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길 자본론 - 사람과 돈이 모이는 도시는 어떻게 디자인되는가
모종린 지음 / 다산3.0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골목길'하면 나와 같은 세대의 사람들은 유년의 기억을 떠올리곤 한다. 해질녘까지 우리들의 놀이의 주무대가 되었던 곳이 '골목길'. 어른들에게는 이웃들과의 교류의 장소이기도 또 동네의 시시콜콜한 이야기와 일들이 말해지고 행해지던 곳... 내 어릴 적의 모습을 담은 몇 몇의 사진들의 배경도 골목길이었다.

언젠가부터 도시 개발이 진행되고 낙후된 주거지들을 개량하여 도시 정비를 하다보니 이제 이 '골목길'은 정말 옛 이야기에나 나올 법한 공간(?)이 되었다. 아마도 우리 어린 아이들에게는 생소할 지도 모르겠다.

그런데 최근 1~2년 안에 흔히 뜨는 동네, 핫플레이스로 지목되고 사람들 입에 오르내리고 언론에 자주 보여지는 곳들이 있었으니 그 곳들이 바로 '골목길'이 있는, 번화가와는 다소 거리가 있는 골목상권의 지역이었다. 우리가 흔히 들어 알고 있는 홍대, 성수동, 이태원 등이 그곳이다. 놀라운 것은 이 곳들의 골목상권의 부흥이 정체된 도시에 어떤 활기를 불어넣었다는 점이었다.
이러한 변화를 대중매체를 통해 접하면서 흥미로웠는데 모종린 교수의 <골목길 자본론>을 통해 경제학적 측면에서 바라본 골목상권, 골목길에 대해 알아 보고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

골목길에 대한 생각들, 골목상권의 변화들이 흔히 도시공학적,건축학적인 면에서 살펴지는 것에 반해 이 책 <골목길 자본론>에서는 경제학자의 눈을 통해 바라본 것 즉, 소비자 수요, 골목상인 공급, 임대료, 상권 간 경쟁 등 골목상권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경제적 현상들을 세세하게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분석해 놓았다.
그리고 거기서 더 나아가 골목상권을 골목상인과 이해당사자들로 형성된 하나의 시장으로 보고 그들 사이에 일어나는 여러 경제적 선택의 문제들, 경쟁에 의해 일어나는 현상들부터, 경쟁력있는 골목상권들, 또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조건들, 우리가 골목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지 그 정체성과 문화, 지속 가능한 골목상권의 모델들, 골목문화를 지켜내고 발전시킬 방안들을 모색해 두었다.

최근 몇 년간의 골목상권의 활성과 골목 문화의 형성의 새로운 바람은 신선하고 긍정적인 활기를 불어 놓았으나 그것은 이내 곧 돈과 사람이 모이기 시작하면 젠트리피케이션 문제가 대두되어지는 경우들을 보면서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었다.
신선한 변화를 일으킨 ,이에 기여한 상인들이 갑자기 높아진 임대료를 감당하지 못하고 쫓겨나고 독립상인들이 사라지는 일들이 늘면서
결국 그 골목길 특유의 매력은 점차 사라지고 다시 골목길은 서서히 빛을 잃고 마는 일들이 많이 일어났다.

이에 대해 이 책에서 저자인 모종린 교수가 내어 놓은 해답인 '장인 공동체' 는 인상적이었다.


"지속 가능한 골목상권을 위해 필요한 건 장인 공동체다. 이해당사자들이 원천 경쟁력을 키워 동등하게 경쟁하는 동시에, 골목상권의 장기 발전을 위해 상호 협력하고 정부로부터 공동체 활성에 필요한 공공재 투자를 이끌어내야 한다. "
- 317쪽

이해당사자인 임차인과 임대인의 자율적 협력을 통한 임대료 상승 억제 노력, 정부의 기본적인 환경 조성 지원, 지역사회는 인재와 자원을 잘 연결하여주고, 각 지역 특유의 고유 문화를 기반으로 한 참신한 문화, 사회적 기업 등과 예술가, 활동가들이 존재할 때 가능하다는 이야기다.

이 책이 좋았던 것은 골목길, 골목상권에 대한 감정적, 감상적인 논의에서 벗어나 도시의 미래에 대한 날카롭게 통찰한 지적 분석과 설명이 담긴 책이라는 점이다. 또 한편으로는 여러 국가, 지역의 사례들을 구체적으로 조목조목 담아내면서 그 글이 에세이처럼 느껴지는 부분도 있기에 더 흥미로웠다.
경제학자의 시각으로 쓰여졌으나 어렵지 않게 읽혔다.

"행복한 도시에 행복한 사람이 모인다"

공간에 대한 특히 골목에 대한 향수 어린 옛 기억들을 떠올리며 새로운 창조의 공간들, 또 미래의 골목의 변화의 모습들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