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 17 - 5부 2권 박경리 대하소설 토지 (마로니에북스) 17
박경리 지음 / 마로니에북스 / 2012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토지17권, 5부 2권이다.

•영광, 혜숙, 환국
•홍이와 홍이처의 체포
•유인실과 오가타
•통영에 모인 사람들 (홍이, 영호, 영광, 휘...)
•성환할매, 천일네... 평사리의 사람들...


#
예전에 영광이 학교를 퇴학당하고 도망치듯 일본으로 건너가 모진 고생을 할 때 영광이를 따라 건너 왔던 혜숙. 그리고 혜숙은 그 고생을 함께 했으나 끝내는 영광을 자유로이 놓아주고 고국으로 돌아와 작은 가게를 열어 미싱일을 하며 홀로 조용히 살아 가고 있다.
같은 동네에 사는 환국은 친구 영광을 그 간 도와왔기에 영광과 혜숙의 일을 잘 알고 있다. 그런데 환국에게는 혜숙에 대한 연민의 정, 사랑의 마음이 있었던 모양이다. 그간의 과정과 마음의 변화에 대한 과정없이 이번 권에 보여져서 조금은 의외다 싶었다.
혜숙의 결혼 이야기를 듣고 번뇌하는 환국은 예전 양소림의 일을 떠올리며 자신을 질타한다.
용기없는, 비겁한 자신을...

서희와 길상의 아들 둘, 환국과 윤국의 경우 환국은 길상을, 윤국은 서희를 닮았다고 작가는 내비쳤는데 이경우에도 환국의 모습에서 길상의 모습이 참 많이 보이는 듯 하다.


#
어느날 만주에 있는 홍이의 집에 경찰이 들이 닥치고 홍이 내외는 이유도 모른채 잡혀간다. 그리고 부부는 본국으로 송환된다. 그들이 체포된 이유는 금밀매를 했다는 것.
사실 엄연히 말하면 홍이가 아닌 홍이 처가 저지른 일이다. 홍이의 처가 요양차 친정인 통영에 머무를 때 동네 이웃의 말만 듣고 뭣모고 금을 구입해 만주의 집에 가지고 있다가 발각된 것이었다.

" 전시하에 개인은 금을 소유할수 없다. 일본 정부의 그 같은 포고는 두말할 것도 없이 정부가 금을 회수하겠다는 것이며 공출해야 한다는 뜻이다. 나라에 충성하기 위하여 국민은 고시한 가격으로 금을 정부에 팔아야 했다. 금이 탄환이 되는 것은 아니었지만 모든 쇠붙이는 전선으로 전선으로 가게 돼 있는 판국인데, 물론 많은 사람들은 소유한 금을 내놨고 고시가격으로 팔았지만
그것에 불응하여 금을 은닉한 소위 반역자가 없지도 않았다. " - p128


본국에서 옥살이를 하게 된 홍이 내외는 죄없는 홍이는 먼저 풀려 나오고 ,홍이 처는 집행유예로 나중에 나오게 된다. 이 참에 처가 근처에 집을 사서 식구들을 살게 하고 홍이는 홀로 만주로 다시 건너갈 요량이다.

이제 일본은 전쟁을 위해 모든 물자까지 공수해 전쟁에 쏟아 붓고 있는 판이다.


17권에는 배경 연도가 정확히 나오고 있다.

"1941년 정초의 신경, 거리에는 설 분위기가 아직 가셔지지 않았고 일본인 주택가에는 가도마쓰도 걷어내지 않은 상태였으며 긴 소매의 금실이 든 붉은 오비를 맨 설빔 차림 일본 계집아이들이 하고이타로 하고를 치는풍경도 더러 눈에 띄었다." - p. 108


아~ 이제 광복 까지는 얼마 남지 않았구나 싶어 그 끝이 보이는 것 같아 조금의 기대감도 생긴다.


#
유인실은 오가타가 모른 채 그의 아이를 낳았고 그 아이를 버리고 만주로 건너갔다. 그 아이는 조찬하가 거두어 자신의 아들로 키우고 있다.
그런데 조찬하를 우연히 만나게 된 유인실이 그 사실을 알게 되었고 조찬하는 오가타에게 그 사실을 알려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유인실은 결심을 하고 오가타를 만나 이 사실을 말하게 된다.

" 저는 그분한테 생명보다 중한 것을 주었습니다. 더이상 나는 줄 것이 없어요" - P183

" 일본이 망할 때까지, 그때까지 살아있다면 우리는 다시 만날수 있을 거예요. 당신을 잊지 않겠어요"
- P185


이들의 사랑은 참으로 안타깝다.
시대가 낳은 이루어질 수 없는 그 사랑...
일본인이기에 , 조선인이기에...

생명보다 더 귀한 것을 주었다는 유인실의 그것은 단지 순결만이 아닌 조국을 배신하였다는 것이고 그것은 자신에 대한 분노에 절망이었을 것이다.

전쟁이 끝나고 일본이 패망하면 둘의 사랑은 정말 이루어질 것인가...

끝내 오가타는 자신의 아들을 조찬하에게 맡기고 전쟁이 끝나면 다시 찾아 함께 유인실과 빙하를 건너 멀리 가겠노라 말한다.


#
독립을 위해 일했던, 애썼던 사람들은 하나둘 죽고 사라지고 이제 남은 사람들은 해체를 한다.

그리고 홍이 체포된 사건의 소식을 듣고 하나둘 도우고 염려하여 모인 사람들, 동백이 아름다운 통영 명정리에서 홍이, 영광, 영호, 휘 등이 모여 술을 마신다.
자신들의 신분, 처지에 대한 속풀이도 하고 과거를 회상하기도 한다.

홍이는 이제는 황량하게 변한 평사리에 성환할매(석이네)를 찾아 간다. 그곳에서 낮잠도 자고 밥도 먹는다.

홍이에게 그간 신세를 졌다며 닭을 가져오고 쌀밥도 차리고 할머니들의 왁자지껄 식사 준비가 참으로 정겹다. 정말이지 행복해보인다.

그들의 그런 모습에 울컥했다. 그들의 그간의 인생 살이가 겹쳐 보이고 이런 것이 사는 것인데 그러지 못한 그들이 눈물 겨웠다.

그간 <토지>를 쉴새 없이 읽어오며 이번에 오랜만에 참 푸근함을 느꼈던 것 같다.

홍이는 떠나며 성환할매(석이네)에게 석이가 살아있음을 알려주고 또 기뻐하며 눈물 짓는 성환할매의 모습이 참으로 애잔했다.



#
이제 정말 마지막이 머지 않았다.
곧 광복이 될 것이며 소설 속 그들과 같이 나도 광복을 기다리고 있다.
끝이 다가옴에도 더욱 흥미롭고 마음에 진한 여운을 남기는 소설...

이제 정말...머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