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르게 보는 힘 - 처음 시작하는 관점 바꾸기 연습
이종인 지음 / 다산3.0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트리즈(TRIZ, Theory of Inventive Problem Solving)"

구소련의 세기적인 천재 발명가 알츠슐러 박사(Genrich Altshuiler) 에 의해 창시되어진 창의적 문제해결이론 이다.

"창의성은 끊임없는 훈련을 통해 발전될 수 있다. " 는 박사의 말을 이 책 <다르게 보는 힘> 에서 실감할 수 있었다.

이 책 <다르게 보는 힘>은 트리즈를 이용한 창의적 문제 해결의 사례를 홍팀장이라는 캐릭터를 통해 보여 준다.
기존의 트리즈는 유수의 대기업의 경영혁신도구로써 역할을 해오며 그 영역이 경제 비즈니스 세계 안에서만 국한되었다면 ,
<다르게 보는 힘>에서의 사례에서는 일반 개인들의 일상적인 문제 해결에까지 그 영역을 넓혀 보여 준다는 점에서 상당히 흥미롭고 또 경이롭기까지 했다.

책 속 홍팀장의 문제 해결 사례를 보면

제주도에서 난방비를 최소화한 채 커피나무를 키워내는 일에 성공하여 커피 가게의 문제를 해결하고, 이혼 직전의 친구 부부를 화해시키는 일, 직장 내 왕따 문제, 월세를 내지 않는 세입자 문제, 과열 경쟁에 시달리는 주유소 문제, 건설사가 부도 나 공사대금을 받지 못한 하청업체 문제, 컵을 씻지 않는 자녀교육 문제 , 1개월밖에 되지 않는 고로쇠 수액의 유통기한을 1년으로 늘리는 방법을 찾아내는 등 사례는 생활의 이곳 저곳 까지 범위가 광대했다 하겠다.

그야말로 자금난에서부터 부부싸움, 왕따, 자녀 교육 등 주위 사람들에게 흔한 문제, 즉 공감을 이끄는 문제들을 하나씩 해결해 나가는 그 과정이 희망적이고 또 재미있기까지 하다.

더구나 저자 자신이 홍팀장이라는 캐릭터를 빌려 실존 인물들의 실제 사례를 스토리텔링한 것이라는 점에서 책에서 다루어지는 사례에 나 역시 더욱 몰입하여 함께 트리즈에 참여하게 되고 고민하고 생각의 그물을 쳐가는 재미 또한 있었다.


책 속 인물 홍팀장이 트리즈로 문제 해결 방법을 찾는 데 있어서의 핵심은 단지 펜과 종이를 이용하여 '모순도'를 그리는 것이었다. '문제를 뒤집어 봄'으로써 문제의 '진짜 모순'을 발견해내게 되고 , '새로운 관점'에서 문제 해결 방법을 찾아 내는 것이다.

즉, 트리즈를 이용한 문제 해결 방법은
생활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그 문제를 의심하고, 모순을 제거하고, 아이디어를 내고, 실행 방안을 마련하는 것!

이 때, 문제를 부정하지 말고 긍정할 것. 부정하면 다른 사람을 탓하거나 피하게 되기 때문이다. 문제를 수긍하고 긍정할 때 적극적인 문제 해결 방법이 떠오르는 것이다.

그리고 그 문제를 직면하여 '관점의 전환' , 즉 다르게 보기를 통해 문제를 하나씩 차근히 해결해 나갈 수 있다.

결국 이렇게 트리즈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의 근본적 목적은 무엇일까? 결국 성공한 삶, 행복해지기를
원하는 것이 아닐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행복해지기 위한 것이다. 문제를 해결하고 행복해지는 방법, 그것이 바로 이 책에 있다." - p. 270

저자가 이 책을 통해 전하는 메시지가 바로 이것이 아닌가 생각 된다.

"문제를 직면한다고 해서 다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직면하지 않고서 해결되는 문제는 없다" 는 제임스 볼드윈의 말처럼

지금 나를 괴롭히는 문제가 있다면 그래서 불행하다면 우선 그 문제부터 직면하여 단호히 그 고리를 끊어얄 것이다. 회피하지 말고 도망가지 말고, 그리고 관점을 바꾸어 문제를 바라본다면 그 해결법이 나올 것이다.

늘 피하고만 싶고 그래서 미뤄두고 도망다녔던 일상의 자잘한 문제들, 저자가 제시한 관점 바꾸기의 방법을 통해 내 어깨에서 가볍게 덜어낼 수 있을 것 같다는 긍정의 에너지가 마구 솟아나게 하는 흥미롭고 재미있는 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