?

기왕이면 동양의 운하도시인 오타루도 빼먹으면 안되겠군!


아! 잊어버릴뻔 했다.

최소한 내가 읽은 이 시리즈의 책들에선 경험하지 못한 것이 이 책에 있다. 바로 짧게 곁들어진 펙션들. 이 작은 단어를 아무 생각없이 지나쳤던 덕분에 책 다 읽고 작가를 졸지에 바람둥이로 몰아버릴 뻔 했다는 것은 이 글을 읽는 당신과 나만의 비밀!!




'마음 속에 풍경 하나쯤 그리지 않고 사는 사람이 어디 있을까 (프롤로그)'


그렇다. 그래서, 나는 이 책 덕분에 내 마음 속에 남아있던 풍경들 속에 또 하나의 풍경을 얹기 위해 오늘도 지갑속 동젼들을 모두 꺼내 돼지 저금통에 넣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날
소재원 지음 / 마레 / 201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결혼한지 이십여년이 다되어간다. 연애때의 감정, 결혼초나 아이들이 태어나기 전의 감정으로 남편을 바라보는 일보다는 작은 것에도 눈을 흘기는 나날이 이어지는 요즘이다. 고국을 떠나 산지도 역시 이십여년이 다되어 간다. 내 나라에 대한 감정 또한 마찬가지로 예전과는 달리 더욱더 객관적이고 냉철하게 보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 보니 좋고 자랑스러운 것들보다 부끄럽고 창피한 것들이 더더욱 눈에 띄는 요즘이다. 오늘은 친구의 사촌이 길거리에서 공연을 보다가 어이없는 죽음을 당했다는 소식을 SNS 로 연락을 주고 받는 다른 친구를 통해 듣게 되었다.  하지만, 내 고국이 우리에게 남겨준 기억들중에 반드시 잊지말고 늘 생각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들....그것을 젊디 젊은 신예 작가라고 할 수 있는 소재원씨를 통해 다시 한 번 되새겨 보는 기회가 되었다. 


이야기는 소원해진 부부관계의 두 기자가 각각 위안부였던 오순덕 할머니와 그녀의 정인이었던  서재철 할아버지를 취재하러 나서면서 시작된다. 일제 강점기 시절, 15세 소녀였던 오순덕 할머니와 한마을에 살았던 정혼자 서재철 할아버지의 이야기는 그 시대를 살았던 우리 민족이 삶이 던져 주는 고초란 고초들을 어떻게 겪어내었는지 알게 해준다.  그는 서로에게 순정을 받치기로 했던 몸 약한 소녀 오순덕을 위해 직접 의원이 되기로 하고, 의술을 익힌 후 강제 징용되어 만주로 끌려가고 그곳에서 나병을 얻는다. 그리고, 자신의 정혼자를 빨리 돌아오게 하려면 군수품공장에서 일을 해 돈을 벌면 된다는 꼬임에 넘어가 역시나 만주에 도착하지만, 그녀를 기다리고 있던 것은 위안부 수용소. 그 곳에서 그녀는 죽기를 결심하지만 실패하고...결국은 같은 처지에 있는 소녀들에게 한글을 가르치고 자신에게 주어진 고통을 감수하면서 하루 하루 고된 삶을 이어간다.  그리고, 그녀가 서재철에게 가진 순정에 대한 소문은 소녀들 사이에서 그녀를 특별한 사람으로 만들어줄 만큼 유명해진다. 


나병으로 소록도로 보내어져 생살이 뜯겨나가는 고통속에서 거세까지 당하고 모진 고초를 겪던 서재철은 그래도 그를 돌봐주는 노인과 그의 딸 덕분에 조금은 인간적인 대접을 받았으니 어쩌면 오순덕보다 나은 처지였다고 해야 하려나... 그렇게 서로에 대한 순정 하나만 믿고 평생 서로의 처지를 모른척 눈감아주며 편지 왕래를 하던 그들은 74년만에 만나 서로를 위로하고 가락지를 나눠끼며 오래전 약속했던 순정의 결실을 맺는다. 


