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기 감추는 날
황선미 지음, 조미자 그림 / 이마주 / 201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부끄럽지만 방학때면 숙제인 '일기쓰기'는 늘 개학 전날쯤 몰아서 한꺼번에 쓰곤 했던 기억이 떠오른다. 선생님께 검사받기용 일기쓰기라서 그런지 내 속마음을 드러내는 글쓰기는 잘 쓰여지지 않았던 것 같다. 또 매일 매일의 '숙제'이기에 더욱더 쓰기 싫었던 것같다.

<일기 감추는 날>은 제목 부터가 공감이 가기도 하고, '황선미' 작가의 작품이기에 선뜻 아이와 읽어 보게 되었다.

(스포주의)

주인공 동민이는 내성적인 성격의 초등학교 3학년 남자 아이다. 가기 싫은 학원도 그냥 다니고, 일기 숙제도 잘 해가고, 학교 생활도 잘 해나가는 나름 모범적인 아이다.
어느 날 등굣길에 같은 반 개구쟁이 경수가 아파트 울타리를 뛰어넘는 것을 보게 되고 경수와 눈이 마주치게 된다. 그리고 동민이가 그런 경수를 일기를 통해 선생님께 일렀다는 오해를 사게 된다.
동민이는 용기를 내어 일기장에 이런 억울함을 쓰게 되었으나 오해는 풀리기는 커녕 오히려 선생님께 꾸지람을 듣게 된다.
그리고 동민이 아빠의 실직과 부모님의 부부싸움 등 집안의 문제로 마음이 복잡해진 동민이는 일기장에 자신의 솔직한 마음을 차마 써낼 수 없어 결국 일기쓰기 숙제를 계속 해가지 않게 된다. 그렇게 동민이의 속앓이는 점점 깊어지고...


이 책을 읽으면서 주인공 동민이의 마음에 공감이 가서 울컥했다. 일기가 자기 마음을 비추는 거울이라면서 쓰고 싶은 대로 두는 것도 아니고 , 그것을 숙제로 검사하는 선생님, 또 훔쳐보는 엄마도, 또 용기내어 속마음을 드러내는 일기를 썼음에도 오해하는 친구도 선생님도 싫었을 것 같다.
가징 공감이 되고 감정이입이 되었던 부분은 나빠진 가정 상황과 부모님의 부부싸움에 관해 복잡한 마음을 일기에 차마 쓰지 못하고 속앓이를 하는 동민이의 모습에서다.
일기의 기능이 무엇일까, 아이의 성장을 우리는 어떻게 지켜봐주고 도와줄 수 있을까 생각도 들었다.

책의 후반부 쪽에 엄마가 슬프기 때문에 일기를 써낼 수 없다고 고백한 동민이의 진심이 선생님께 닿았고 그렇게 또 한뼘 성장하는 모습을 지켜보니 마음이 흐뭇했다.

그렇게 쓰기 싫어하던 일기였지만 시간이 많이 흘러서 어른이 되었을 때 자신의 어릴 적 쓴 일기장을 들쳐 보고 웃음지을 수 있는 그런 추억들이 생겨나는 것 같아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던 좋은 작품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