책속의 묘사들은 실제적이다 못해 잔인하기 이루 말 할 수가 없을 정도이다. 일본 강점기 시대의 다큐멘터리나 관련 자료들을 보면서 더 이상 눈물을 흘리지 못할 거라고 생각했던 적이 있었는데, 이 책을 읽는 동안 머리가 울리고 눈이 부을 정도로 울었나보다. 우리가 잊으면 안될 과거를 너무 쉬이 잊고, 남의 일이라고 생각하며 지내고 있는 것은 아니었는지 반성과 더불어 여전히 일본과 한국 사이에 남겨진 그 잔인하고 힘든 숙제가 얼른 풀려, 살아계신 위안부 할머니들과 그 시대의 고초로 고생했던 이들의 한이 조금이라도 옅어졌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의 취향 - 라오넬라 여행 산문집, 다시 여행을 말하다
고연주 지음 / 북노마드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으면서, 혹은 읽고 난 후에 저자를 한마디로 가장 정확하게, 또는 근접하게 표현하는 단어라면, 바로 '노마드'가 아닐까 싶다. 특정한 가치와 삶의 방식에 얽매이지 않고 끊임없이 자기를 부정하면서 새로운 자아를 찾아가는 것을 의미하는 철학적 개념이라고 하기도 하지만, 극단적으로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유랑자'가 아닐까 싶다. 


저자는 그런 유랑자의 성격을 짙게 보인다.  한 곳에 머물지 않고 끊임없이 여행을 떠난다. 그렇다고 평범한 보통 사람들처럼 어느 곳인가 시간과 장소를 정해 머물며 남들이 흔히 가는 박물관에 들리고, 쇼핑을 하며, 기념 사진을 남기는 것이 아니라 마치 그 곳에 아주 살 사람인냥 정해지지 않은 시간을 두고 가슴이 시키는대로 머물며 인연을 만들고, 사랑을 하고, 그러다 또 훌쩍 떠나 출발지로 돌아온다.


웬만한 사람은 감히 상상도 못해볼 숫자인 서른 여섯번의 이사를 한 그녀는 소설을 냈던 소설가이기도 하고, 인기 블로그 작가라고도 하는데, 나는 사실 이 산문집을 통해 그녀를 처음 만나게 되었다. 오히려 그것이 더 잘된 일이 아닌가도 생각해 본 것은 내게 블로그 작가는 왜인지 모르지만, 뭔가 한시적인 반짝 세일 상품 같은 느낌이 들어서이고, 소설가라면 뭔지 모르지만 거리감과 동시에 나와는 다른 종족이라는 느낌을 갖게 해서인데, 최소한 이 산문집을 읽으면서 나는 그녀에게 굉장히 큰 호감을 느꼈고 그녀의 글을 통해 그녀의 

생각에 큰 공감을 갖겼기 때문이다. 


솔직히 책 초반에 나는 그녀가 정한 것인지 출판사에서 정해준 것인지는 모르지만, 책 제목에 대해서 의아함을 품었더랬다. 나의 취향이 아니라 '우리의' 취향이라니.... 남들은 흔히 가보지 않는 나라에 여행을 가고, 그 곳에 눌러앉아 마치 네이티브인양 시간을 보내고, 남들은 생각해 보지도 않을 친구들을 만나면서 그게 '우리'라는 대명사를 사용해도 되는 범주의 행동이나 취향일까 생각해 보았지만, 책을 다 읽어낸 이 시점에서는 그녀가 왜 그리 제목을 지었는지 알거 같다는 느낌이 든다...어슴프레....


여행처럼 누군가의 취향을 극명히 보여주는 것도 없다. 그것은 누군가가 어떤 삶을 살아왔으며, 어떤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인지, 그리고, 앞으로 어떤 삶을 살길 원하는가까지도 가끔은 들여다 보게 해줄만큼 확연히 취향을 내보이는 것이니까...


단순한 여행서가 아니다. 누군가에게 정보를 전하는 책은 아니라는 얘기다. 다만, 누군가가 자신이 살아왔던 모습의 일면을 보여주려고 하며, 그것을 보는 사람이 사유의 기회를 갖고, 자신의 취향에 대해서, 타인과 함께 하는 삶의 자세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기회는 준다. 그 정도면 이 가을에 한 번쯤 읽어볼 만한 가치는 충분히 있는 책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각하는 여자는 위험하다 - 그리고 강하다
슈테판 볼만 지음, 김세나 옮김 / 이봄 / 2014년 8월
평점 :
절판


 저자의 다른 책인 <책 읽는 여자는 위험하다> 라는 책을 인상깊게 읽은지 두해정도 되었나 보다. 미국 출판계에서는 자주 보기 쉽지 않은 독일 작가의 책인지라, 한국어판이 출간되었을 때 꼭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을 했었다. 무엇보다 책제목이 자극적이다. 호기심을 끄는 것이다. '여자' 와 '위험' 이라는 단어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공존하기에는 왠지 어색한 단어들이 아닐까 생각되기 때문이다. 


책은 크게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항하다, 힘을 갖다, '나'를 쓰다, 여자라서 가능하다라는 소제목으로 22명의 여성들을 소개하고 있다.  1장에서는 오리아나 팔라치, 수잔 손택, 안나 폴릿콥스카야, 아룬다티 로이, 마르잔 사트라피가 소개되고, 2장에서는 아웅 산 수 치, 앙겔라 메르켈,  인디라 간디,  마가렛 대처에 대해서 읽을 수 있고, 3장에서는 베르타 폰 주트너, 루 안드레아스살로메, 아인 랜드, 시몬 드 보부아르, 한나 아렌트, 시몬 베이유, 알리체 슈바르처가 소개되며, 마지막인 4장에서는 마리 퀴리, 리제 마이트너, 에미 뇌터, 레이첼 카슨, 시실리 손더스와 제인 구달에 대한 이야기를 읽을 수 있다. 


이 책을 읽겠다고 결심한 다른 이들의 의도나 한 인물에 대한 궁금증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지만, 나는 수잔 손택, 아웅 산 수치, 인디라 간디, 시실리 손더스와 제인 구달때문에 이 책을 읽겠다고 생각했다. 솔직히 이야기 하자면 다른 이들은 이름만 겨우 들어봤지 내 관심 밖의 인물이거나 잘 알지 못하는 이들이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이들의 공통점이라면 자신이 살았던 시대와 상황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장벽을 넘어선 여성들이라는 것이다. 모든 이들의 말로가 좋지는 않다. 특히 인디라 간디의 모습을 보면서는 그녀가 선택한 부정적인 변화가 안겨준 치옥적인 마지막 모습에 슬픔을 떠나 분노의 감정까지 느꼈으니까.  하지만, 내가 이 책을 읽으면서 느낀 것이라면 내 스스로가 변화할 수 있겠다는 긍정의 힘이었다. 국가를 위해 일 하고, 세상을 바꾸는 힘과 능력이 내게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내 가정과 내 주위의 사람들에게 뭔가 작은 것이라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그들의 삶에 작게나마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면 그것도 만족스러운 삶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헤르만 헤세의 사랑 - 순수함을 열망한 문학적 천재의 이면
베르벨 레츠 지음, 김이섭 옮김 / 자음과모음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전이 두개의 다른 면을 가지고 있듯이 사람 또한 그렇다. 타인에게 보이는 얼굴이 스스로에게 보이는 얼굴과 다를 것이고, 가정에서 보여 주는 모습이 사회에서 보여주는 모습과는 또 다를 것이다.  그것은 우리가 인간이기에 어쩔 수 없는 것일지도 모른다고 나는 가끔 생각한다. 


여기 세계의 대문호중 한 명인 헤르만 헤세의 다른 면을 보여주는 책이 있다. 

내가 알고 있는 헤르만 헤세는 신학자의 집안에서 태어나 끊임없이 종교, 철학과 정의에 대해서 탐구했지만 문학인으로서의 삶이 자신의 운명이라고 믿었었던 사람이었고, 그런 그의 믿음 덕분에 내 중고등학생 시절 항상 침대 옆 나잇스탠드를 차지하고 있던 책들은 그의 작품들이었다. 그렇게 노벨 문학상까지 수여받은 그였지만 문학인으로서의 그의 삶과 개인으로서의 그의 삶은 그야말로 하늘과 땅차이를 보인다. 


얼마 전에 티비 프로그램인 <사랑과 전쟁>을 보면서 스트레스 해소를 한다는 친구의 얘기를 듣고서, 반농담조로 너 병원에 가서 상담 좀 받아봐~ 라고 했었는데, 헤세의 삶을 보니 현재의 한국에 있었다면 이 프로그램의 주인공으로 손색이 없다. 평생 세 번의 결혼을 했던 헤르만 헤세의 첫 부인은 9세 연상의 피아니스트인 마리아 베르누이였고 그녀와의 사이에서 세 명의 아들을 두었다. 스위스 국경 지역에서 시작한 새 삶과 헌신적으로 남편을 돌보고, 아이들을 돌보는 그녀와의 삶에서 행복을 느꼈을 거 같은데, 그는 다른 사랑에 눈이 멀어 정신과 의사와 짜고 그녀를 정신병원에 넣고 이혼 허락을 받아낸다. 그 이후로도 성악가였던 루트 벵거, 미술 사학자였던 니논 돌빈이 그를 결혼이라는 제도로 자신의 곁에 두려고 하지만, 실패로 끝나고 만다. 


항상 몇몇의 케이스를 보고 일반화 시키는 것은 위험한 일이지만, 예술의 혼을 가진 이들은 평범한 일상을 사는 일반인들과는 확실히 다른 강도의 열정을 갖고 있나 보다. 그가 자신의 삶속에서 얻으려 했던 것은 어쩌면 개인으로서 누리고 싶은 자유와 허용되지 않는 방랑속에서 느끼는 해방감이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자신을 사랑한 여인들의 희생을 통해 그것을 느끼려 했던 것이 안타까울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